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 서론 7
1.1. 연구 목적 7
1.2. 선행연구 9
1) 외국어 학습전략 9
2) 한국어 학습전략 11
3) 미국 대학 학습자 연구 13
1.3. 논문의 구성 17
2. 이론적 배경 18
2.1. 학습전략의 개념 및 분류 18
2.2. 학습자 변인과 학습전략 27
2.2.1. 학년 27
2.2.2. 성별 28
2.2.3. 모어에 따른 학습전략 29
2.2.4. 다른 외국어 학습 경험 30
2.2.5. 한국어 학습 기간 31
2.2.6. 한국 대중매체 접촉 변인 33
3. 연구 방법 36
3.1. 연구대상 36
3.2. 연구 도구 37
3.3. 연구 절차 42
4. 연구결과 44
4.1.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 사용양상 44
4.1.1.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하위영역별 학습전략의 사용양상 44
4.1.2. 개별 학습전략의 사용양상 45
4.2. 학습자 개인 변인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양상 55
4.2.1. 학년 군별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양상 55
4.2.2. 성별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양상 56
4.2.3. 모국어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양상 57
4.2.4. 한국어 학습 기간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양상 59
4.2.5. 다른 외국어 학습 유/무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양상 60
4.2.6. 대중매체 평균 접촉횟수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양상 62
4.3. 한국어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전략 64
4.4. 논의 68
4.4.1. 한국어 학습자의 하위영역별 학습전략 사용 68
4.4.2. 한국어 학습자의 개인 변인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 69
4.4.3.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전략 73
5.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8
부록 1: 언어 학습전략 설문지(영어) 85
ABSTRACT 9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Korean 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subjects were 86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Korean language class at a state university in America. The data on the Korean language strategy us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was collected by the instrument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developed by Oxford (1990).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implemented for analyzing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were matacognitive strategies followed by social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gnitive strategies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ccording to grades.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mpensation strategies and social strategies according to another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mory strategies and compens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he use of Korean mass media. Fifth, the most preferred learning strategy was repeated practice, followed by using Korean mass media and communication with Korean people.
In conclusion, the Korean learning strategies used by learners on the basis of individual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for effective and successful instructions of Korean language.*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