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6

제1장 서론 7

1.1. 연구배경 및 목적 7

1.2. 연구방법 및 범위 8

1.3. 연구의 차별성 8

제2장 LNG발전소 착공 전 업무 9

2.1.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9

2.2. 입지선정 및 인·허가 11

제3장 LNG발전소 입지선정 갈등사례 13

3.1. 최근 준공한 발전소 갈등사례 13

3.2. 음성천연가스발전 갈등사례 15

3.2.1. 사업배경 및 내용 15

3.2.2. 갈등의 발생 및 진행 16

3.3. 대구LNG발전 갈등사례 18

3.3.1. 사업배경 및 내용 18

3.3.2. 갈등의 발생 및 진행 20

제4장 주민 수용성 제고방안 22

4.1. 갈등원인의 분석 22

4.2. 입지선정 시 주민의견 수렴 23

4.3. 법규 개정 24

4.4. 친환경 설비 도입 26

제5장 결론 28

참고문헌 29

ABSTRACT 30

Table 1-1. 연도별 전원구성 전망 7

Table 2-1. 발전원별 장·단점 비교 10

Table 3-1. 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 시 주민 의견 14

Table 3-2. 발전소 최적 부지 비교·검토 결과 19

Table 4-1. 최근 준공(계획중인)한 발전소 대기오염(NOx) 농도 27

초록보기

 최근 LNG발전소 건설이 늘어나고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 추진과정에서 주민과의 갈등으로 인한 건설사업 지연으로 전력수급 안정화를 저해하거나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주민 수용성 강화방안을 연구하여 추후 발전소 건설추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 연구를 하였다.

여기서는 주민들의 반대가 가장 심한 단계이며 사업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사회적 손실발생은 물론 극단적일 경우 사업취소까지 연결될 수 있는 입지선정 단계에 한해서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이내 준공한 LNG발전소 준공지연사례를 통해 수많은 발전소가 당초 계획보다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씩 준공이 지연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음성천연가스발전소와 대구LNG발전소 건설 준비중 갈등사례를 분석하여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첫째 발전소 입지 선정 시 주민 의견 수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둘째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정비 등 법규 개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셋째 발전설비 최신기종 선정 등 환경 친화적 설비구성에 최선을 다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