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30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 목적 및 의의 34

제2절 선행연구 고찰 39

제3절 연구 설정 및 개요 43

1. 연구 문제 43

2. 연구 범위와 자료 43

3. 연구 방법과 내용 50

제2장 직공도 및 6세기 복식 개요 57

제1절 중국의 직공제도와 직공도 57

1. 직공도의 제작배경 57

2. 중국의 직공제도 60

3. 직공도의 종류 61

4. 《王會圖》 염립본(閻立本)의 화풍 69

제2절 6세기 아시아 지역 복식 개요 76

1. 중국의 유군형(유裙形)과 고습형(袴褶形) 76

2. 동이권(東夷圈)의 유고형(유袴形) 79

3. 서북제융권(西北諸戎圈)의 의고형(衣袴形) 81

4. 서역제국권(西域諸國圈)의 관두의형(貫頭衣形) 82

제3장 《王會圖》 등장국가 및 사신복식 고찰 83

제1절 동이(東夷) 83

1. 고구려국(高句麗國) 83

2. 백제국(百濟國) 94

3. 신라국(新羅國) 103

4. 왜국(倭國) 110

제2절 서역제국(西域諸國) 119

1. 파사국(波斯國) 119

2. 말국(靺國) 128

3. 구자국(龜玆國) 133

4. 가발단국(呵跋檀國) 140

5. 주고가국(周古柯國) 145

6. 호밀단국(胡密丹國) 147

7. 백제국(白題國) 149

8. 우전국(於전國) 153

9. 갈반타국(渴盤陀國) 158

제3절 서북제융(西北諸戎) 163

1. 예예국(芮芮國) 163

2. 무흥국(武興國) 167

3. 탕창국(宕昌國) 173

4. 등지국(鄧至國) 176

5. 노국(虜國) 181

제4절 만(蠻) 186

1. 건평단국(建平蜑國) 186

2. 여단국(女蜑國) 190

제5절 서남이(西南夷) 193

1. 중천축국(中天竺國) 193

2. 북천축국(北天竺國) 198

3. 낭아수국(狼牙脩國) 201

4. 사자국(師子國) 206

《職貢圖》의 국가 등장연유(내용없음) 6

제4장 《王會圖》 사신복식의 특징 219

제1절 복식유형 219

1. 단의(短衣) 220

2. 장의(長衣) 225

3. 요의(腰衣) 237

제2절 깃[領]형태 247

1. 직령(直領) 247

2. 번령(翻領) 251

3. 단령(團領) 257

4. 선(선) 263

제3절 직물문양 270

1. 연주문(連珠紋) 270

2. 간문(간紋) 282

제5장 《王會圖》 사신복식과 당대(唐代) 실크로드 복식 관계 292

제1절 5~9세기 실크로드 단·번령의(團·翻領衣) 292

1. 이란(Iran) 293

2. 타지키스탄(Tajikistan) 294

3.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296

4. 중국(China) 298

제2절 《王會圖》 사신복식과 실크로드 복식의 유형분류 345

1. 5~9세기 실크로드 단·번령의(團·翻領衣)의 유형분류 345

2. 《王會圖》의 단·번령의(團·翻領衣)의 영향 351

제6장 결론 355

참고문헌 365

ABSTRACT 429

표목차

〈표 I-1〉 硏究資料 考察 範圍(亞細亞) 45

〈표 I-2〉 王會圖 出現國 『南史』, 『梁書』, 『南齊書』, 『宋書』 區分方式 比較 47

〈표 I-3〉 中國正史에 나타난 職貢圖 國家 記錄의 有無 48

〈표 I-4〉 中國正史 王朝 및 編纂 時期 49

〈표 I-5〉 Köppen's classification of climate 53

〈표 III-1〉 《王會圖》 使臣服飾 212

〈표 III-2〉 南朝代 朝貢 및 冊封 紀錄 (近郊 除授國) 216

〈표 III-3〉 南朝代 朝貢 및 冊封 紀錄 (遠郊 交流國) 217

〈표 III-4〉 南朝代 朝貢 및 冊封 紀錄 (梁內 少數民族) 218

〈표 III-5〉 南朝代 朝貢 및 冊封 紀錄 (郊外 相制國) 218

〈표 IV-1〉 短衣 着用 使臣 220

〈표 IV-2〉 短衣 着用 使臣服飾 特徵 224

〈표 IV-3〉 長衣 着用 使臣 226

〈표 IV-4〉 長衣 着用 使臣服飾 特徵 233

〈표 IV-5〉 腰衣 着用 使臣 237

〈표 IV-6〉 腰衣 着用 使臣服飾 特徵 240

〈표 IV-7〉 6C 衣服形態別 地域區分 및 氣候風土와 社會文化 244

〈표 IV-8〉 梁代 및 前·後代[後漢~唐] 交流 有無 246

〈표 IV-9〉 直領 着用 使臣 247

〈표 IV-10〉 翻領 着用 使臣 251

〈표 IV-11〉 表衣 團領 着用 使臣 257

〈표 IV-12〉 內衣 團領 着用 使臣 259

〈표 IV-13〉 선裝飾 長衣 着用 使臣 263

〈표 IV-14〉 선裝飾 短衣 着用 使臣 264

〈표 IV-15〉 선裝飾 袴 着用 使臣 267

〈표 IV-16〉 6C 領 形態別 地域區分 269

〈표 IV-17〉 連珠紋 裝飾 使臣 271

〈표 IV-18〉 圓紋 裝飾 使臣 272

〈표 IV-19〉 간紋 裝飾 使臣 283

〈표 IV-20〉 6C 織物紋樣別 地域區分 291

〈표 V-1〉 5~9C 團·翻領衣 地域的 特徵 348

〈표 V-2〉 5~9C 團·翻領衣 形態的 特徵 350

〈표 V-3〉 《王會圖》 團·翻領衣 特徵 351

〈표 V-4〉 胡服樣式의 《王會圖》 使臣과 視覺資料 352

〈표 V-5〉 中國樣式II의 《王會圖》 使臣과 視覺資料 353

〈표 V-6〉 中國樣式 I의 《王會圖》 使臣과 視覺資料 354

그림목차

〈그림 I-1〉 Koppen's classification of climate 52

〈그림 I-2〉 論文 展開圖 56

〈그림 II-1〉 北朝·南朝 武士 58

〈그림 II-2〉 唐代 職貢圖 《王會圖》 63

〈그림 II-3〉 五代南唐 職貢圖 《蕃客入朝圖》 65

〈그림 II-4〉 北宋代 職貢圖 《梁職貢圖》 67

〈그림 II-5〉 歷代帝王圖卷 71

〈그림 II-6〉 蕭翼잠蘭亭圖 72

〈그림 II-7〉 蠻夷職貢圖 73

