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11

II. 이론적 배경 12

1. Crossfit 운동의 특성 12

2. Creatine의 체내 대사 기능 및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1) Creatine의 체내 에너지 대사 15

2) Creatine 보충이 근력과 근파워에 미치는 영향 15

3. 운동 시 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제 보충 17

1) 체내 항산화 체계 17

2) 운동과 산화적 스트레스 17

3) 운동 시 항산화제 보충 효과 19

III.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실험 설계 20

3. Crossfit 수행능력 측정 21

4. 혈중 젖산 및 크레아틴 농도 측정 22

5. 혈당 및 지질 측정 23

1) 혈중 포도당 농도 23

2) 혈중 총 콜레스테롤(TC) 농도 23

3) 혈중 중성지방(TG) 농도 23

4) 혈중 High-density lipoprotein(HDL)과 Low-density lipoprotein(LDL) 농도 23

6. 혈장 내 지질과산화물 농도와 항산화 효소 활성 측정 24

1) 혈중 지질과산화물 농도 24

2) 혈장 SOD 활성 측정 24

3) 혈장 GPx 활성 측정 24

7. 데이터 분석 25

IV. 연구결과 및 고찰 26

1. 연구 대상자의 일반 사항 26

2. 연구 대상자의 체중 변화 및 비만도 28

3. Creatine monohydrate와 Vitamin E 섭취가 Crossfit 운동 기록에 미치는 영향 29

4. Creatine monohydrate와 Vitamin E의 보충이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물과 지질,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32

1) Creatine monohydrate와 vitamin E의 보충이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물에 미치는 영향 32

2) Creatine monohydrate와 vitamin E의 보충이 혈당 및 지질 양상에 미치는 영향 36

3) Creatine monohydrate와 Vitamin E의 보충이 지질 과산화물과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46

V. 결론 및 제언 51

References 53

부록 59

국문초록 60

ABSTRACT 61

표목차

Table 1. Energy metabolic 14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7

Table 3. Effects of creatine and vitamin E supplements on body weight and BMI 28

Table 4. Effects of creatine and vitamin E supplements on Crossfit performance 31

그림목차

Figure 1. Crossfit training macro. 13

Figure 2. Antioxidant enzyme defense system 18

Figure 3. Experimental design 21

Figure 4. Fran record protocol 22

Figure 5.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plasma creatinine concentration 34

Figure 6.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lactic acid concentration 35

Figure 7.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blood glucose 37

Figure 8.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TG 39

Figure 9.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TC 41

Figure 10.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LDL-C 43

Figure 11.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HDL-C 45

Figure 12.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Lipid peroxidation 48

Figure 13.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SOD activity 49

Figure 14.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 Vitamin E supplement on GPx activity 50

초록보기

본 연구는 Creatine monohydrate와 Vitamin-E 보충이 Crossfit 운동수행능력과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Crossfit은 운동 강도가 높은 운동이며, 자신의 기록을 세계 모든 사람과 공유 할 수 있다. 이에 선수가 아닌 일반인들도 평소 강도 높은 운동으로 기록을 향상시키려 한다. 그리고 이런 높은 강도의 운동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높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운동수행능력을 올리고, 산화스트레스를 낮추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 연구대상은 일반인 성인 남성 12명으로 하였다. 처음 수행능력 기록을 측정한 후 무작위로 보충군(n=6)과 대조군(n=6)으로 나누었고, 보충군에게 2주간 하루에 creatine monohydrate 20g과 Vitamin-E 250mg을 섭취하도록 하고 다시 기록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보충군의 기록이 section1, section2, section3 그리고 total에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질과산화물의 수치도 보충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Creatine monohydrate와 Vitamin-E 보충이 운동수행능력 향상과 항산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