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9

1. 연구목적 9

2. 연구범위 및 방법 10

II. 악곡의 개관과 분석 12

1. 작곡가 신윤수 12

2. 작품 개관 13

3. 악곡 구조 14

4. Solo 해금과 해금합주군의 선율분석 17

1) 제[1]단락 17

2) 제[2]단락 22

3) 제[3]단락 36

4) 제[4]단락 44

III. 결론 47

참고문헌 48

부록악보 49

ABSTRACT 64

표목차

〈표 1〉 〈Overture〉악곡구성 14

악보목차

〈악보 1〉 음이름 표기법 11

〈악보 2〉 제[1]단락(제1마디~제6마디) 17

〈악보 3〉 제[1]단락 (제6마디~제10마디) 19

〈악보 4〉 제[1]단락 (제10마디~제18마디) 20

〈악보 5〉 제[2]단락(제19마디~제28마디) 22

〈악보 6〉 제[2]단락(제28마디~제33마디) 23

〈악보 7〉 제[2]단락(제33마디~제36마디) 24

〈악보 8〉 제[2]단락(제37마디~제41마디) 26

〈악보 9〉 제[2]단락(제42마디~제49마디) 27

〈악보 10〉 제[2]단락(제50마디~제55마디) 28

〈악보 11〉 제[2]단락(제56마디~제59마디) 29

〈악보 12〉 제[2]단락(제60마디~제63마디) 30

〈악보 13〉 제[2]단락(제63마디~제69마디) 31

〈악보 14〉 제[2]단락(제70마디~제75마디) 32

〈악보 15〉 제[2]단락(제76마디~제83마디) 33

〈악보 16〉 제[2]단락(제82마디~제91마디) 34

〈악보 17〉 제[3]단락(제92마디~제98마디) 36

〈악보 18〉 제[3]단락(제99마디~제103마디) 37

〈악보 19〉 제[3]단락(제104마디~제107마디) 38

〈악보 20〉 제[3]단락(제108마디~제112마디) 39

〈악보 21〉 제[3]단락(제113마디~제116마디) 40

〈악보 22〉 제[3]단락(제117마디~제123마디) 41

〈악보 23〉 제[3]단락(제124마디~제133마디) 42

〈악보 24〉 제[4]단락(제134마디~제141마디) 44

〈악보 25〉 제[4]단락(제142마디~제148마디) 45

초록보기

 창작국악은 20세기 초반부터 서양음악의 작곡 개념이 도입되면서 발전하시 시작한 음악으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끊임없는 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해금은 21세기에 주목되고 있는 악기로 발현악기들이 가지지 못한 독특한 음색과 표현력을 가지고 있으며, 음역이 매우 넓은 찰현 악기이다. 또한 다른 국악기가 갖는 조율의 불편함이 없을 뿐 아니라, 조옮김이 자유롭기에 서양악기와의 협주가 편리하여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소화 할 수 있다.

이처럼 해금의 다양한 표현기법과 서양악기의 바이올린처럼 대중적이면서도 다양한 음색은 과거의 시점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해금 창작곡이 꾸준히 작곡되어 질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이렇게 창작된 작품들은 서양악적인 관현 악법을 모방하거나 전통음악의 선율을 답습하던 초창기 작품부터 현재의 실험적 시도와 대중적 성향의 작품, 서양악기나 비서구 세계음악과의 만남에까지 다각적 시도로 영역이 넓혀지고 있다.

작곡자 신윤수 또한 이러한 다각적 시도와 현대적 색채를 통한 다변화의 창작국악에 일조하고 있는 작곡자로 본 고는 2013년 작곡된 그의 작품 중 국악을 현대적 색채로 융합하여, 해금의 다채로운 소리를 담아낸 "Solo 해금과 해금 합주를 위한 〈Overture〉"를 대상으로 작품 배경을 살펴보고, 악곡의 구조를 파악, 독주 해금과 해금합주군의 선율과 리듬 등을 분석하여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음악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곡의 제목이자 작품의 배경이 되는 "Overture", 즉 서곡(序曲)이란, 본래 오페라나 연극 시작 전 막이 내려진 상태에서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곡을 뜻하기 때문에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작품이라기보다는 앞으로 전개될 음악의 도입으로만 인식되곤 한다. 하지만 서곡은 때때로 정돈된 내용으로 명확한 종지감(終止感)을 줌으로써 후속부와는 독립된 음악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음악 형식이기도 하다. 〈Overture〉는 이러한 형식적 특성을 기악 독주곡으로 착안하여 구상한 작품이다.

둘 째, 〈Overture〉는 총 148마디로 구성된 단락으로 각 단락은 악곡의 흐름에 맞추어 선율의 시작·끝마디로 총 제1단락 ~ 제4단락으로 구분된다. 모든 단락이 4/3 박자이며, 속도는 ♩=60 ,♩=42, ♩=84, ♩=42의 속도 변화가 나타난다. 한편, 서양의 작곡기법도 곡 전반에 걸쳐 드러난다. 이 곡에는 motive가 있는데 이를 반복, 변형, 확대, 축소하는 등의 선율 발전 기법을 사용하였다.

셋 째, 해금의 특징적인 본래의 소리와 음색을 표현하기 위하여 셈여림의 많은 변화를 주어 Solo해금인 동종악기 소리를 맞추기 위하여 해금I,해금II,해금III, 저음해금의 악상과 음색적 측면을 활용하였다. 해금 합주군의 음역을 지정하여 서양음악의 4성부로 구분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넷 째, 제1단락은 제목과 동일하게 도입부 형태를 지니며, 제2단락과 제3단락은 독립된 기악곡의 형태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제4단락은 명확한 종지감으로 인해 종지부 부분을 나타내는 형태다. 〈Overture〉는 이러한 의미에서 제목과 그 형식의 특징에 따라 처음 시작하는 곡이자 독립된 형태의 기악곡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Overture〉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작곡가 신윤수에 대한 작품세계를 이해하고 악곡의 전반적인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며, 이 시대의 국악 연주자들이 현대에 흐르는 문화를 잘 융합하여 실질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