〈그림 II-8〉 步輩圖 74

〈그림 II-9〉 朝鮮人 75

〈그림 II-10〉 士大夫 服飾 78

〈그림 II-11〉 文官 服飾 78

〈그림 II-12〉 樂士 服飾 78

〈그림 II-13〉 崔家營墓出土 大袖俑 78

〈그림 II-14〉 崔家營墓出土 小袖俑 78

〈그림 II-15〉 三室塚 寬袴 80

〈그림 II-16〉 長川1號墳 窮袴 80

〈그림 II-17〉 安岳3號墳 袍 80

〈그림 III-1〉 雙楹塚 壁畫 鳥羽冠 89

〈그림 III-2〉 李賢墓 壁畫 鳥羽冠 89

〈그림 III-3〉 鎧馬塚 壁畫 鳥羽飾 蘇骨 89

〈그림 III-4〉 長川1號墳 壁晝 左衽 長유 89

〈그림 III-5〉 水山里 壁畫 左衽 長유 89

〈그림 III-6〉 德興里 壁畫 合衽 長유 89

〈그림 III-7〉 高句麗人 90

〈그림 III-8〉 高句麗人 揷畫 90

〈그림 III-9〉 高句麗人 揷畫 改劃 90

〈그림 III-10〉 太王陵出土 金銅冠의 稷櫚文樣 91

〈그림 III-11〉 稷櫚紋 吐器 91

〈그림 III-12〉 雙楹塚 壁畫 靴 91

〈그림 III-13〉 安岳3號墳 壁畫 官服1 服飾 92

〈그림 III-14〉 安岳3號墳 壁畫 官服2 服飾 92

〈그림 III-15〉 安岳3號墳 壁畫 官服3 服飾 92

〈그림 III-16〉 德興里 壁畫 官服 服飾 93

〈그림 III-17〉 遼陽北園3號墳 壁畫 官服 服飾 93

〈그림 III-18〉 舞踊手 領 100

〈그림 III-19〉 秋胡婦人 領 100

〈그림 III-20〉 侍女 領 100

〈그림 III-21〉 秋胡 領 100

〈그림 III-22〉 舞踊塚 壁畫 舞踊手1 領 100

〈그림 III-23〉 舞踊塚 壁畫 舞踊手2 領 100

〈그림 III-24〉 角抵塚 壁畫 主人 領 101

〈그림 III-25〉 角抵琢 壁畫 侍女1 領 101

〈그림 III-26〉 角抵稼 壁畫 侍女2 領 101

〈그림 III-27〉 百濟人 102

〈그림 III-28〉 百濟人 102

〈그림 III-29〉 百濟人 揷畫 改劃 102

〈그림 III-30〉 長川1號墳 方形帽 107

〈그림 III-31〉 長川1號墳 壁畫 服飾考證 107

〈그림 III-32〉 新羅人 108

〈그림 III-33〉 新羅人 揷畫 108

〈그림 III-34〉 Envoy GOMA of Ancient(新羅·高句麗·百濟) 109

〈그림 III-35〉 倭人 114

〈그림 III-36〉 倭人 揷畫 114

〈그림 III-37〉 克孜爾石窟 壁畫 彌勒 115

〈그림 III-38〉 橫幅の布を卷 116

〈그림 III-39〉 貫頭衣 布衫 116

〈그림 III-40〉 推古天皇の服裝 116

〈그림 III-41〉 埴輪(はにわ) 116

〈그림 III-42〉 埴輪 服飾 揷畫 116

〈그림 III-43〉 衣褌 服飾 考證 116

〈그림 III-44〉 百濟 金冠 117

〈그림 III-45〉 日本 金冠 117

〈그림 III-46〉 東夷 使臣國 位置 118

〈그림 III-47〉 Sasanian 官吏 帽子 124

〈그림 III-48〉 Sasanian 鬪帽 124

〈그림 III-49〉 Sasanian 銅錢 帽子 124

〈그림 III-50〉 Parthian 125

〈그림 III-51〉 Sassanian1 125

〈그림 III-52〉 Sassanian2 125

〈그림 III-53〉 Ajanta17號窟 壁畫 波斯人 125

〈그림 III-54〉 Ajantal號窟 壁畫 波斯人 125

〈그림 III-55〉 Sogdian 表衣 126

〈그림 III-56〉 波斯人1 表衣 126

〈그림 III-57〉 波斯人2 表衣 126

〈그림 III-58〉 波斯人 Kandys 127

〈그림 III-59〉 克孜爾石窟 壁畫 供養人 表衣 127

〈그림 III-60〉 克孜爾石窟 壁畫 供養人 服飾 揷畫 127

〈그림 III-61〉 波斯人 128

〈그림 III-62〉 波斯人 揷畫 128

〈그림 III-63〉 波斯人 揷畫 改劃 128

〈그림 III-64〉 Phanagoria의 氈帽 130

〈그림 III-65〉 樓蘭出土 氈帽 130

〈그림 III-66〉 樓蘭 小河墓出土 氈帽 130

〈그림 III-67〉 Pazyryk2號墳 貫頭衣 131

〈그림 III-68〉 山普拉墓 貫頭衣 131

〈그림 III-69〉 中東地域 貫頭衣 團領 131

〈그림 III-70〉 中東地域 貫頭衣 132

〈그림 III-71〉 靺人 133

〈그림 III-72〉 靺人 揷畫 133

〈그림 III-73〉 靺人 揷畫 改劃 133

〈그림 III-74〉 克孜爾192號窟 壁畫 供養人 表衣 137

〈그림 III-75〉 克孜爾198號窟 壁畫 供養人 表衣 137

〈그림 III-76〉 龜茲人 138

〈그림 III-77〉 龜茲人 揷畫 138

〈그림 III-78〉 龜茲人 揷畫 改劃 138

〈그림 III-79〉 焦化廠地域 壁畫 臣下 腰帶 139

〈그림 III-80〉 吐魯番出土 文官土俑 腰帶 139

〈그림 III-81〉 哈拉和卓 壁畫 回鶻人 腰帶 139

〈그림 III-82〉 克孜爾石窟 壁畫 腰帶 139

〈그림 III-83〉 克孜爾石窟 壁畫 腰帶 揷畫 139

〈그림 III-84〉 Bezeklik石窟 壁畫 維吾爾人 王族 腰帶 139

〈그림 III-85〉 Sogdian 胡騰舞踊手 靴 140

〈그림 III-86〉 連珠紋 142

〈그림 III-87〉 克孜爾石窟 壁畫 翻領裝飾 142

〈그림 III-88〉 吐魯番出土 胡服美人圖 翻領裝飾 142

〈그림 III-89〉 克孜爾石窟 壁畫 供養人 紐 142

〈그림 III-90〉 李思摩墓 壁畫 侍女 表衣 紐 143

〈그림 III-91〉 警備員 表衣 紐 143

〈그림 III-92〉 房陵公主墓 壁畫 侍女 紐 143

〈그림 III-93〉 焦化廠地域 壁畫 侍從1 表衣 紐 144

〈그림 III-94〉 焦化廠地域 壁畫 侍從2 表衣 紐 144

〈그림 III-95〉 洛陽出土 三彩俑 翻領 紐 144

〈그림 III-96〉 呵跋檀人 145

