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9

2. 이론적 논의 12

1) 인공지능과 젠더 12

2) 광고에서의 젠더 재현 15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1

1) 연구문제 21

2) 연구방법과 분석 대상 21

(1) 연구방법 21

(2) 연구대상 23

4. 인공지능 스피커 TV 광고 분석 결과 25

1) 서사적 특성 25

2) 기호학적 분석 결과 25

(1)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1. 진희야 지니야! 25

(2)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2. 완전 범죄는 없다 29

(3)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3. 그 남자의 결심 33

(4)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4. 아빠는 요술쟁이 36

(5)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5. 그녀의 건망증 39

(6)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6. 오늘부터 1일? 41

(7)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7. 틀린그림찾기 44

(8)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8. 아내는 요리왕 47

(9)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9. 계급사회의 비애 50

(10)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10. 시간아 멈추어다오 53

(11)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기러기아빠 편 55

(12)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스마트녀 편 58

(13)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워킹맘 편 61

(14) 우리집IoT 1편- 동시실행 기상 편 64

(15) 우리집IoT 2편- 동시실행 아빠 방귀 편 67

(16) 우리집IoT 3편- 동시실행 밖에 비와 편 70

(17) 우리집IoT 4편- 동시실행 우리 잔다 편 72

(18) 우리집IoT 5편- 동시실행 여행 편 75

(19) 우리집IoT 6편- 동시실행 기상&취침 편 79

(20) 우리집IoT 7편- 동시실행 취침 편 81

5. 인공지능 스피커 TV 광고의 젠더적 특성 85

1) 인공지능 스피커 TV광고에서 젠더 재현의 세 층위 85

(1) 등장인물의 재현에서 나타난 젠더 관계 85

(2) 인공지능 스피커의 젠더적 성격 86

(3) 등장인물과 인공지능 스피커의 관계 층위에서의 젠더 재현 87

2) 인공지능 스피커 광고의 젠더 차원에서의 함의 88

(1) 인공지능 스피커 광고 속 여성의 양가성 88

(2) 인공지능 스피커 광고 속 남성의 양가성 90

(3) 가족주의 91

6. 결론과 논문의 한계 93

참고문헌 96

ABSTRACT 99

부록-인공지능 스피커 TV 광고 브랜드별 시리즈 리스트 및 유튜브 조회수 (총 20편) 101

표목차

〈표 1〉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1. '진희야 지니야!' 의미 분석 26

〈표 2〉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2. '완전 범죄는 없다'... 29

〈표 3〉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3. '그 남자의 결심' 의미 분석 33

〈표 4〉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4. '아빠는 요술쟁이' 의미 분석 37

〈표 5〉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5. '그녀의 건망증' 의미 분석 39

〈표 6〉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6. '오늘부터 1일?' 의미 분석 42

〈표 7〉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7. '틀린그림찾기' 의미 분석 44

〈표 8〉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8. '아내는 요리왕' 의미 분석 48

〈표 9〉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9. '계급사회의 비애' 의미 분석 50

〈표 10〉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10. '시간아 멈추어다오'... 53

〈표 11〉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기러기아빠'... 55

〈표 12〉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스마트녀'... 58

〈표 13〉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워킹맘'... 62

〈표 14〉 우리집IoT 1편- 동시실행 '기상' 의미 분석 65

〈표 15〉 우리집IoT 2편- 동시실행 '아빠 방귀' 의미 분석 68

〈표 16〉 우리집IoT 3편- 동시실행 '밖에 비와' 의미 분석 70

〈표 17〉 우리집IoT 4편- 동시실행 '우리 잔다' 의미 분석 73

〈표 18〉 우리집IoT 5편- 동시실행 '여행' 의미 분석 76

〈표 19〉 우리집IoT 6편- 동시실행 '기상&취침' 의미 분석 79

〈표 20〉 우리집IoT 7편- 동시실행 '취침' 의미 분석 81

그림목차

〈그림 1〉 바르트의 2단계 의미 작용 22

〈그림 2〉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1. 진희야 지니야! TV 광고 화면 26

〈그림 3〉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2. 완전 범죄는 없다 TV 광고 화면 29

〈그림 4〉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3. 그 남자의 결심 TV 광고 화면 33

〈그림 5〉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4. 아빠는 요술쟁이 TV 광고 화면 36

〈그림 6〉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5. 그녀의 건망증 TV 광고 화면 39

〈그림 7〉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6. 오늘부터 1일? TV 광고 화면 41

〈그림 8〉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7. 틀린그림찾기 TV 광고 화면 44

〈그림 9〉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8. 아내는 요리왕 TV 광고 화면 47

〈그림 10〉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9. 계급사회의 비애 TV 광고 화면 50

〈그림 11〉 KT 기가지니 인공지능 탐구생활 #10. 시간아 멈추어다오 TV 광고 화면 53

〈그림 12〉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기러기아빠 편 TV 광고 화면 55

〈그림 13〉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스마트녀 편 TV 광고 화면 58

〈그림 14〉 SK텔레콤 누구(NUGU)에게나 생길법한 이야기- 워킹맘 편 TV 광고 화면 61

〈그림 15〉 LG 유플러스 우리집IoT 1편- 동시실행 기상 편 TV 광고 화면 64

〈그림 16〉 LG 유플러스 우리집IoT 2편- 동시실행 아빠 방귀 편 TV 광고 화면 67

〈그림 17〉 LG 유플러스 우리집IoT 3편- 동시실행 밖에 비와 편 TV 광고 화면 70

〈그림 18〉 LG 유플러스 우리집IoT 4편- 동시실행 우리 잔다 편 TV 광고 화면 72

〈그림 19〉 LG 유플러스 우리집IoT 5편- 동시실행 여행 편 TV 광고 화면 75

〈그림 20〉 LG 유플러스 우리집IoT 6편- 동시실행 기상&취침 편 TV 광고 화면 79

〈그림 21〉 LG 유플러스 우리집IoT 7편- 동시실행 취침 편 TV 광고 화면 81

초록보기

The study looked at how the gender representation of AI speakers and existing gender ideology are reproduced in TV commercials, and analyzed how AI speakers affect existing gender power relationship through analyzing Roland Barthes' semiotics.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y showed that feminized AI speakers make the existing gender personality ambivalent and complex. To be specific, AI speakers were shown to share the role of women, while men were dependent o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However, as women's social status has recently increased, AI speaker TV commercials have shown that women cannot leave home at the same time while showing their autonomy. On the other hand, men showed masculinity but also relied on female AI speakers. Accordingly, it revealed that women's and men's ambivalence. Especially,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technology that is gaining traction and will develop further. The thesis argues that, If feminized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s continue to show traditional male and female power relationships in TV commercials, they will move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