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선행연구 검토 16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26

1) 연구 대상 26

2) 연구 방법 27

II. 목표언어 기반 전략 교육 연구를 위한 이론적 전제 31

1.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 31

1) 의사소통의 개념 31

2) 스피치 의사소통과 설명적 말하기 상황 35

3) 의사소통 능력 37

2. 의사소통전략 43

1) 의사소통전략의 개념 43

2) 의사소통전략의 유형 47

3. 목표언어 기반 전략 56

1)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개념 및 유형 56

2) 학습유형 및 목표언어 기반 전략 66

III.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언어 전략 사용 양상 분석 75

1.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의 분석틀 75

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 78

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빈도 78

2) 학습자 언어 수준에 따른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 82

3) 학습유형에 따른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 101

4) 논의 139

IV. 목표언어 기반 전략 교육의 실제 145

1.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 목표 145

2.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 내용 147

1) 의미 인접 전략 교수학습 내용 150

2) 묘사 전략 교수학습 내용 152

3) 신조어 전략 교수학습 내용 155

3.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 원리 158

4.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 방법 163

V. 결론 171

참고문헌 176

부록 : 실험 자료 183

Abstract 185

표목차

〈표 I-1〉 실험 대상자 정보 27

〈표 I-2〉 전사 기호 29

〈표 I-3〉 연구 절차 개요 30

〈표 II-1〉 의사소통전략 정의 정리 44

〈표 II-2〉 Tarone(1980)의 의사소통전략 분류 48

〈표 II-3〉 Kaerch & Kasper(1983)의 의사소통전략 분류 50

〈표 II-4〉 Bialystok(1983)의 의사소통전략 분류 51

〈표 II-5〉 Poulisse(1987)의 의사소통전략 분류 52

〈표 II-6〉 Dörnyei & Scott(1997)의 의사소통전략 분류 53

〈표 II-7〉 목표언어 기반 전략 유형 정리 58

〈표 II-8〉 목표언어 기반 전략 분류 65

〈표 II-9〉 학습유형 분류 69

〈표 III-1〉 목표언어 기반 전략 분석틀 77

〈표 III-2〉 중국인 학습자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전체 사용 빈도 79

〈표 III-3〉 3급 학습자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빈도 83

〈표 III-4〉 4급 학습자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빈도 83

〈표 III-5〉 3급-4급 학습자 집단 의미 인접 전략 사용 양상 87

〈표 III-6〉 3급-4급 학습자 집단 묘사 전략 사용 양상 93

〈표 III-7〉 3급-4급 학습자 집단 신조어 전략 사용 양상 97

〈표 III-8〉 중국인 학습자 학습유형 분포 103

〈표 III-9〉 적극적(Active) 학습유형 전략 빈도 105

〈표 III-10〉 심사숙고적(Reflective) 학습유형 전략 빈도 105

〈표 III-11〉 감각적(Sensing)학습유형 전략 빈도 107

〈표 III-12〉 직관적(Intuitive) 학습유형 전략 빈도 108

〈표 III-13〉 시각적(Visual) 학습유형 전략 빈도 110

〈표 III-14〉 구두적(Verbal) 학습유형 전략 빈도 110

〈표 III-15〉 단계적(Sequential) 학습유형 전략 빈도 112

〈표 III-16〉 총체적(Global) 학습유형 전략 빈도 113

〈표 III-17〉 적극적-심사숙고적 학습유형 집단 의미 인접 전략 사용 양상 118

〈표 III-18〉 감각적-직관적 학습유형 집단 의미 인접 전략 사용 양상 119

〈표 III-19〉 시각적-구두적 학습유형 집단 의미 인접 전략 사용 양상 119

〈표 III-20〉 단계적-총체적 학습유형 집단 의미 인접 전략 사용 양상 120

〈표 III-21〉 적극적-심사숙고적 학습유형 집단 묘사 전략 사용 양상 127

〈표 III-22〉 감각적-직관적 학습유형 집단 묘사 전략 사용 양상 128

〈표 III-23〉 시각적-구두적 학습유형 집단 묘사 전략 사용 양상 128

〈표 III-24〉 단계적-총체적 학습유형 집단 묘사 전략 사용 양상 129

〈표 III-25〉 적극적-심사숙고적 학습유형 집단 신조어 사용 양상 134

〈표 III-26〉 감각적-직관적 학습유형 집단 신조어 사용 양상 134

〈표 III-27〉 시각적-구두적 학습유형 집단 신조어 전략 사용 양상 135

〈표 III-28〉 단계적-총체적 학습유형 집단 신조어 사용 양상 135

〈표 IV-1〉 목표언어 기반 전략 교수학습 목표 147

〈표 IV-2〉 Ainur(2010) 및 조인정(2015)의 문형 150

〈표 IV-3〉 Ainur(2010) 및 조인정(2015)의 문형 153

〈표 IV-4〉 목표언어 기반 전략 교수학습 방법 및 절차 164

그림목차

[그림 II-1] 차배근(1985) 의사소통 모형 34

[그림 II-2] Bachman(1990) 언어 능력 모형 42

[그림 II-3] Bachman(1990) 의사소통 언어 능력 모형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