〈그림 III-97〉 呵跋檀人 揷畫 145

〈그림 III-98〉 呵跋檀人 揷畫 改劃 145

〈그림 III-99〉 唐氏墓 壁畫 胡人 靴 146

〈그림 III-100〉 周古柯人 147

〈그림 III-101〉 周古柯人 揷畫 147

〈그림 III-102〉 胡密丹人 149

〈그림 III-103〉 胡密丹人 揷畫 149

〈그림 III-104〉 胡密丹人 揷畫 改劃 149

〈그림 III-105〉 白題人 151

〈그림 III-106〉 白題人 揷畫 151

〈그림 III-107〉 白題人 揷畫 改劃 151

〈그림 III-108〉 將軍兵馬俑 服飾 152

〈그림 III-109〉 將軍兵馬俑 服飾 揷畫 152

〈그림 III-110〉 尼雅1號墳出土 王子 服飾 153

〈그림 III-111〉 尼雅1號墳出土 王子 服飾 揷畫 153

〈그림 III-112〉 Taq-i Bustan robe pattern 156

〈그림 III-113〉 北魏 壁畫 胡人 靴 157

〈그림 III-114〉 唐氏墓 壁畫 胡人 靴 157

〈그림 III-115〉 崔氏墓 壁畫 警備隊 靴 157

〈그림 III-116〉 于전人 158

〈그림 III-117〉 于전人 揷畫 158

〈그림 III-118〉 于전人 揷畫 改劃 158

〈그림 III-119〉 Ajanta石窟 壁畫 外國人1 翻領 160

〈그림 III-120〉 Ajanta石窟 壁畫 外國人2 翻領 160

〈그림 III-121〉 渴盤陀人 161

〈그림 III-122〉 渴盤陀人 揷畫 161

〈그림 III-123〉 渴盤陀人 揷畫 改劃 161

〈그림 III-124〉 西域諸國 使臣國 位置 162

〈그림 III-125〉 克孜爾石窟 壁畫 供養人 織物文樣 165

〈그림 III-126〉 Kamennaya baba 腰帶 165

〈그림 III-127〉 皇南大塚 腰帶 165

〈그림 III-128〉 金粧飾 腰帶 166

〈그림 III-129〉 芮芮人 167

〈그림 III-130〉 芮芮人 揷畫 167

〈그림 III-131〉 芮芮人 揷畫 改劃 167

〈그림 III-132〉 婁睿墓 壁畫 喇叭手 幅巾 170

〈그림 III-133〉 司馬金龍墓 出土 武士俑 幅巾 170

〈그림 III-134〉 李壽墓 壁畫 警備隊 突騎帽 171

〈그림 III-135〉 庫狄回洛出土 武士俑 突騎帽 171

〈그림 III-136〉 官吏土俑 風帽 171

〈그림 III-137〉 高潤墓 壁畫 武人 幅巾 171

〈그림 III-138〉 徐顯秀墓 壁畫 武人 幅巾 171

〈그림 III-139〉 九原崗墓 壁畫 騎馬人 幅巾 171

〈그림 III-140〉 武興人 172

〈그림 III-141〉 武興人 揷畫 172

〈그림 III-142〉 宕昌人 176

〈그림 III-143〉 宕昌人 揷畫 176

〈그림 III-144〉 宕昌人 揷晝 改劃 176

〈그림 III-145〉 孝子 壁畫 幅巾 178

〈그림 III-146〉 雲岡石窟 鮮卑人 幅巾 178

〈그림 III-147〉 鮮卑人 幅巾 178

〈그림 III-148〉 三彩樂人 笛手俑 幅巾 179

〈그림 III-149〉 三彩樂人 鼓手俑 幅巾 179

〈그림 III-150〉 樂人土俑 幅巾 179

〈그림 III-151〉 俳優俑 幅巾 179

〈그림 III-152〉 鄧至人 180

〈그림 III-153〉 部至人 揷畫 180

〈그림 III-154〉 部至人 揷畫 改劃 180

〈그림 III-155〉 虜人 I 182

〈그림 III-156〉 虜人 I 揷畫 182

〈그림 III-157〉 虜人 I 揷晝 改劃 182

〈그림 III-158〉 虜人 II 183

〈그림 III-159〉 虜人 II 揷畫 183

〈그림 III-160〉 高逸圖의 竹林七賢 頭巾 183

〈그림 III-161〉 西北諸戎 使臣國 位置 185

〈그림 III-162〉 建平蜑人 188

〈그림 III-163〉 建平蜑人 揷畫 188

〈그림 III-164〉 建平蜑人 揷畫 改劃 188

〈그림 III-165〉 星座 巖刻畫 188

〈그림 III-166〉 男俑 袍 着裝 189

〈그림 III-167〉 Nestorian寺院 壁畫 供養人 袍 着裝 189

〈그림 III-168〉 女蜑人 191

〈그림 III-169〉 女蜑人 揷畫 191

〈그림 III-170〉 女蜑人 揷畫 改劃 191

〈그림 III-171〉 蠻 使臣國 位置 192

〈그림 III-172〉 中天竺人 196

〈그림 III-173〉 中天竺人 揷畫 196

〈그림 III-174〉 Ajanta17號窟 壁畫 天竺人1 上衣 197

〈그림 III-175〉 Ajanta17號窟 壁畫 天竺人2 上衣 197

〈그림 III-176〉 Ajanta17號窟 壁畫 天竺人3 下衣 197

〈그림 III-177〉 Ajanta17號窟 壁畫 天竺人4 下衣 197

〈그림 III-178〉 Ajanta17號窟 壁畫 天竺人5 下衣 197

〈그림 III-179〉 Ajanta2號窟 壁畫 人物 腰衣 198

〈그림 III-180〉 Ellora33號窟 壁畫 人物 腰衣 198

〈그림 III-181〉 Birth of a Bodhisattva 腰衣 199

〈그림 III-182〉 克孜爾石窟 壁畫 難陀 腰衣 199

〈그림 III-183〉 Manichaean Book 腰衣 199

〈그림 III-184〉 西南夷 彩俑 腰衣 200

〈그림 III-185〉 Sampot Chang Kben 着裝法 200

〈그림 III-186〉 北天竺人 201

〈그림 III-187〉 北天竺人 揷畫 201

〈그림 III-188〉 北天竺人 揷畫 改劃 201

〈그림 III-189〉 狼牙脩人 203

〈그림 III-190〉 狼牙脩人 揷畫 203

〈그림 III-191〉 海南人俑1 腰衣 204

〈그림 III-192〉 海南人俑2 腰衣 204

〈그림 III-193〉 the enlightenment cycle 浮彫 身體 裝飾 205

〈그림 III-194〉 克孜爾38號窟 壁畫 身體 裝飾 205

〈그림 III-195〉 敦煌220號窟 壁畫 西南夷 使臣 205

