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2. 연구문제 14

3. 용어의 정의 14

3.1.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 활동 14

3.2. 일상생활 관련 글 읽기 15

3.3. 읽기학습 부진 학생 15

3.4. 읽기능력 15

II. 연구방법 16

1. 연구대상 16

1.1. 대상학생의 선정 16

1.2. 대상학생의 특성 16

2. 연구설계 19

2.1. 연구절차 19

3. 연구도구 20

3.1. 평가도구 20

3.2. 중재도구 25

4. 자료처리 34

III. 연구 결과 35

1.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 활동이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35

1.1. 학생 A 35

1.2. 학생 B 38

1.3. 학생 C 41

2.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 활동이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44

2.1. 학생 A 44

2.2. 학생 B 46

2.3, 학생 C 48

IV. 논의 및 결론 50

1. 논의 50

2. 결론 52

참고문헌 54

부록 56

〈부록 1〉 읽기이해 사전평가 글 57

〈부록 2〉 읽기이해 사전평가 질문지 61

〈부록 3〉 읽기이해 사후평가 글 66

〈부록 4〉 읽기이해 사후평가 질문지 74

〈부록 5〉 학생이 답한 읽기이해 질문지 (예시) 81

〈부록 6〉 읽기태도 검사지 89

〈부록 7〉 프로그램에 사용된 글감 93

〈부록 8〉 학생이 작성한 마인드맵 활동 결과물 (예시) 97

Abstract 101

표목차

〈표 1〉 학생A의 특성 16

〈표 2〉 학생B의 특성 17

〈표 3〉 학생C 특성 18

〈표 4〉 연구 일정 20

〈표 5〉 읽기이해 사전, 사후평가 글 22

〈표 6〉 읽기이해 검사지의 질문구성 22

〈표 7〉 읽기이해 검사지의 채점기준 22

〈표 8〉 읽기이해 검사지의 채점예시 23

〈표 9〉 읽기태도 검사지 문항 24

〈표 10〉 마인드맵 회기별 교수절차 25

〈표 11〉 회기별 마인드맵의 교수학습 내용 27

〈표 12〉 일상생활 관련 읽기 프로그램 회기별 내용 28

〈표 13〉 회기별 오프라인과 온라인 활동내용 29

〈표 14〉 회기별 활동계획안 32

〈표 15〉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 활동 종합표 33

〈표 16〉 학생 A의 글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점수 35

〈표 17〉 학생 B의 글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점수 38

〈표 18〉 학생 C의 글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점수 41

〈표 19〉 학생 A의 읽기태도의 변화 44

〈표 20〉 학생 B의 읽기태도의 변화 46

〈표 21〉 학생 C의 읽기태도의 변화 48

그림목차

〈그림 1〉 중심이미지와 큰 가지, 작은 가지를 이용하여 그린 마인드맵 26

〈그림 2〉 학생 A의 글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 그래프 36

〈그림 3〉 학생 A의 글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 그래프 36

〈그림 4〉 학생A의 읽기이해 사전사후 평가점수 총합 37

〈그림 5〉 학생B의 글의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 그래프 39

〈그림 6〉 학생B의 글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 그래프 39

〈그림 7〉 학생B의 읽기이해 사전사후 평가점수 총합 40

〈그림 8〉 학생C의 글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 그래프 42

〈그림 9〉 학생C의 글의 종류별 읽기이해 사전 사후 평가 그래프 42

〈그림 10〉 학생C의 읽기이해 사전사후 평가점수 총합 43

〈그림 11〉 학생 A의 읽기태도의 변화 45

〈그림 12〉 학생 B의 읽기태도의 변화 47

〈그림 13〉 학생 C의 읽기태도의 변화 48

초록보기

 읽기는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기술로 우리가 독립적인 삶을 살기 위한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읽기능력의 결함으로 인한 반복된 실패경험은 학생이 좌절감을 느끼게 하며 읽기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낮아지게 하며 학습에 대한 동기도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글감을 활용하여 학생에게 흥미로운 주제로 자신의 경험과 쉽게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통해 동기를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글의 구조를 시각화 하는 활동은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회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마인드맵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활동이 읽기학습부진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활동이 학생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활동이 학생의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읽기학습부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서울 영등포구에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낮은 읽기능력으로 교사에 의해 치료교육을 권유받아 사설치료센터에서 인지, 언어치료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중 본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 3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과 관련된 읽기활동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읽기이해와 읽기태도에 관련된 사전, 사후평가를 통해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프로그램동안 학생이 보이는 모습을 관찰한 관찰 기록지를 참고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대상학생 모집 및 선정, 예비연구 실시, 사전평가, 중재, 사후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활동을 실시한 결과 3명의 읽기학습부진 학생 모두 읽기이해 점수가 향상되었다.

둘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활동을 실시한 결과 2명의 학생은 읽기태도점수가 향상하였으나 1명의 학생은 읽기태도 점수가 하락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마인드맵을 활용한 활동은 저학년 학생에게도 읽기이해와 글에 대한 관심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상생활 관련 읽기활동을 소·대집단 상황에서 활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