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13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4
1. 돈황 예술에 관한 연구 14
2. 막고굴 벽화에 관한 연구 16
3. 막고굴 벽화 자원 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18
제2장 이론적 고찰 20
제1절 돈황 막고굴 벽화의 역사적 발전 과정 20
제2절 OSMU 기획 및 특성 22
제3절 막고굴 벽화자원의 OSMU 콘텐츠 개발종류 24
1. 실물자원의 이용 - 관광사업 24
2. 무형문화자원의 이용 25
제3장 막고굴 벽화실물자원의 관광콘텐츠 개발 35
제1절 막고굴 관광사업의 운영 현황 35
제2절 막고굴 관광사업의 SWOT 분석 38
1. 강점분석 38
2. 약점 분석 46
3. 기회 분석 48
4. 도전 분석 50
제3절 돈황 막고굴 관광형태 51
1. 막고굴의 개발과 보호의 관리체계와 관리기구 52
2. 〈간쑤 돈황 막고굴 보호 조례〉의 출시 54
3. 과학적인 계획을 만든다. 54
4. 동굴 환경 적재량을 확정 55
5. 보호하는 전제 하에 관광 서비스를 개설한다. 56
제4절 막고굴 관광산업의 전망 63
1. 발전 방향 63
2. 정책에 관한 의견 64
제4장 막고굴 벽화무형문화자원의 무용콘텐츠 개발 69
제1절 돈황 무용의 기원 및 발전 역정 69
제2절 돈황무용의 특징 72
제3절 돈황무용의 프로모션 현황 74
1. 돈황무용의 교육과정 74
2. 돈황 무용 작품 창작 75
3. 돈황무용극 76
4. 돈황무용이 비무용전공자들 속에서의 홍보 79
제4절 돈황무용의 발전 전략 81
1. 돈황 무용이 전공 무용 교육에서의 계승 - 돈황 무용 학과 개설 81
2. 돈황 무용의 비전공 영역에서의 발전 82
제5장 막고굴 OSMU 개발가치 분석 90
제1절 문화적 가치 90
제2절 심미적 가치 92
제3절 경제적 가치 93
제4절 사회적 가치 95
제6장 결론 97
참고문헌 99
국문초록 105
中文摘要 107
ABSTRACT 109
[그림 2-1] 장대천과 모사본 작업 28
[그림 2-2] 단문걸과 모사본 작업 29
[그림 2-3] 영화와 TV프로그램 작품 31
[그림 2-4] 돈황 문화예술품 32
[그림 3-1] 디지털 영화 〈천년막고〉 36
[그림 3-2] 디지털 영화 〈환상불궁〉 36
[그림 3-3] 막고굴 석굴 37
[그림 3-4] 막고굴 석굴 분포도 38
[그림 3-5] 돈황 막고굴의 위치 39
[그림 3-6] 2019년 돈황 정기 항공로 40
[그림 3-7] 2020년 돈황 철도교통 예측도 41
[그림 3-8] 막고굴에 작업중의 버시화 43
[그림 3-9] 스탠인 43
[그림 3-10] 길천소이랑과 사용했던 여권 44
[그림 3-11] 오나보 시찰단 45
[그림 3-12] 동황 주변 지리적 환경 47
[그림 3-13] 돈황 연평균 온도 48
[그림 3-14] 막고굴 벽화 디지털화 작업 현장 62
[그림 4-1] 돈황무용극 〈실크로드의 꽃비〉 70
[그림 4-2] 돈황무용동작 '반탄비파'(反彈琵琶) 73
[그림 4-3] 돈황벽화에서 보여지는 손동작 74
[그림 4-4] 무대극 〈대몽 돈황〉 78
[그림 4-5] 돈황무용극 〈연꽃〉 79
[그림 4-6] 산업사슬 86
본 연구에서는 '중국 예술의 보고'인 돈황 막고굴 벽화자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중국의 문화자원 재생에 주목하고 있다. 벽화는 본래 석굴암에 고정되고 벽에 '죽은' 문화자원인데 기존의 정태로 그대로 남아 있으면 오래된 예술자원은 점차 사라질 것이다.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전하고 일상생활이 날로 풍부해지는 오늘 날, 벽화에 새 생명력을 부여하여 이를 끊임없이 새로운 예술 형태로 재생시키는 것은 돈황 벽화의 보호와 발전에 대한 주된 목표이다.
돈황 예술의 현대화 예술 재생은 관광사업, 문학 시나리오, 무대예술, 영화/TV 예술, 공예품 디자인, 도시조망, 로고설계, 여행제품 등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벽화로부터 무대, 문학 및 영화/TV 작품으로 전환하는 것을 망라하여 악보에서 음악으로 전환되고, 동굴 속 불교 조각상에서 광장에 설치된 조각상으로 발전하는 일련의 생성을 예로 들 수 있다. 모든 예술 형식의 생성은 기술적 요소와 예술적 수법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는 모티브가 담겨 있을 뿐만 아니라 혁신을 품고 있으므로 막고굴 원생예술을 배경으로 진행된 재창조인 셈이다. 이러한 재창조는 전체적으로 돈황 예술의 부활을 재생시켰다.
본 연구 초기에는 돈황예술, 막고굴 벽화, 그리고 막고굴 벽화자원의 재생개발로 자료를 수집하여 중국 및 한국의 선배 학자들의 주류 관점을 총정리하여 자신의 연구 착안점을 실물 자원 개발에서의 관광 산업과 무형 문화 자원 개발에서의 무용 창작으로 확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 계승 등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를 바란다.
연구주체인 관광 산업 부분은 현 단계 현지 관광 산업의 발전 현황을 진술하는 것을 바탕으로 경영학 SWOT분석법으로 막고굴 관광 산업의 강점, 약점, 기회 및 도전을 분석한다. 관광 교통의 완성, 관광 상품 체계의 발전 및 건설, 지역 경제의 창조, 총체적 이미지 형성, 인재육성 강화, 과학기술 정도의 향상 등 발전 가능성을 제안했다.
중국 막고굴 벽화가 무용 창작 측면에서의 예술 재생은 1979년 돈황무극 '사로화우' 의 탄생에서 기원했다. 최근 몇 년간 '대몽돈황', '천수관음', '돈황운' 등 많은 돈황무극은 국내외에서 연속 상연하여 관객들의 주목을 받아 막고굴 벽화에 대한 보호 열정을 이끌어냈다. 돈황무용의 발전은 무극의 파급력을 극대화하는 데에 착안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창작 인재와 전문 공연 인재 양성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 이는 돈황무용의 존재와 전승의 근본이다.
본 연구가 중국 막고굴 벽화 자원에 대한 현대화 개발구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라며, 한국 학자들에게 중국 문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새로운 참고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