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6

I. 서론 11

II. 연구사 12

1. 긴꼬리가루깍지벌레 12

2.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 13

3. 온도별 발육 모델 14

III. 재료 및 방법 15

1. 조사지역 및 방법 15

2. 실험곤충 사육 15

3. 온도별 발육기간, 성충수명 및 산자수 조사 16

4. 생명표 통계량 추정 17

IV. 결과 18

1. 지역별 분포조사 18

2. 온도별 발육기간 21

3. 성충수명 및 산자수 조사 24

4. 생명표 통계량 28

V. 고찰 31

VI. 요약 34

VII. 인용문헌 35

표목차

Table 1. Distribution of Pseudococcus longispinus and P. orchidicola in tropical plants from 2015 to 2017 19

Table 2. Distribution of Pseudococcus longispinus and P. orchidicola in fruit plants from 2015 to 2017 20

Table 3. Developmental periods of Pseudococcus longispinus nymphs at different temperatures 22

Table 4. Developmental periods of Pseudococcus orchidicola nymphs at different temperatures 23

Table 5. Adult longevity of Pseudococcus longispinus at different temperatures 25

Table 6.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Pseudococcus orchidicola adults at... 26

Table 7. Changes in developmental velocity (V) due to the temperature (t),... 29

Table 8. Comparison life-table parameters of Pseudococcus longispinus and P.... 30

그림목차

Fig. 1. Cumulative survival rates (A and C) and weekly change (B and D) in the number of offspring of female Pseudococcus... 27

초록보기

국내 분포조사가 되어 있지 않은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를 대상으로 3년간(2015~2017년) 281지점의 관엽식물과 666지점의 과수를 조사하였다. 관엽식물의 경우 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34지점에서 발견되었고,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87지점에서 발견되었으나 과수에서는 두 종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분포조사를 통해 채집한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실내사육하며 온도별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약충은 14℃에서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였으며, 16℃에서는 361.4일로 발육기간이 가장 길었으며 32℃에서는 39.0일로 가장 짧았다. 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성충수명은 28℃에서 71.7일로 가장 짧았으며, 산자수의 경우 32℃에서 177.7마리로 가장 많았다.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약충은 12℃에서 정상적인 발육을 하지 못하였으며 14℃에서 184.9일로 발육기간이 가장 길었으며, 28℃에서는 21.5일로 가장 짧았다.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 암컷 성충수명은 28℃에서 51.5일로 가장 짧았으며, 산자수의 경우 28℃에서 143.8마리로 가장 많았다. 세대순증가율(R0)과 내적자연증가율(rm)은 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각각 32℃에서 162.3, 0.127이며,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는 각각 28℃에서 98.3, 0.139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긴꼬리가루깍지벌레와 붉은몸긴꼬리가루깍지벌레의 최적 온도는 각각 32℃와 28℃로 판단되며 국내에서의 월동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