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일러두기 9

1부 서론: 논문의 연구과제와 전개방향 11

1장 문제제기와 논문의 연구과제 11

1절 들뢰즈 철학적 주제로서 초월론적 경험론 11

2절 기존 연구 한계: 초월론적 경험론을 초월론적 관념론과의 유사성에 의거하여 규명하려는 시도들의 한계 21

3절 가설도입: 꿈에서 읽은 『순수이성비판』으로서 『차이와 반복』 33

4절 가설발전: 초월론적 경험론은 초월론적 지평으로서 무의식을 상정하고 있다. 37

2장 방법론 및 개요 44

1절 방법론: 들뢰즈 철학사 비평 전략 분석 44

2절 개요 46

2부 초월론적 철학에 대한 비판 51

1장 초월론적 관념론에 대한 비판 51

1절 초월론적 경험론과 초월론적 관념론 및 초월론적 현상학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 의의와 한계 51

2절 데카르트 신 존재 증명 57

3절 내감의 역설 61

4절 초월론적 통각의 형식적 통일성에 대한 비판 67

2장 초월론적 현상학에 대한 비판 71

1절 초월론적 현상학의 두 얼굴: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 72

2절 초월론적 현상학에 대한 비판 75

3절 초월론적 장 개념에 대한 비판 83

3장 초월론적 관념론 및 현상학에 대한 비판의 타당성 평가: 권리/사실문제에 관하여 88

1절 문제제기: 권리/사실 문제 혼동 가능성 88

2절 해답제시: 무의식의 권리문제 93

3부 사유의 이미지에 대한 비판 99

1장 사유의 이미지 의미 100

1절 사유의 이미지의 다양한 의미 100

2절 『차이와 반복』에서 사유의 이미지의 고유한 특징: 무전제성의 이념 106

2장 사유의 이미지에 대한 비판 108

1절 무전제성의 이념 112

2절 독단적 사유의 이미지에 대한 비판 115

3절 코기토 철학에 대한 비판 122

3장 사유의 이미지에 대한 비판의 타당성 평가 127

1절 이미지 없는 사유라는 이미지 128

2절 진리 추구에 대한 비판 130

3절 사유의 이미지에 대한 비판의 폭력성 134

4부 정신분석적 무의식에 대한 비평 140

1장 들뢰즈 철학과 정신분석 관계 문제 141

1절 들뢰즈 철학과 정신분석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의 부정적 경향성 141

2절 『안티 오이디푸스』이전 정신분석에 대한 들뢰즈의 참조 분석 146

3절 『안티 오이디푸스』이후 정신분석에 대한 들뢰즈의 참조 분석 157

2장 습관으로서 무의식적 반복 165

1절 이드, 자아, 초자아에 관한 프로이트의 위상학 167

2절 첫 번째 종합: 이드의 종합 170

3장 기억으로서 무의식적 반복 174

1절 두 번째 종합: 잠재적 대상과 현실적 대상의 관계 174

2절 잠재적 대상: 부분충동, 부분대상 177

3절 도둑맞은 편지, 쥐인간 사례에 대한 정신분석 181

4절 프로이트의 무의식의 의의와 한계 186

5절 무의식의 본성 190

4장 죽음본능으로서 무의식적 반복 195

1절 세 번째 종합: 쾌락원칙을 넘어서 있는 죽음본능 196

2절 프로이트 죽음본능에 대한 들뢰즈의 비판 200

3절 죽음의 두 가지 의미 203

5부 초월론적 이념으로서 무의식 207

1장 대자적 반복의 실천론 기획 208

1절 일반성과 반복의 비교 208

2절 법칙과 반복의 비교 213

3절 대자적 반복의 철학적 실천론 기획 216

2장 초월론적 이념으로서 무의식 221

1절 칸트의 초월론적 이념 222

2절 마이몬의 초월론적 이념 225

3절 영원회귀와 초월론적 이념 231

4절 초월론적 이념의 역동적 허초점으로서 우발점 235

3장 초월론적 이념의 실천적 함의 240

1절 초월론적 이념으로서 영원회귀와 죽음본능 240

2절 죽음본능과 이미지 없는 사유의 문제 242

3절 죽음본능과 병리학 관계의 문제 247

4절 미학적 실천론으로서 초월론적 경험론 252

6부 결론 258

1장 가설검증 및 결론 258

2장 논문의 의의 261

3장 앞으로 남은 과제들 264

참고문헌 269

Abstract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