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정보
소속
직위
직업
활동분야
주기
서지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 열기
원문 아이콘이 없는 경우 국회도서관 방문 시 책자로 이용 가능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 가설 17
3. 이론적 배경 18
1) 반복적 부정 사고의 범진단성 18
2) 우울과 불안의 취약요인: 반복적 부정사고 19
3) 전통적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20
4) 상위인지치료(Meta Cognitive Therapy) 21
5) 상위인지치료 기존 연구의 한계점 28
II. 방법 30
1. 연구 참여자 30
2. 측정도구 30
3. 연구 절차 34
4. 자료 분석 36
5. 프로그램 구성 및 집단에 따른 처치 37
1) 상위인지 치료 37
2) 인지행동 치료 42
III. 결과 45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5
2. RNT에 초점을 맞춘 인지치료프로그램의 우울에 대한 효과 및 그 기제에 대한 분석 46
1) 효과 분석 46
2) 기제 분석 50
3. RNT에 초점을 맞춘 인지치료프로그램의 불안에 대한 효과 및 그 기제에 대한 분석 55
1) 효과 분석 55
2) 기제 분석 59
4. MCT와 CBT에서 RNT 변화의 기제에 대한 비교 분석 62
IV. 논의 68
참고문헌 76
부록 89
부록 I. 측정 도구 90
부록 I-1. 반복적 사고 질문지-10(RTQ-10) 90
부록 I-2. 한국판 보속적 사고 질문지(K-PTQ) 92
부록 I-3. 통합적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CES-D) 94
부록 I-4. 내적 경험에 대한 탈중심화 척도(DIES) 95
부록 II. MCT 프로그램 도구 97
부록 II-1. 반복적 부정적 사고에 대한 상위인지치료 프로그램 소개 97
부록 II-2. 연구 동의서(MCT) 99
부록 II-3. 주의기법훈련(ATT) 소개 및 자기 초점 평정 100
부록 II-4. 주의훈련기법(ATT) 실행 지시문 102
부록 II-5. 거리두기 마음챙김(DM) : DM 지시문 105
부록 II-6. 거리두기 마음챙김(DM) 후 상위인지자각 향상 질문지 108
부록 II-7. 반복적 부정적 사고 연기하기 109
부록 II-8. 주의훈련기술 요약지(과제용) 110
부록 II-9. 프로그램 평가지(MCT) 111
부록 II-10. 기법 유용성 정도 평가(MCT) 112
부록 III. CBT 프로그램 도구 114
부록 III-1. 반복적 부정적 사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소개 114
부록 III-2. 연구 동의서(CBT) 116
부록 III-3. 감정도표(CBT) 117
부록 III-4. RNT-TR 기록지(CBT) 118
부록 III-5. 부정적인 자동적 평가(사고) 및 인지오류 찾아내기 120
부록 III-6. 자동사고 반응기록지-적응적 사고기록지 122
부록 III-7. 핵심믿음의 확인과 새로운 믿음 만들기 124
부록 III-8. 핵심믿음 작업표 125
부록 III-9. 프로그램 평가지(CBT) 127
부록 III-10. 기법 유용성 정도 평가(CBT) 128
ABSTRACT 130
표 1. DIES의 원척도별 문항 구분 33
표 2. 반복적 부정사고에 대한 상위인지치료 프로그램 37
표 3. 반복적 부정사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42
표 4. 인지행동치료의 RNT용 사고 기록지 44
표 5.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특성 45
표 6. 우울에 대한 집단*시기의 분산분석표 46
표 7. 처치집단과 시기에 따른 우울의 평균과 표준편차 47
표 8. 우울에서 시기에 따른 집단의 단순 주효과 48
표 9. 우울에서 시기에 따른 집단의 단순비교 48
표 10. 우울에서 집단에 따른 시기의 단순 주효과 49
표 11. 우울에서 집단에 따른 시기의 단순비교 49
표 12. 상위인지치료 처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반복적 부정사고의 매개효과 분석 51
표 13. 상위인지치료 처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반복적 부정사고의 간접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래핑 52
표 14. 인지행동치료 처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반복적 부정사고의 매개효과 분석 53
표 15. 인지행동치료 처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반복적 부정사고의 간접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래핑 54
표 16. 불안에 대한 집단*시기의 분산분석표 55
표 17. 처치집단과 시기에 따른 불안의 평균과 표준편차 56
표 18. 불안에서 시기에 따른 집단의 단순 주효과 57
표 19. 불안에서 시기에 따른 집단의 단순비교 57
표 20. 불안에서 집단에 따른 시기의 단순 주효과 58
표 21. 불안에서 집단에 따른 시기의 단순비교 58
표 22. 상위인지치료 처치와 불안의 관계에서 반복적 부정사고의 매개효과 분석 59