〈그림 III-196〉 敦煌103號窟 壁畫 西南夷 使臣 205

〈그림 III-197〉 師子人 207

〈그림 III-198〉 師子人 揷畫 207

〈그림 III-199〉 Sigiriya 壁畫 女人1 下衣 208

〈그림 III-200〉 Sigiriya 壁畫 女人2 下衣 208

〈그림 III-201〉 西南夷 使臣國 位置 209

〈그림 IV-1〉 短衣 着用 使臣國 位置 및 氣候 221

〈그림 IV-2〉 Akha族 短裾·行縢 224

〈그림 IV-3〉 苗族 短裾·行縢 224

〈그림 IV-4〉 長衣 着用 使臣國 位置 및 氣候 227

〈그림 IV-5〉 中國 平均 氣溫 230

〈그림 IV-6〉 Thobe 234

〈그림 IV-7〉 Qashqai 衣服 234

〈그림 IV-8〉 Pheron 235

〈그림 IV-9〉 Felt Cape 235

〈그림 IV-10〉 維吾爾族 長袍 236

〈그림 IV-11〉 柯彛克孔族 長袍 236

〈그림 IV-12〉 Del 236

〈그림 IV-13〉 帕帕頭上戴 236

〈그림 IV-14〉 腰衣 着用 使臣國 位置 및 氣候 238

〈그림 IV-15〉 Pha sarong 241

〈그림 IV-16〉 Sarong 241

〈그림 IV-17〉 Cambodia hipwrapper1 241

〈그림 IV-18〉 Cambodia hipwrapper2 241

〈그림 IV-19〉 西安地域 壁畫 直領衣 248

〈그림 IV-20〉 男俑 直領衣 248

〈그림 IV-21〉 女俑 直領衣 248

〈그림 IV-22〉 直領의 冥衣 249

〈그림 IV-23〉 直領의 유 249

〈그림 IV-24〉 安岳3號墳 壁畫 行列人 直領衣 250

〈그림 IV-25〉 長川1號墳 壁畫 侍女 直領衣 250

〈그림 IV-26〉 水山里 壁畫 下人 直領衣 250

〈그림 IV-27〉 舞踴塚 壁畫 主人 直領衣 250

〈그림 IV-28〉 舞踴塚 壁畫 騎馬人 直領衣 250

〈그림 IV-29〉 百濟金銅大香爐 舞踴手 直領衣 250

〈그림 IV-30〉 敦煌390號窟 壁畫 供養人 翻領 252

〈그림 IV-31〉 克孜爾189號窟 壁畫 供養人 翻領 252

〈그림 IV-32〉 克孜爾14號窟 壁畫 商人 翻領 252

〈그림 IV-33〉 章懷太子墓 壁畫 騎馬人 翻領 253

〈그림 IV-34〉 章懷太子墓 壁畫 警護大將 翻領 253

〈그림 IV-35〉 韋泂墓 壁畫 侍從 翻領 253

〈그림 IV-36〉 房陵公主墓 壁畫 男裝侍女 翻領 254

〈그림 IV-37〉 章懷太子墓 壁畫 侍女 翻領 254

〈그림 IV-38〉 楊諫臣墓 胡服女俑 翻領 254

〈그림 IV-39〉 西安出土 胡人土俑 翻領 255

〈그림 IV-40〉 洛陽出土 土俑 翻領 255

〈그림 IV-41〉 永泰公主墓 胡人土俑 翻領 255

〈그림 IV-42〉 西安出土 女俑 翻領 256

〈그림 IV-43〉 契明墓出土 胡人俑 翻領 256

〈그림 IV-44〉 洛陽出土 胡人三彩俑 翻領 256

〈그림 IV-45〉 吐魯番出土 胡人木俑 翻領 256

〈그림 IV-46〉 胡人土俑 翻領 256

〈그림 IV-47〉 慶州 武士胡人 浮彫 翻領 256

〈그림 IV-48〉 敦煌285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 258

〈그림 IV-49〉 敦煌288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 258

〈그림 IV-50〉 敦煌288號窟 壁畫 馬夫 團領 258

〈그림 IV-51〉 克孜爾184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 258

〈그림 IV-52〉 胡人三彩俑 團領 258

〈그림 IV-53〉 水山里古墳 壁畫 夫人1 直領+團領 260

〈그림 IV-54〉 水山里古墳 壁畫 夫人2 直領+團領 260

〈그림 IV-55〉 雙楹塚古墳 壁畫 夫人 直領+團領 260

〈그림 IV-56〉 婁睿墓 壁畫 侍從 直領+團領 261

〈그림 IV-57〉 婁睿墓 壁畫 警備隊 直領+團領 261

〈그림 IV-58〉 徐顯秀墓 壁畫 警備隊 直領+團領 261

〈그림 IV-59〉 韋貴妃墓 壁畫 警備隊 翻領+團領 262

〈그림 IV-60〉 永泰公主墓 壁畫 男裝侍女 翻領+團領 262

〈그림 IV-61〉 唐氏墓 壁畫의 胡人 翻領+團領 262

〈그림 IV-62〉 永泰公主墓出土 三彩俑騎馬人 翻領+團領 262

〈그림 IV-63〉 三彩俑 駱駝騎手 翻領+團領 262

〈그림 IV-64〉 尼雅1號墳出土 王子服飾 선奬飾 衣 264

〈그림 IV-65〉 尼雅1號墳 揷畫 264

〈그림 IV-66〉 韋貴妃墓 壁畫 胡人 선裝飾 袍 265

〈그림 IV-67〉 徐顯秀墓 壁畫 侍女 선裝飾 袍 265

〈그림 IV-68〉 Silk Robe 前 265

〈그림 IV-69〉 韋泂墓 壁畫 官吏 선裝飾 袍 266

〈그림 IV-70〉 吐魯番出土 侍女 土俑 선裝飾 袍 266

〈그림 IV-71〉 Кавказские горы 선裝飾 袍 266

〈그림 IV-72〉 尼雅1號墳出土 王子服飾 선裝飾 袴 267

〈그림 IV-73〉 夫婦合葬墓出土 선裝飾 袴 267

〈그림 IV-74〉 駱駝城苦水口1 號墳 壁畫 선裝飾 袴 268

〈그림 IV-75〉 舞踊塚 壁畫 侍從 선裝飾 袴 268

〈그림 IV-76〉 天壽國繡帳 선裝飾 袴 268

〈그림 IV-77〉 Ardashir II 273

〈그림 IV-78〉 ShapurIII 273

〈그림 IV-79〉 KhusrawII 273

〈그림 IV-80〉 Anahita, Khusraw II, Ahura Mazda 揷畫 273

〈그림 IV-81〉 固原出土 靑銅裝飾 人物의 連珠紋 274

〈그림 IV-82〉 固原出土 土器 連珠紋 274

〈그림 IV-83〉 粟特出土 納骨器 連珠紋 274

〈그림 IV-84〉 阿斯塔那39號墳 出土 圓紋 織物 275

〈그림 IV-85〉 于전古城遺蹟出土 連珠紋 織物 275

〈그림 IV-86〉 克孜爾石窟 壁畫 供養人 表衣 連珠紋 275

