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초록

목차

I. 서론 10

II. 작품 형성의 이론적 배경 13

1. 경험으로 드러나는 표현 활동 13

1) 대상과 만남 13

2) 시선과 관점 15

3) 관계맺음 23

2. 공간에서 드러나는 미적 경험 26

1) 공간과 장소 그리고 이미지 26

2) 이미지와 공간 27

3) 표현으로 드러나는 예술 활동 31

III. 작품 분석 33

1. 《VIEW》를 시작하며 33

2.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36

IV. 결론 49

참고 문헌 69

Abstract 71

도판목차

(도 1) H. S. "Newsreel" Wong, 〈Bloody... 17

(도 2) Courtesy of Getty Images, 〈Stock... 18

(도 3) James Van Der Zee,... 19

(도 4) Lewis Wickes Hine, 〈Idiot children in an... 20

(도 5) 홍우성, VIEW, 〈Wake-up〉, 2016 28

(도 6) Francesco Borromini, 〈Palazzo Spada〉,... 30

(도 7) 홍우성, 〈SHIFT〉, 2011 33

(도 8) 홍우성, 〈SHIFT〉, 2011 34

(도 9) 홍우성, VIEW, 〈Beyond buoy〉2016 35

(도 10) 홍우성, 〈Before the sunrise〉, 2017 38

(도 11) 홍우성, 〈In sync〉, 2016 39

(도 12) James Turrell, 〈Ganzfelds〉, 2013 41

(도 13) 홍우성, 〈About falling〉, 2016 41

(도 14) Edward Weston, 〈halved cabbage〉, 1930 42

(도 15) Edward Weston, 〈pepper〉, 1929 43

(도 16) 홍우성, 〈The sprit of a place I〉, 2016 44

(도 17) Werner Mantz, 〈brucke in koln〉 1928 44

(도 18) 홍우성, 〈In mind〉, 2016 46

(도 19) 홍우성, 〈Before dark I,II,III〉, 2016 47

작품목차

(작품 1) 〈Before the sunrise〉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7 51

(작품 2) 〈About falling〉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7 52

(작품 3) 〈Beyond buoy〉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53

(작품 4) 〈Beyond rubber〉 100㎝x8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54

(작품 5) 〈Eternal sea〉 100㎝x8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55

(작품 6) 〈Beyond window〉 70㎝x5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56

(작품 7) 〈Before dark I〉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57

(작품 8) 〈Before dark II〉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57

(작품 9) 〈Before dark III〉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57

(작품 10) 〈In mind〉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58

(작품 11) 〈In Sync〉 100㎝x8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59

(작품 12) 〈Iron dust〉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7 60

(작품 13) 〈The bottom of a lake〉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61

(작품 14) 〈The sprit of a place I〉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62

(작품 15) 〈The sprit of a place II〉 150㎝x110㎝, Pigment ink on fine... 63

(작품 16) 〈The passage of time〉 100㎝x80㎝, Pigment ink on fine art... 64

(작품 17) 〈Trinity〉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65

(작품 18) 〈Unconquerable reed〉 100㎝x80㎝, Pigment ink on fine art... 66

(작품 19) 〈Under the bridge〉 150㎝x11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67

(작품 20) 〈Wake-up〉 100㎝x80㎝, Pigment ink on fine art paper, 2016 68

초록보기

 이 작품론은 필자의 내면에 떠오른 심상 혹은 심적 이미지를 사진으로 표현하고자 한 프로젝트인《VIEW》展에 관한 것이다. 사진은 명시적으로는 해석이 필요하지 않지만 그 이면에는 해석이 필요한 함축적인 메시지로 현대 사회에서 많이 사용된다.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진을 사용할 때 일상어처럼 이용한다. 사진이 일상을 넘어서 예술의 도구로 사용될 때에는 사진은 마치 시(詩)와 같다. 상징적이며 함축적인 동시에 지극히 주관적일 때도 있다. 모든 예술이 작가의 개인적인 체험과 느낌이 드러나기 마련이지만 사진은 실상을 복제하기 때문에 보다 직접적인 이미지로 메세지를 전달을 한다. 언어를 사용하는 시(詩)가 언어가 담지 못하는 표현을 담아내듯이 매우 사실적인 사진도 그 명시성을 넘어 이면을 보여줄 수 있다. 즉 사진이 담아낸 피사체는 눈에 보이는 것을 넘어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말하며, 작가는 이를 통하여 자신의 의도를 담고자 한다. 대상을 보고 느낀 심상 혹은 심적 이미지는 관념 속에 존재하지만 은폐되어 있다. 본 작품론에서는 심상 혹은 심적 이미지를 드러내기 위한 탐구과정으로 대상과 공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그에 따른 표현법으로 건축에서 언급되는 '장소성'의 개념을 차용하여 대상의 낯선 측면을 작품을 통해 제시하였다. 필자는 마르틴 부버(Martin Buber)의 '나와 너'의 개념을 기본으로 대상과의 만남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푼크툼'이란 초월적 의미작용이 본 작품의 경우에도 함축적 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번 작품은 사소하고 평범한 대상을 통해 느낀 심상을 사진 조형을 통해 미적 체험의 대상으로 다시-제시(re-presentation)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