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8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 목적 12

3. 용어 정의 12

1) 알코올중독 회복자 12

II. 문헌고찰 13

1. 알코올 중독의 치료 13

2. 알코올중독의 회복 15

III. 연구방법 19

1. 연구설계 19

2. 연구과정 20

1) Q-모집단(Q-population) 구성을 위한 단계 20

2) P-표본 대상자의 분류단계 26

3. 자료 분석 28

1) 자료의 통계적 분석 28

2) 유형분석 및 명명 28

4.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29

IV. 연구 결과 30

1. 알코올 중독의 회복자 유형 형성 30

1) Q-표본에 대한 유형별 표준점수 30

2. 알코올 중독의 회복자 유형별 특성 분석 34

1) 제 1유형 : 긍정중심 회복형 34

1) 제 2유형 :절제중심 회복형 44

2) 제 3유형 : 관계중심 회복형 54

3) 모든 유형에서 공통된 일치 항목 61

V. 논의 64

1. 제 1유형의 분석 : 긍정중심 회복형 64

2. 제 2유형의 분석 : 절제중심 회복형 65

3. 제 3유형의 분석 : 관계중심 회복형 67

VI. 결론 및 제언 70

1. 결론 70

2. 의의 71

3. 제한점 및 제언 71

참고문헌 73

부록 7

부록 1. 일반적 특성 설문지 안내문 81

부록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지 82

부록 3. P표본 분류를 위한 안내서 84

부록 4. Q 샘플의 분포도 85

부록 5. 연구윤리위원회 심의결과 통보서 86

부록 6. Q진술문 구성을 위한 면담대상자 설명문 88

부록 7. P표본 구성을 위한 면담대상자 설명문 93

부록 8. 연구대상자 동의서 97

부록 9. 심층면담자 특성 98

부록 10. 모집단 구성을 위한 문헌분석 자료 99

부록 11. 진술문 구조화의 범주 및 하위 개념 101

부록 1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결과 105

Abstract 111

표목차

표 1. Q-표본으로 선정된 진술문 23

표 2. 요인별 Eigen value와 사용변량 30

표 3.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30

표 4. 유형별 Z-Score 31

표 5. 제 1유형 인구학적 특성 34

표 6. 제 1유형 표준점수 +1.00 이상인 대표적 진술문 항목 36

표 7. 제 1유형 표준점수 -1.00 이상인 대표적 진술문 항목 37

표 8. 제 1유형 다른 유형에 비해 높거나 낮은 점수로 동의한 진술문 38

표 9. 제 2유형 인구학적 특성 44

표 10. 제 2유형 표준점수 +1.00 이상인 대표적 진술문 항목 45

표 11. 제 2유형 표준점수 -1.00 이상인 대표적 진술문 항목 47

표 12. 제 2유형 다른 유형에 비해 높거나 낮게 동의한 진술문 48

표 13. 제 3유형 일반적 인구학적 특성 54

표 14. 제 3유형 표준점수 +1.00 이상인 대표적 진술문 항목 55

표 15. 제 3유형 표준점수 -1.00 이상인 대표적 진술문 항목 56

표 16. 제 3유형 다른 유형에 비해 높거나 낮은 점수로 동의한 진술물 57

표 17. 모든 유형에 일치항목 진술문과 평균 표준점수 62

그림목차

그림 1. 본 연구의 진행절차 19

그림 2. Q-sorting 분포도(N=46) 27

초록보기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알코올중독 회복자의 회복과정에서 경험한 회복에 따른 회복자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알코올중독 회복자와 중독치료 전문가 및 회복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하여 확보한 150개의 진술문으로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이후 최종 46개의 진술문을 Q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년 이상 금주를 유지하고 있는 회복자 50명이었으며, 이들에게 Q표본을 9점 척도의 정규분포 형태로 분류하도록 하여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알코올 중독 회복자는 3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긍정중심 회복형', ' 절제중심 회복형', '관계 중심 회복형' 으로 명명하였다.

제1유형인 '긍정중심 회복형'은 회복이 된다는 믿음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회복활동에 참여하며 자신에 대한 긍정성이 높고 중독에서 회복하는 과정이 자신을 보다 성숙한 사람으로 만들어 준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2유형인 '절제중심 회복형'은 절제를 통한 단주를 자신의 삶에서 최우선목표로 정하고 단주를 위하여 절제된 생활을 하며 일상생활을 적극적으로 통제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인 '관계중심 회복형'은 술에 대한 인간의 나약함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을 신뢰하기보다는 신이나 절대자, 가족 또는 지인 등의 지지와 도움을 통해 회복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유형이다.

세 유형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회복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중독에 대한 자각으로 항상 중독자임을 지속적으로 인식하고 회복자로서 금주를 아직 잘 실천하지 못하는 중독자를 도우면서 회복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된 요인들이 회복자 유형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알코올중독에 대한 치료적 접근에 있어서 대상자가 어떠한 유형에 속하는지 구분하여 강조점을 달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