〈그림 IV-87〉 Khotan出土 Three-handled jar 連珠紋 276

〈그림 IV-88〉 Ctesiphon出土 Stucco1 連珠紋 276

〈그림 IV-89〉 Ctesiphon出土 Stucco2 連珠紋 276

〈그림 IV-90〉 吐魯番出土 鹿連珠紋, 鸞鳥連珠紋, 雙鳳連珠紋 276

〈그림 IV-91〉 Persia 獸連珠紋 277

〈그림 IV-92〉 吐谷渾古墳出土 人物連珠紋 277

〈그림 IV-93〉 石彫 人物의 表衣 連珠紋 278

〈그림 IV-94〉 克孜爾石窟 壁畫 供養人1 表衣 連珠紋 278

〈그림 IV-95〉 克孜爾石窟 壁畫 供養人2 表衣 連珠紋 278

〈그림 IV-96〉 吐蕃人 祿束贊 團領袍 連珠紋 279

〈그림 IV-97〉 Taq-i Bustan 浮彫 Robe 連珠紋 279

〈그림 IV-98〉 徐顯秀墓 壁畫 侍女 裙 連珠紋 280

〈그림 IV-99〉 Silk Robe 後 280

〈그림 IV-100〉 Sogdian Silk Robe 連珠紋 280

〈그림 IV-101〉 Sogdian Prince's Silk Coat 連珠紋 280

〈그림 IV-102〉 Sogdian Silk Robe 雙獸紋連珠紋 281

〈그림 IV-103〉 Sogdian Silk Robe 鹿紋連珠紋 281

〈그림 IV-104〉 Afrasiab 壁畫 Chaganian 團領袍 連珠紋 揷畫 282

〈그림 IV-105〉 苦水口1號墳 壁畫 侍女 간裙 284

〈그림 IV-106〉 花海畢家灘26號墳出土 간裙 284

〈그림 IV-107〉 營盤墓出土 간裙 284

〈그림 IV-108〉 阿斯塔那4號墳出土 女俑 간裙 284

〈그림 IV-109〉 龕神塚 壁畫 夫人 간裙 285

〈그림 IV-110〉 水山里 壁畫 夫人 간裙 285

〈그림 IV-111〉 德興里 壁晝 織女 간裙 285

〈그림 IV-112〉 敦煌285號窟 壁畫 供養人 간裙 286

〈그림 IV-113〉 敦煌288號窟 壁畫 供養人 간裙 286

〈그림 IV-114〉 敦煌390號窟 壁畫 供養人 간裙 286

〈그림 IV-115〉 阿斯塔那出土 騎馬女俑 간裙 286

〈그림 IV-116〉 阿斯塔那出土 舞女俑1 간裙 286

〈그림 IV-117〉 阿斯塔那出土 舞女俑2 간裙 286

〈그림 IV-118〉 高松塚 壁畫 夫人1 간裙[間縫裳] 287

〈그림 IV-119〉 高松塚 壁畫 夫人2 간裙[間縫裳] 287

〈그림 IV-120〉 간裙[間縫裳] 287

〈그림 IV-121〉 阿斯塔那187號墳 兒童 간袴 288

〈그림 IV-122〉 步輦圖 宮女의 간裙과 간袴 288

〈그림 IV-123〉 張家山 壁畫 男裝侍女 간袴 289

〈그림 IV-124〉 李爽墓 壁畫 男裝侍女 간袴 289

〈그림 IV-125〉 李風墓 壁畫 男裝侍女 간袴 289

〈그림 IV-126〉 燕妃墓 壁畫 男裝侍女 간袴 289

〈그림 IV-127〉 房陵公主墓 壁畫 男裝侍女 간袴 289

く그림 IV-128〉 章懷太子墓 壁畫 侍女 간袴 289

〈그림 V-1〉 Sasanian 統治者1 團領短衣 293

〈그림 V-2〉 Sasanian 統治者2 團領短衣 293

〈그림 V-3〉 Sasanian 統治者3 團領短衣 293

〈그림 V-4〉 Sasanian 騎馬人 翻領長衣 294

〈그림 V-5〉 騎士1 團領長衣 294

〈그림 V-6〉 騎士2 團領長衣 294

〈그림 V-7〉 Panjakent 壁畫 人物 團領長衣 295

〈그림 V-8〉 Adzhina-tepe 壁畫 人物 團領長衣 295

〈그림 V-9〉 Panjakent13號 壁晝 人物 團領長衣 295

〈그림 V-10〉 Sogdian 團領長衣 295

〈그림 V-11〉 The Rustam Cycle壁畫 Sogdian 團領長衣 295

〈그림 V-12〉 Afrasiab 壁畫(帽紗) Chaganian使節 團領長衣 296

〈그림 V-13〉 Afrasiab 壁畫(帽紗) Chach使節 團領長衣 296

〈그림 V-14〉 Afrasiab 壁畫(帽紗) 突厥使節 翻領長衣 297

〈그림 V-15〉 Afrasiab 壁畫(帽紗) 吐蕃使節 團領長衣 297

〈그림 V-16〉 Afrasiab 壁畫(帽紗) 唐人使節 團領長衣 297

〈그림 V-17〉 Afrasiab 壁畫(帽紗) 高句麗使節 團領長衣 297

〈그림 V-18〉 克孜爾石窟 壁畫 Tocharian 王子 團領短衣 299

〈그림 V-19〉 克孜爾199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衣 299

〈그림 V-20〉 克孜爾199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299

〈그림 V-21〉 克孜爾11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299

〈그림 V-22〉 克孜爾189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299

〈그림 V-23〉 克孜爾205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00

〈그림 V-24〉 克孜爾17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00

〈그림 V-25〉 克孜爾81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00

〈그림 V-26〉 克孜爾101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00

〈그림 V-27〉 克孜爾石窟 壁畫 馬夫 團領短衣 300

〈그림 V-28〉 克孜爾38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01

〈그림 V-29〉 克孜爾38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01

〈그림 V-30〉 克孜爾14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01

