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0

I. 서론 12

II. 이론적 배경 15

1. 브람스 생애 15

2. 브람스 음악 특징 19

3. 브람스 실내악 22

III. 클라리넷 소나타 Op.120 작품배경 및 분석 26

1. Op.120 No.1 26

1.1. 제1악장 분석 26

1.2. 제2악장 분석 44

1.3. 제3악장 분석 51

1.4. 제4악장 분석 58

2. Op.120 No.2 72

2.1. 제1악장 분석 73

2.2. 제2악장 분석 83

2.3. 제3악장 분석 92

IV. 결론 105

참고문헌 109

ABSTRACT 110

악보목차

〈악보1〉 마디1-4 28

〈악보2〉 마디5-8 29

〈악보3〉 마디5-12 30

〈악보4〉 마디13-14 31

〈악보5〉 마디33-35 31

〈악보6〉 마디38-42 32

〈악보7〉 마디53-60 33

〈악보8〉 마디61-68 34

〈악보9〉 마디68-76 35

〈악보10〉 마디77-89 36

〈악보11〉 마디90-115 37

〈악보12〉 마디116-131 39

〈악보13〉 마디133-145 40

〈악보14〉 마디202-205 42

〈악보15〉 마디229-306 43

〈악보16〉 마디1-10 45

〈악보17〉 마디23-30 46

〈악보18〉 마디31-40 47

〈악보19〉 마디45-48 48

〈악보20〉 마디49-60 48

〈악보21〉 마디71-81 50

〈악보22〉 마디 1-4 52

〈악보23〉 마디17-28 53

〈악보24〉 마디42-46 53

〈악보25〉 마디47-54 54

〈악보26〉 마디63-78 55

〈악보27〉 마디79-91 56

〈악보28〉 마디90-106 57

〈악보29〉 마디1-8 59

〈악보30〉 마디9-16 59

〈악보31〉 마디17-24 60

〈악보32〉 마디32-41 61

〈악보33〉 마디42-56 62

〈악보34〉 마디51-61 63

〈악보35〉 마디62-76 64

〈악보36〉 마디105-110 65

〈악보37〉 마디109-118 65

〈악보38〉 마디119-122 66

〈악보39〉 마디123-141 67

〈악보40〉 마디141-144 68

〈악보41〉 마디150-162 69

〈악보42〉 마디179-183 70

〈악보43〉 마디184-187 70

〈악보44〉 마디216-220 71

〈악보45〉 마디 1-10 74

〈악보46〉 마디18-21 75

〈악보47〉 마디22-27 76

〈악보48〉 마디34-39 77

〈악보49〉 마디53-55 78

〈악보50〉 마디65-72 79

〈악보51〉 마디73-77 80

〈악보52〉 마디99-102 80

〈악보53〉 마디162-173 82

〈악보54〉 마디1-16 85

〈악보55〉 마디17-26 86

〈악보56〉 마디24-36 86

〈악보57〉 마디37-48 87

〈악보58〉 마디45-69 88

〈악보59〉 마디65-80 89

〈악보60〉 마디109-120 90

〈악보61〉 마디135-140 91

〈악보62〉 마디217-223 91

〈악보63〉 마디1-4 93

〈악보64〉 마디5-14 94

〈악보65〉 마디 15-22 95

〈악보66〉 마디29-30 96

〈악보67〉 마디33-38 96

〈악보68〉 마디43-44 97

〈악보69〉 마디47-50 98

〈악보70〉 마디55-56 98

〈악보71〉 마디61-64 99

〈악보72〉 마디70-74 100

〈악보73〉 마디87-90 101

〈악보74〉 마디98-107 101

〈악보75〉 마디115-118 102

〈악보76〉 마디135-153 103

초록보기

 브람스는 후기의 낭만주의 작곡가로서 서양 음악사에서 걸출한 작곡가이다. 일생동안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동시에 추구했던 그는 이 두시기 음악 스타일의 결합으로 그만의 독창적인 양식을 만들어 냈다. 이 외에도 바로크 시대 바흐의 대위법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그것을 이어 나갔고 고전주의 작곡 기법을 계승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클라리넷 소나타 op.120은 그의 말년의 작품으로 고전주의에 더 큰 비중을 두고 낭만주의 작곡기법을 도입한 가장 원숙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No.1은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악장은 전통적인 소나타의 형식으로 제시부-발전부-재현부-코다로 구성되어 있고, 제1주제와 2주제는 다양한 반복과 변형에 의해 악장전체를 이어 주고 있다. 2악장과 3악장은 3부분 형식, 서정적인 멜로디가 곡 전체에서 나타나며 4악장은 '주제구'와 '삽입구'의 연속적 형태인 론도형식으로 일반적인 론도형식과 달리 중간 A부분이 생략된 A-B-A-C-B-A의 구조로 특징적이다.

No.2는 3개 악장으로 작곡되어 있다. 1악장과 2악장은 No.1의 1악장과 2악장과 같은 소나타와 3부분 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3악장은 하나의 주제와 다섯 개의 변주 및 코다로 되어있다. 싱코페이션과 헤미올라, 2:3 리듬이 클라리넷과 피아노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고전주의의 형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브람스만의 피아노와 클라리넷이 서로 주고받는 선율, 리듬의 구성 면에서 낭만적인 색채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지금까지 그의 클라리넷 소나타 작품에 관한 여러 가지 분석 연구들이 있지만 대부분 서로 독립된 한 개의 작품분석에 불과하다. Op.120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은 아직까지 거의 되지 않은 것으로 진일보 심도 깊은 연구를 하고자 한다. 두 작품의 비교분석을 통해 보수와 진보적 양식의 결합이라는 브람스만의 음악양식을 연구할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