표 23. 상위인지치료 처치와 불안의 관계에서 반복적 부정사고의 간접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래핑 61
표 24. MCT와 반복적 부정사고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간접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래핑 62
표 25. CBT와 반복적 부정사고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간접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래핑 62
표 26. 상위인지치료와 반복적 부정사고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분석 63
표 27. 상위인지치료 처치와 반복적 부정사고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간접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래핑 65
표 28. 인지행동치료 처치와 반복적 부정사고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분석 66
그림 1. 연구절차 35
그림 2. 처치집단과 시기에 따른 우울 수준의 변화 47
그림 3. 상위인지치료와 우울의 관계에서 RNT의 매개 모형 52
그림 4. 인지행동치료와 우울의 관계에서 RNT의 매개 모형 54
그림 5. 처치집단과 시기에 따른 불안 수준의 변화 56
그림 6. 상위인지치료와 불안의 관계에서 RNT의 매개 모형 60
그림 7. 상위인지치료와 RNT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매개 모형 65
그림 8. 인지행동치료와 RNT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매개 모형 67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범진단적 인지적 취약성 요인인 반복적 부정사고(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위인지치료(Meta Cognitive Therapy: MCT)를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와 나란히 시행해서 그 효과와 기제를 비교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사이버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 남·여 888명을 대상으로 반복적 사고 설문지(Repetitive Thinking Questionnaire-10: RTQ-10), 한국판 보속적 사고 질문지(Korean Version of Perseverative Thinking Questionnaire: K-PTQ) 등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중 반복 부정사고가 높은 사람들을 추출하기 위해 RTQ-10과 K-PTQ 모두에서 상위 30%에 해당하는 점수를 얻은 98명을 선별하였고 그 중 67명이 연구 참여에 동의하여 최종 선발되었다. 이들은 상위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대기통제집단에 각각 무선할당 되었고 MCT와 CBT 집단은 각 120분의 2회기로 구성된 상위인지치료 처치와 인지행동치료 처치를 제공받았다. 자료는 우울과 불안 각각을 종속측정치로 집단(피험자간; 상위인지치료처치 집단, 인지행동치료처치 집단, 대기통제 집단)×시기(피험자내; 사전, 사후, 추수)의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하였다. 이에 더해 MEMORE(Mediation and Moderation for Repeated Measures 2.0; Montoya & Hayes, 2017)를 이용하여 반복측정 설계내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우울 및 불안 완화 효과의 변화 기제를 분석했다. 그 결과 MCT와 CBT는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와 추수에서 우울이 감소하였고, 두 처치 집단 간 우울의 차이는 없었다. MCT 처치는 RNT 감소를 매개로 우울완화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안은 MCT의 경우 사전에 비해 사후와 추수에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CBT에서는 사후에 감소가 유의하지 않았고, 추수에 비로소 유의하게 감소하여서, 항불안 효과에서 CBT에 대비해 MCT의 부분적 우세를 시사하였다. 불안에서도 변화의 기제를 분석하였는데 MCT 처치는 RNT 감소를 통해 불안 완화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우울과 불안의 변화기제로 밝혀진 RNT의 변화기제를 추가로 탐색하였는데 MCT에서 RNT 변화는 탈중심화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CBT의 RNT 변화는 탈중심화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RNT 및 이에 기인하는 정서 장애를 돕기 위한 치료적 시사점과 함께,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