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ABSTRACT 13
I. 서론 16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B. 연구대상과 방법 17
C. 연구의 제한점 19
II. 본론 20
A. 이론적 배경 20
1. 합창 20
2. 아 카펠라 21
3. 선행연구 고찰 22
B. 연구의 단계 24
1. 연구 대상 24
2. 연구 설계 24
3. W 중학교 1학년 음악수업 연간 지도계획서 25
4. 반주가 있는 합창 연습 지도안 (즐거운 여행자) 28
5. 아 카펠라를 활용한 합창연습 지도안 (도레미 송) 38
6. 연구 과정 48
7. 연구 모습 51
C. 연구결과 및 분석 52
1. 설문지 문항 분석 52
2. 공통부분 분석 결과 52
3. 제 1그룹 분석 결과 57
4. 제 2그룹 분석 결과 62
III. 결론 69
참고문헌 71
부록 73
2015 개정교육과정 음악과 81
〈표 1〉 W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1학기 음악교과 진도 계획표 26
〈표 2〉 W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2학기 음악교과 진도 계획표 27
〈표 3〉 '즐거운 여행자' 분석요약 28
〈표 4〉 W 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즐거운 여행자' 1차시 교수학습지도안 31
〈표 5〉 W 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즐거운 여행자' 2차시 교수학습지도안 33
〈표 6〉 W 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즐거운 여행자' 3차시 교수학습지도안 35
〈표 7〉 W 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즐거운 여행자' 4차시 교수학습지도안 37
〈표 8〉 '도레미 송' 분석요약 39
〈표 9〉 W 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도레미 송' 1차시 교수학습지도안 41
〈표 10〉 W 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도레미 송' 2차시 교수학습지도안 43
〈표 11〉 W 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도레미 송' 3차시 교수학습지도안 45
〈표 12〉 W 중학교 2019학년도 1학년 '도레미 송' 4차시 교수학습지도안 47
〈그림 1〉 설문지 I-2번 차트 52
〈그림 2〉 설문지 I-3번 차트 53
〈그림 3〉 설문지 I-4번 차트 53
〈그림 4〉 설문지 I-5번 차트 54
〈그림 5〉 설문지 I-6번 차트 54
〈그림 6〉 설문지 I-7번 차트 55
〈그림 7〉 설문지 I-8번 차트 55
〈그림 8〉 설문지 I-9번 차트 56
〈그림 9〉 설문지 II-1번 차트 57
〈그림 10〉 설문지 II-2번 차트 57
〈그림 11〉 설문지 II-3번 차트 58
〈그림 12〉 설문지 II-4번 차트 58
〈그림 13〉 설문지 II-5번 차트 59
〈그림 14〉 설문지 II-6번 차트 59
〈그림 15〉 설문지 II-7번 차트 60
〈그림 16〉 설문지 II-8번 차트 60
〈그림 17〉 설문지 II-9번 차트 61
〈그림 18〉 설문지 II-10번 차트 61
〈그림 19〉 설문지 III-1번 차트 62
〈그림 20〉 설문지 III-2번 차트 63
〈그림 21〉 설문지 III-3번 차트 63
〈그림 22〉 설문지 III-4번 차트 64
〈그림 23〉 설문지 III-5번 차트 64
〈그림 24〉 설문지 III-6번 차트 65
〈그림 25〉 설문지 III-7번 차트 65
〈그림 26〉 설문지 III-8번 차트 66
〈그림 27〉 설문지 III-9번 차트 66
〈그림 28〉 설문지 III-10번 차트 67
〈그림 29〉 설문지 III-11번 차트 67
〈그림 30〉 설문지 III-12번 차트 68
〈그림 31〉 설문지 III-13번 차트 68
합창은 고대 시대부터 내려온 훌륭한 학습 방법이다. 오래된 만큼 지금까지 합창연습의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왔다. 특히,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합창 연습 방법에는 많은 방법이 고안돼 왔다. 여러 연구자에 의해 정확한 호흡, 독보력의 향상, 다양한 악기의 도입 등 다양한 방법이 합창 지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아 카펠라는 사람의 목소리만을 이용하여 노래하는 방법이다. 아 카펠라는 내청 훈련, 피치 훈련, 등 많은 음악적 효과가 있으므로 합창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주가 있는 합창 연습 방법과 반주 없이 오로지 목소리만을 가지고 하는 연습 방법의 비교를 통해, 아 카펠라를 이용한 연습법의 효과와 그에 따른 청소년들의 음악적 능력의 변화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조사대상은 만12~13세의 충청남도 천안시 남녀공학 중학교 학생 180명으로서, 남학생은 96명이고, 여학생은 84명이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 상 초등학교 5~6학년 군에 가면 부분 2부 합창을 시작으로 모든 학생이 합창음악을 모두 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교육부, '별책 12_음악과 교육과정(제2015-74호)', 서울:교육부. 자료에 따라서 본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모두 2년 이상 합창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이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아 카펠라를 이용한 연습법이 피아노와 악보를 가지고 연습하던 기존 합창 연습법보다 합창음악에 대한 두려움을 덜 느끼게 하고 합창음악에 대한 호응도가 높아지며, 실제로 음악적 역량도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인쇄술과 악기가 발달하기 전부터 행해졌던 노래 전파의 방법은 그 그룹에서 정한 임의의 첫 음을 가지고 한명 의 리더가 선창하면 따라 하는 형식이었다. 요즘 지휘자나 반주자, 합창음악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방법일 수 있으나 이미 옛날부터 쓰였던 연습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합창 지도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현재는 합창음악을 오랫동안 접한 사람일수록 악보와 피아노가 없이 연습하는 것에 있어서 굉장히 두려움을 느낀다. 하지만 우리가 합창의 최고의 장점이라고 말하는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음악을 제대로 하려면 악보와 피아노는 합창음악을 돕는 동반자 정도로 두고 최고의 악기인 우리 목소리만 가지고 연습을 한다면 합창음악이 훨씬 쉽게 발전되고 많은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음악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아 카펠라를 이용한 합창 연습 방법이 참여자의 향상된 음악적 역량과 호응도를 끌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합창 연습을 주도하는 지휘자가 이를 잘 알고 활용한다면, 효과적인 합창 지도 레퍼토리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의 단일 학교에서, 특정 연령대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보편화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또한, 설문지에서 요구하는 음악적 역량은 합창 활동 외의 다른 음악 활동으로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연령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나 다른 방법을 활용한 합창 연습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 결과를 더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