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용어 정리 14
3. 연구문제 15
II. 이론적 배경 16
1. 소명 16
1) 소명의 정의 16
2) 소명의 구성요소 19
3) 소명의 가변성 21
2. 상담자 23
1) 상담자의 직업적 특성 23
2) 상담자의 발달과정 24
3) 상담자의 소명의식 25
III. 연구방법 27
1. 연구절차 27
2. 연구대상 29
3. 자료수집 32
4. 자료분석 34
5. 연구자의 가정과 선 이해 36
6. 연구자의 준비도 37
7. 연구 평가 과정 37
IV. 연구 결과 40
1. 소명의 기원 43
1) 초월적 존재의 인도 43
2) 개인 내면의 발현 44
2. 소명의 형성 과정 46
1) 긍정적인 사전 경험 46
2)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의 이타적 동기 47
3) 강한 흥미와 호기심, 재능에 부합하는 일 49
4) 숙달하고 싶은 욕구와 열정적인 몰입 50
5)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우여곡절 51
3. 소명의 형성 결과 53
1) 상담 장면에서의 절정경험 54
2)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치유와 성장 55
3)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 57
4) 내담자의 변화가 최우선의 목표 58
5)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음 60
4. 소명의 변화 61
1) 주제의 변화와 확장 62
2) 지속적인 과정 63
3) '상담자'도구관리를 통한 촉진과 강화 64
4) 시간과 체력의 한계로 인한 저하 66
V. 논의 68
1. 연구의 의의 68
2. 연구의 시사점 71
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제언 72
참고문헌 75
부록 83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83
부록 2. 연구 참여자 기초 정보 설문지 84
Abstract 85
본 연구는 상담자의 소명에 대해 이해하고 구조를 밝힘으로써, 경험의 본질적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상담관련 박사과정을 마쳤거나 학회 혹은 국가에서 발급한 1급 이상의 상담자격증을 보유하였으며, 상담전문가 동료의 추천을 받고, 자신의 일을 소명으로 인식하고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은 상담경력 7년 ~ 23년에 해당하는 숙련상담자로, 30대 후반부터 50대 초반의 연령에 속하는 6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며, 참여자별로 1회에서 2회에 걸쳐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질문지를 사용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면담 내용은 녹음하여 필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따랐으며, 이남인(2010)의 연구방법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는 32개의 주제(Theme), 16개의 주제군(Theme cluster)으로 도출되었으며, 4개의 범주(Category)인 '소명의 기원', '소명의 형성 과정', '소명의 형성 결과', '소명의 변화'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각 범주 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 기원은 초월적 존재의 인도와 개인 내면에서의 발현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상담자들은 인간을 넘어선 신 혹은 우주의 절대자에 의한 강한 이끌림을 느꼈으며, 내적 성찰을 통한 깨달음으로 소명을 인식하기도 하였다. 둘째, 소명의 형성 과정은 그 경로나 방법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경험되었다. 상담자들은 상담을 통한 치유와 성장의 경험이 있었고, 이는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의 이타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상담에 강한 흥미와 호기심, 재능을 느끼며 숙달하고자 하는 욕구로 열정적인 몰입을 보였다. 또한 진로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겪는 등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우여곡절을 경험하였다. 셋째, 소명의 형성 결과 상담자들은 일과 삶에서 많은 충만함을 경험하였다. 특히, 상담 장면에서의 절정경험을 통해 강한 효능감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일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치유와 성장뿐만 아니라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담자들은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고, 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명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제가 변화하고 확장되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촉진과 저하를 반복하기도 하였다. 상담자는 치료적 도구로서의 자신을 관리하며 소명을 촉진하고 강화하였으며, 시간과 체력의 한계에 따른 소진으로 인해 소명의 저하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자의 소명에 대해 참여자들의 생생한 진술을 바탕으로 본질적 요소를 분석한 첫 시도라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소명의 다양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는 상담자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자 혹은 소명을 경험하였거나 인식하고자하는 상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담자의 소명에 대한 특징과 본질적 요소에 대해서도 운을 떼었다는 점에서, 추후 관련 이론의 개발과 연구의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상담자들의 소명을 촉발하고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