〈그림 V-31〉 台台爾16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長衣 302

〈그림 V-32〉 庫車出土 舍利容器 人物 團領長衣 302

〈그림 V-33〉 庫木吐喇34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02

〈그림 V-34〉 庫木吐喇寺院 菩薩 團領長衣 302

〈그림 V-35〉 克丹丹烏里克 壁畫 搭乘人 團領長衣 303

〈그림 V-36〉 克丹丹烏里克 壁畫 波斯菩薩 團領衣 303

〈그림 V-37〉 克丹丹烏里克 壁畫 傳受人 團領長衣 303

〈그림 V-38〉 托普魯克墩 壁畫 昆沙門天 團領衣 304

〈그림 V-39〉 托普魯克墩 壁畫 供養人 團領衣 304

〈그림 V-40〉 樓蘭遺跡 壁畫 宴會人物 團領衣 305

〈그림 V-41〉 焉耆七個星 壁畫 供養人1 團領長衣 305

〈그림 V-42〉 焉耆七個星 壁畫 供養人2 團領長衣 305

〈그림 V-43〉 伯孜克里克16號窟 壁畫 Uygur王子 團領長衣 305

〈그림 V-44〉 伯孜克里克20·24號窟 壁畫 Uygur王子 團領長衣 306

〈그림 V-45〉 伯孜克里克31·17號窟 壁畫 Uygur王 團領長衣 306

〈그림 V-46〉 Uygur王子 幡(前後) 團領長衣 307

〈그림 V-47〉 高昌寺院 信徒人 團領長衣 307

〈그림 V-48〉 伯孜克里克20號窟 侍從 團領長衣 307

〈그림 V-49〉 伯孜克里克32號窟 供養人 團領短衣 308

〈그림 V-50〉 摩尼敎人 團領長衣 308

〈그림 V-51〉 阿斯塔那187號墳 絹織物 團領長衣 309

〈그림 V-52〉 阿斯塔那188號墳 絹織物 牧馬人 團領長衣 309

〈그림 V-53〉 阿斯塔那191號墳 出土織物 狩獵人 翻領長衣 310

〈그림 V-54〉 阿斯塔那306·224號墳 團領長衣 310

〈그림 V-55〉 阿斯塔那古墳 侍女 團領長衣 310

〈그림 V-56〉 阿斯塔那古墳 夫人과 侍女 團領長衣 310

〈그림 V-57〉 佛爺廟墓 胡人石像 團領短衣 311

〈그림 V-58〉 敦煌7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12

〈그림 V-59〉 敦煌285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12

〈그림 V-60〉 敦煌290號窟 壁畫 人物 團領短衣 312

〈그림 V-61〉 敦煌285號窟 壁畫 武士 團領短衣 312

〈그림 V-62〉 敦煌290號窟 壁畫 馬夫 團領短衣 313

〈그림 V-63〉 敦煌428號窟 壁畫 人物 團領短衣 313

〈그림 V-64〉 敦惶299號窟 壁畫 狩獵人 團領長衣 313

〈그림 V-65〉 敦煌296號窟 壁畫 佛堂 團領短衣 313

〈그림 V-66〉 敦煌302號窟 壁畫 狩獵人 團領長衣 314

〈그림 V-67〉 敦煌305號窟 壁畫 馬夫 團領長衣 314

〈그림 V-68〉 敦煌323號窟 壁畫 人物 團領長衣 314

〈그림 V-69〉 敦煌莫高窟 人物 團領長衣 315

〈그림 V-70〉 敦煌45號窟 壁畫 盜賊과 商人 團領長衣 315

〈그림 V-71〉 敦煌217·103號窟 壁畫 使節團 團領長衣 316

〈그림 V-72〉 敦煌468號窟 壁畫 團領長衣 316

〈그림 V-73〉 敦惶468號窟 壁畫 人物 團領長衣 317

〈그림 V-74〉 敦煌156號窟 壁畫 夫婦出行 團領短衣 317

〈그림 V-75〉 敦煌156號窟 壁晝 舞人 團領短衣 317

〈그림 V-76〉 敦煌156號窟 壁畫 武人 團領短衣 318

〈그림 V-77〉 敦煌莫高窟 馬夫 團領長衣 318

〈그림 V-78〉 敦煌17號窟 壁畫 侍女 團領長衣 318

〈그림 V-79〉 敦惶225號窟 壁畫 供養人 翻領長衣 318

〈그림 V-80〉 楡林25號窟 壁畫 農夫 團領短衣 319

〈그림 V-81〉 楡林25號窟 壁畫 剃度 團領短衣 319

〈그림 V-82〉 楡林25號窟 壁畫 人物 團領短衣 319

〈그림 V-83〉 麥積山4號窟 壁畫 出行 團領短·長衣 320

〈그림 V-84〉 炳靈寺8號窟 壁畫 供養人 團領短衣 320

〈그림 V-85〉 唐氏墓 壁畫 胡人 團領短·長衣 321

〈그림 V-86〉 梁元珍墓 壁畫 馬夫와 男裝侍女 團領長衣 321

〈그림 V-87〉 李壽墓 壁畫 儀仗隊 團領長衣 321

〈그림 V-88〉 長樂公主墓 壁畫 將軍과 儀仗隊 團領長衣 322

〈그림 V-89〉 李思摩墓 壁畫 侍女 團領長衣 322

〈그림 V-90〉 煙霞鎭地域 壁畫 侍從과 男裝侍女 團領長衣 322

〈그림 V-91〉 新城長公主墓 壁畫 馬夫와 男裝侍女 團領長衣 323

〈그림 V-92〉 李震墓 壁畫 侍從와 男裝侍女 團領長衣 323

〈그림 V-93〉 韋貴妃墓 壁畫 儀仗隊와 官吏과 馬夫 團領長衣 324

〈그림 V-94〉 燕妃墓 壁畫 男裝侍女 團領長衣 324

〈그림 V-95〉 阿史那忠墓 壁畫 男裝侍女 團領長衣 325

〈그림 V-96〉 阿史那忠墓 壁畫 牛車人 團領長衣 325

〈그림 V-97〉 安元壽墓 壁畫 侍從 團領長衣 325

〈그림 V-98〉 李賢墓 壁畫 騎馬人 圈領長衣 326

〈그림 V-99〉 李賢墓 壁畫 武人 團領長衣 326

〈그림 V-100〉 李賢墓 壁畫 儀仗隊 團領長衣 326

〈그림 V-101〉 李賢墓 壁畫 官吏와 男裝侍女 團領長衣 326

〈그림 V-102〉 李賢墓 壁畫 使臣 團·翻領長衣 326

〈그림 V-103〉 李重潤墓 壁畫 儀仗隊 團領長衣 327

〈그림 V-104〉 李重潤墓 壁畫 官吏 團領長衣 327

〈그림 V-105〉 李重潤墓出土 彩俑 團領長衣 327

〈그림 V-106〉 唐李晦墓 壁畫 侍女 團領長衣 328

〈그림 V-107〉 安伽墓出土 狩獵石像 騎馬人 團領長衣 328

〈그림 V-108〉 安伽墓出土 會盟石像 突厥·粟特人 團領長衣 329

〈그림 V-109〉 安伽墓出土 宴會石像 主人과 樂舞人 團領長衣 329

〈그림 V-110〉 虞弘墓 壁畫 主人 團領長衣 330

〈그림 V-111〉 虞弘墓出土 出行石像 團領長衣 330

