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6
제1장 서론 7
1.1. 연구배경 및 목적 7
1.2. 연구방법 및 범위 8
1.3. 연구의 차별성 8
제2장 LNG발전소 착공 전 업무 9
2.1.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9
2.2. 입지선정 및 인·허가 11
제3장 LNG발전소 입지선정 갈등사례 13
3.1. 최근 준공한 발전소 갈등사례 13
3.2. 음성천연가스발전 갈등사례 15
3.2.1. 사업배경 및 내용 15
3.2.2. 갈등의 발생 및 진행 16
3.3. 대구LNG발전 갈등사례 18
3.3.1. 사업배경 및 내용 18
3.3.2. 갈등의 발생 및 진행 20
제4장 주민 수용성 제고방안 22
4.1. 갈등원인의 분석 22
4.2. 입지선정 시 주민의견 수렴 23
4.3. 법규 개정 24
4.4. 친환경 설비 도입 26
제5장 결론 28
참고문헌 29
ABSTRACT 30
Table 1-1. 연도별 전원구성 전망 7
Table 2-1. 발전원별 장·단점 비교 10
Table 3-1. 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 시 주민 의견 14
Table 3-2. 발전소 최적 부지 비교·검토 결과 19
Table 4-1. 최근 준공(계획중인)한 발전소 대기오염(NOx) 농도 27
최근 LNG발전소 건설이 늘어나고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 추진과정에서 주민과의 갈등으로 인한 건설사업 지연으로 전력수급 안정화를 저해하거나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주민 수용성 강화방안을 연구하여 추후 발전소 건설추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 연구를 하였다.
여기서는 주민들의 반대가 가장 심한 단계이며 사업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사회적 손실발생은 물론 극단적일 경우 사업취소까지 연결될 수 있는 입지선정 단계에 한해서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이내 준공한 LNG발전소 준공지연사례를 통해 수많은 발전소가 당초 계획보다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씩 준공이 지연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음성천연가스발전소와 대구LNG발전소 건설 준비중 갈등사례를 분석하여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첫째 발전소 입지 선정 시 주민 의견 수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둘째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정비 등 법규 개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셋째 발전설비 최신기종 선정 등 환경 친화적 설비구성에 최선을 다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