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8

I. 서론 10

1. 연구목적 10

2. 선행연구 고찰 11

3.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5

II. 윤윤석류 아쟁산조의 진동수 측정 및 음정분석 18

1. 진동수 측정 18

1) 음원의 분리 18

2) 진동수측정의 선별 및 과정 19

3) Praat를 이용한 진동수 측정방법 21

4) 진동수의 센트(Cent)값 계산방법 23

5) 채보기준 24

2. 진양조 선율의 진동수 측정 26

3. 평균진동수 계산 64

1) 윤윤석류 아쟁산조 평조의 진동수 65

2) 윤윤석류 아쟁산조 계면조의 진동수 66

4. 음정분석 67

1) 윤윤석류 아쟁산조 평조의 음정 67

2) 윤윤석류 아쟁산조 계면조의 음정 68

III. 결론 70

참고문헌 72

참고악보 73

ABSTRACT 77

표목차

〈표 1〉 진동수측정 및 음정분석 관련 선행연구 목록 11

〈표 2〉 음원추출 기준과 음고 데이터 처리 방법 13

〈표 3〉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의 평균진동수 계산 방법 비교 64

〈표 4〉 윤윤석류 아쟁산조 평조의 평균진동수 계산 65

〈표 5〉 윤윤석류 아쟁산조 계면조의 평균진동수 계산 66

〈표 6〉 윤윤석류 아쟁산조 평조의 음정계산 67

〈표 7〉 윤윤석류 아쟁산조 계면조의 음정계산 68

그림목차

〈그림 1〉 Sound forge를 활용한 음원 추출 및 장단별 분리 19

〈그림 2〉 Praat에서 진동수추출 과정의 모습 20

〈그림 3〉 Advanced pitch settings 설정 21

〈그림 4〉 진양 01 g의 진동수 (194Hz, 0.66s) 26

〈그림 5〉 진양 01 e♭의 진동수(156.1Hz, 0.34s)(이미지참조) 27

〈그림 6〉 진양 02 e♭의 진동수(153.7Hz, 0.73s)(이미지참조) 28

〈그림 7〉 진양 02 c의 진동수(129.8Hz, 4.23s) 28

〈그림 8〉 진양 03 c'의 진동수(262.1Hz, 1.73s) 29

〈그림 9〉 진양 04 c의 진동수(261.6Hz, 1.56s) 30

〈그림 10〉 진양 04 c의 진동수(262.3Hz, 1.05s) 30

〈그림 11〉 진양 05 a'의 진동수(434.3Hz, 1.08s) 31

〈그림 12〉 진양 05 a'의 진동수(435.7Hz, 1.54s) 32

〈그림 13〉 진양 05 g'의 진동수(394.0Hz, 0.89s) 32

〈그림 14〉 진양 06 c"의 진동수(528.6Hz, 0.64s) 33

〈그림 15〉 진양 06 c"의 진동수(533.0Hz, 0.71s) 34

〈그림 16〉 진양 06 d"의 진동수(579.2Hz, 0.21s) 35

〈그림 17〉 진양07 f'의 진동수(390.8Hz, 0.01s) 35

〈그림 18〉 진양 07 d'의 진동수(284.8Hz, 0.25s) 36

〈그림 19〉 진양 07 c'의 진동수(261.9Hz, 0.56s) 37

〈그림 20〉 진양 07 f의 진동수(364.9Hz, 0.01s) 38

〈그림 21〉 진양 07 d'의 진동수(290.1Hz, 0.61s) 38

〈그림 22〉 진양 07 c'의 진동수(260.1Hz, 0.50s) 39

〈그림 23〉 진양 08 c'의 진동수(259.7Hz, 0.48s) 40

〈그림 24〉 진양 08 a의 진동수(213.8Hz, 0.79s) 40

〈그림 25〉 진양 08 g의 진동수(195.7Hz, 0.76s) 41

〈그림 26〉 진양 08 d의 진동수(138.2Hz, 0.69s) 42

〈그림 27〉 진양08 c'의 진동수(259.7Hz, 0.54s) 42

〈그림 28〉 진양 09 a'의 진동수(434.0Hz, 1.53s) 43

〈그림 29〉 진양 09 a'의 진동수(434.7Hz, 1.60s) 44

〈그림 30〉 진양 09 g'의 진동수(392.5Hz, 0.88s) 44

〈그림 31〉 진양 10 c"의 진동수(535.4Hz, 1.08s) 45

〈그림 32〉 진양 10 d"의 진동수(591.8Hz, 0.32s) 46

〈그림 33〉 진양 11 e♭'의 진동수(317.0Hz, 1.43s)(이미지참조) 47

〈그림 34〉 진양 11 c'의 진동수(262.1Hz, 1.46s) 48

〈그림 35〉 진양 12 d'의 진동수(289.8Hz, 0.51s) 48

〈그림 36〉 진양 12 c'의 진동수(262.2Hz, 1.69s) 49

〈그림 37〉 진양 13 e♭'의 진동수(320.2Hz, 1.45s)(이미지참조) 50

〈그림 38〉 진양 16 g'의 진동수(399.1Hz, 1.08s) 50

〈그림 39〉 진양 17 b'의 진동수(509.9Hz, 1.23s) 51

〈그림 40〉 진양 17 b'의 진동수(504.3Hz, 1.19s) 52

〈그림 41〉 진양 18 e♭"의 진동수(647.3Hz, 0.84s)(이미지참조) 52

〈그림 42〉 진양 19 d'의 진동수(296.2Hz, 0.29s) 53

〈그림 43〉 진양 21 c의 진동수(129.4Hz, 1.53s) 54

〈그림 44〉 진양 21 d의 진동수(141.1Hz, 1.51s) 54

〈그림 45〉 진양 21 c의 진동수(129.8Hz, 1.54s) 55

〈그림 46〉 진양 22 G의 진동수(99.1Hz, 0.71s) 56

〈그림 47〉 진양 22 d의 진동수(141.6Hz, 0.98s) 56

〈그림 48〉 진양 22 G의 진동수(100.9Hz, 1.09s) 57

〈그림 49〉 진양 22 c의 진동수(129.5Hz, 1.78s) 58

〈그림 50〉 진양 23 e♭의 진동수(157.1Hz, 0.76s)(이미지참조) 58

〈그림 51〉 진양 23 e♭의 진동수(156.4Hz, 0.79s)(이미지참조) 59

〈그림 52〉 진양 24 e♭의 진동수(154.6Hz, 0.82s)(이미지참조) 60

〈그림 53〉 진양 24 d의 진동수(147.6Hz, 1.41s) 60

〈그림 54〉 진양 24 c의 진동수(128.9Hz, 2.02s) 61

〈그림 55〉 진양 33 f#'의 진동수(368.3Hz, 1.27s) 62

〈그림 56〉 진양 f #'의 진동수(366.1Hz, 1.15s) 62

〈그림 57〉 진양 33 g'의 진동수(394.3Hz, 0.65s) 63

〈그림 58〉 진양 35 c'의 진동수(263.0Hz, 1.44s) 63

악보목차

〈악보 1〉 본고에서의 진동수에 대한 문자 표기 기준 17

〈악보 2〉 윤윤석류 아쟁산조 진양조의 평조 출현음 24

〈악보 3〉 윤윤석류 아쟁산조 진양조의 계면조 출현음 25

〈악보 4〉 윤윤석류 아쟁산조 평조의 음계도 68

〈악보 5〉 윤윤석류 아쟁산조 계면조의 음계도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