〈그림 V-112〉 虞弘墓出土 宴會石像 團領長衣 330

〈그림 V-113〉 虞弘墓出土 狩獵石像 團領短衣 331

〈그림 V-114〉 虞弘墓出土 樂舞壁畫·石像 團領長衣 331

〈그림 V-115〉 韋項墓 拓本의 侍女와 侍從 長衣 332

〈그림 V-116〉 南里王村墓 宴會壁畫 團領長衣 332

〈그림 V-117〉 韋浩墓 壁畫 男裝侍女 團領長衣 333

〈그림 V-118〉 薛氏墓 壁畫 侍從 團領長衣 333

〈그림 V-119〉 薛氏墓 壁畫 樂人 團領長衣 333

〈그림 V-120〉 蘇思욱墓 壁畫 樂舞人 團領長衣 334

〈그림 V-121〉 蘇思욱墓 壁畫 侍從 團領長衣 334

〈그림 V-122〉 西安地域墓 壁畫 樂人 團領長衣 334

〈그림 V-123〉 李爽墓 壁畫 男裝侍女 團領長衣 335

〈그림 V-124〉 高橋鄕地域墓 壁畫 武人 團領長衣 335

〈그림 V-125〉 李揭墓 壁畫 侍從 團領長衣 335

〈그림 V-126〉 朱家道村地域墓 壁畫 樂人 團領長衣 335

〈그림 V-127〉 節慰太子墓 壁畫 儀仗隊 團領長衣 336

〈그림 V-128〉 節慰太子墓 壁畫 男裝侍女와 臣下 團領長衣 336

〈그림 V-129〉 房陵公主墓 壁畫 男裝侍女 翻領長衣 337

〈그림 V-130〉 李風墓 壁畫 男裝侍女 團·翻領長衣 337

〈그림 V-131〉 唐氏墓 壁畫 胡人 團領短·長衣 338

〈그림 V-132〉 崔氏墓 壁畫 馬夫 團領短衣 338

〈그림 V-133〉 崔氏墓 壁畫 武人 團領短衣 338

〈그림 V-134〉 彩俑의 團領衣와 翻領衣 338

〈그림 V-135〉 土俑·木俑 人物 團領長衣 339

〈그림 V-136〉 安陽出土 節慶石像 粟特人 團領長衣 340

〈그림 V-137〉 安陽出土 祭祀石像 團領長衣 340

〈그림 V-138〉 安陽出土 食酒石像 主人夫婦와 樂舞人 團領長衣 340

〈그림 V-139〉 安陽出土 出行石像 主人 團領長衣 341

〈그림 V-140〉 安陽出土 出行石像 牛車行列 團領短衣 341

〈그림 V-141〉 安陽地域 壁畫 官吏 團領短衣 341

〈그림 V-142〉 安陽地域 壁畫 侍從 團領短衣 341

〈그림 V-143〉 婁睿墓 壁畫 武人 團領長衣 342

〈그림 V-144〉 婁睿墓 壁畫 喇叭手 團領長衣 342

〈그림 V-145〉 婁睿墓 壁畫 胡人 團領長衣 342

〈그림 V-146〉 焦化廠地域 壁畫 侍從 團·翻領長衣 343

〈그림 V-147〉 化工焦化廠7號墳 壁畫 胡人 團領長衣 343

〈그림 V-148〉 團·翻領衣 遺物 位置 344

초록보기

사신은 자국(自國)의 복식문화를 주변국에 전파하고, 외래 복식문화 수용에 큰 역할을 하였다. 사신의 활동모습은 벽화 및 회화로 확인할 수 있다. 회화자료 중 직공도(職貢圖)는 중국에 방문한 사신(使臣)을 1인(人)의 화가가 그림과 글로 기록한 것이다. 즉, 직공도는 동일(同一)한 시각적 표현으로 사신복식이 그려진 것으로, 이는 동시대 복식의 횡적(橫的)비교연구가 가능한 요긴한 자료이다.

남북조대(南北朝代) 중국은 양(梁)·동위(東魏)·서위(西魏)로 분리되어 상제(相制)하며, 외국과 조공관계를 맺어 자국(自國)의 강성함을 나타내었다. 양(梁)은 이러한 조공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위세를 드러내고자 《職貢圖》를 제작했고, 양(梁)과 교류가 없으나, 전조(前朝)인 송(宋)·제(齊)와 활발히 교류한 국가도 함께 기록하였다. 양대(梁代) 소역이 그린 《職貢圖》는 현재 3점의 모사본(模寫本)이 존재한다. 모사본에는 당(唐) 염립본의 《王會圖》 오대남당(五代南唐) 고덕겸의 《審客入朝圖》, 그리고 북송(北宋) 작자미상의 《梁職貢圖》가 있다. 후대(後代) 모사될 당시 사신국 중 일부는 통일되거나 사라진 국가도 있으나, 원본 그대로 등장한 것은 '직공도 제작'이 국위(國威) 표현을 위한 하나의 '풍속'으로 정착되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현재 복식사(服飾史) 연구에서 3점의 모사본에 나타난 사신복식 고찰은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고대 사신복식의 연구를 위하여, 원본의 《職貢圖》와 시대가 가장 가까운 《王會圖》를 연구의 주(主)자료로 선택하였다. 《王會圖》 화가인 염립본은 인물화(人物畵)로 유명하나, 일반적으로 복식문화가 상이(相異)한 경우, 화가는 자국(自國) 복식과 디테일이 다른 곳에 오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염립본은 중국문화에 익숙한 당인(唐人)으로, 사신복식 연구에 이를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중국 정사(正史)에는 다수의 조공국(朝貢國)이 기록되어있으나, 《職貢圖》에 그려진 국가의 등장 연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梁)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던 주변 우호국[高句麗·百濟·新羅]을 등장시켜 이를 과시하였다. 둘째, 양(梁) 주변의 관직을 제수(除授)한 우방국[武興·宕昌·鄧至·倭]을 등장시켜 형식적 지배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양(梁)의 광범위한 지배영역을 보여주기 위하여, 거리가 먼 서역국가[龜玆·呵跋檀·周古柯·胡密丹·白題·于전·渴盤陀·波斯·靺·芮芮]와 해남국가[天竺·師子·狼牙脩]를 등장시켰다. 넷째, 양(梁)나라에 살지만 깊은 산 속에 살아 지배가 힘든 소수민족[建平蜑·女蜑]의 조공모습으로 통합된 양(梁)제국을 드러내고자하였다. 마지막으로, 교류관계였던 북조(北朝) 동위(東魏)의 황제와 신하[虜]를 그려 서위(西魏)를 경계하였다. 이처럼 《職貢圖》에 등장한 사신국은 양(梁)나라와 긍정적인 관계의 국가이므로, 사신의 모습은 동등하게 그려졌을 것이라 생각한다.

더불어 고구려(高句麗)와 백제(百濟) 사신이 양(梁)·동위(東魏)·서위(西魏) 중 조공국으로 양(梁)을 선택한 것은, 조공 시(時) 화답으로 받는 공물(貢物)의 경제적 이득이 양(梁)나라가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또한 자의적(自意的) 선택에 의한 조공이란 증거는 《王會圖》에 그려진 고구려와 백제 사신이 관복(冠服)이 아닌 편복(便服)을 착용한 것으로도 알 수 있다. 즉, 《職貢圖》에 등장한 조공국은 당시 재정적(財政的)으로 여유 있던 호기심이 많은 국가로, 경제적 이익 뿐 아니라 새로운 물산(物産)을 받아들이고 세계화를 위하여 주변국과 교류하려했던 것으로 생각한다.

복식의 형태는 기후풍토 및 사회문화가 반영된 자료로, 《王會圖》 사신복식의 형태적 특징에 따라, 표의(表衣)에 착용한 상의(上衣)의 길이에 따라 '단의(短衣)'와 '장의(長衣)', 그리고 상의를 미착용한 '요의(腰衣)'로 분류하여 기후풍토를 살펴보고, 부적합한 국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왜국(倭國)과 사자국(師子國)을 제외한 대다수 사신은 자국(自國)의 환경에 맞는 표의(表衣)를 착장한 것으로 보이며, 현재까지도 일부지역에서는 유사한 의복을 착용한다. '단의(短衣)'를 착용한 사신은 온·냉대의 살기 좋은 기후대(氣候帶)로, 다양한 생활방식의 형태가 보인다. 복식 역시 제작에 어려움이 없어 다양한 형태와 착장방법이 있고, 두의(頭衣)는 장식을 위하여 착용하였다. '장의(長衣)'를 입은 사신은 건조·냉대 기후대(氣候帶)로, 대부분 목축업을 하여 동물에서 복재(服材)를 얻고, 세금을 복식(服飾)으로 내는 곳도 있어, 의복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서역제국(西域諸國) 사신은 장포(長袍)와 장화(長靴)를 신어 몸을 최대한 감쌌고, 두의(頭衣)는 신체 보호를 위해 착용하였다. '요의(腰衣)'를 착용한 사신은 사계절 모두 따뜻한 열·온대 기후대(氣候帶)로, 하의(下衣)만 착용하였다. 몸은 긴 천을 이용하여 신상(神像)과 유사한 형태로 장식했으며, 이는 귀천(貴賤)을 구분하는 방식으로도 보인다. 그러나 왜국과 사자국 사신의 경우, 양(梁)과 교류기록은 없었으나, 전조(前朝)와 교류했던 국가들로, 부적합한 복식을 착장하였다. '왜국 사신'은 482년 중국에 방문이 마지막이며, 《職貢圖》 화가 소역은 508년에 태어났으므로 왜인(倭人)을 본적이 없어, 정사(正史)에 기록된 왜국의 복식기록을 참고하여 그린 것으로 보인다. '사자국 사신'의 경우 복식관련 기록이 전무(全無)하므로, 당시 중국을 방문했던 사신의 보편적인 착장을 그렸거나, 또는 사자국 사신이 국제적 흐름에 맞춰 단령장의(團領長衣)와 화(靴)를 신은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사신복식의 형태적 시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깃[領]모양에 따라 깃은 직령(直領)·번령(翻領)·단령(團領)으로 분류하여 시각 및 실물 자료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王會圖》 사신복식에는 직령·단령·번령이 모두 보이며, 대다수의 사신복식에서 선(선)장식이 확인되므로, 이는 당대(唐代) 이전의 복식이 그려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王會圖》 사신복식이 북송대(北宋代) 모사된 《梁職貢圖》의 사신복식과 유사하므로, 이는 양대(梁代) 《職貢圖》의 복식형태가 그대로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사신복식의 장식적 시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王會圖》의 직물문양에 주로 등장하는 연주문(連珠紋)과 간문(간紋)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점의 모사본 중 복식문양은 《王會圖》에만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王會圖》에 장식된 연주문(連珠紋)과 간문(간紋)은 7세기경 당(唐)에서 매우 성행했던 문양으로, 소역의 《職貢圖》가 그려질 시기(526~539) 보다는 염립본이 모사(模寫)했던 629년이 시기적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염립본이 《王會圖》를 제작할 때, 의복형태는 원본 그대로 모사하였으나, 의복장식은 당시[初唐] 유행했던 문양으로 꾸민 것으로 보인다.

《王會圖》 사신복식과 실크로드 복식의 유관성을 보기 위하여, 《王會圖》에 다수 등장하는 단령의(團領衣)와 번령의(翻領衣)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5세기부터 9세기까지 실크로드 지역의 시각 및 실물자료를 수집하고, 수구(袖口)·품[胸圍]·기장[衣長]을 기준으로 복식유형을 분류하여 사신복식과 함께 살펴보았다. 수집된 실크로드 복식유형은 4가지, 페르시아(Persia)양식, 호복(胡服)양식, 중국양식I과 II로 분류할 수 있다. 《王會圖》 사신복식의 단령의와 번령의는 호복양식과 중국양식I과 II로 나뉜다. 우전(于전)·갈반타(渴盤陀)·무흥(武興) 사신이 착용한 '호복(胡服)양식'은 위진대(魏晉代)부터 당대(唐代)까지 시각자료에 나타나며, 이는 사신과 상인이 착용했던 번령의가 동아시아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파사(波斯)·구자(龜玆)·가발단(呵跋檀)·주고가(周古柯)·호밀단(胡密丹)·백제(白題) 사신이 착용한 '중국양식II'는 초당대(初唐代) 자료에서 보이기 시작한다. 당시 중국에는 남조(南朝)복식이 유행하였고, 이와 형태가 유사한 서역제국 사신의 복식도 영향을 끼쳐, 수·당(隋·唐)에 단령이 유행한 것을 보면 서역 사신의 복식 영향도 생각할 수 있다. 예예(芮芮)·탕창(宕昌)·등지(鄧至) 사신이 착용한 '중국양식I'은 위진대(魏晉代)부터 당대(唐代)까지 실크로드 자료에서 기장[衣長] 변화가 확인된다. 그러나 이는 계급과 직무(職務)에 따른 차이가 더 큰 원인으로 보인다. 즉, 《王會圖》는 고대(古代) 단령(團領)의 서막이 열리고, 실크로드를 통하여 동아시아로 서역 문화가 유입해 일반화되는 과정의 과도기적 복식형태를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특히 서역의 단·번령의(團·翻領衣)가 동아시아로 유입되는데 사신복식의 영향도 있던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