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8

I. Introduction 10

II. Methods 12

1. Protocol and registration 12

2. Eligibility criteria 13

2.1. Study type 13

2.2. Participants 13

2.3. Interventions 13

2.4. Outcomes 13

3. Search strategy 15

3.1. Electronic data sources 15

3.2. Search of other resources 15

4.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17

4.1. Study selection 17

4.2. Extraction and management of data 17

4.3. Risk of bias assessment 17

4.4. Data synthesis 17

4.5. Heterogeneity assessment 18

4.6. Reporting bias assessment 18

4.7. Subgroup analysis 18

4.8. Sensitivity analysis 18

III. Results 19

1. Selection of studies 19

2. Study characteristics 21

2.1. Participants 21

2.2. FN intervention 21

2.3. Control interventions 21

2.4. Outcome measures 22

3. Assessment of risk of bias 33

4. Effects of interventions 35

4.1. Primary outcomes 35

4.2. Secondary outcomes 44

5. Sensitivity analysis 51

5.1. Risk of bias 51

5.2. Sample size 51

5.3. Outcome measures 51

IV. Discussion 52

V. Conclusion 56

VI. References 57

국문초록 60

PRISMA checklist 2009 63

Table 1. The summary of the included studies of fire needling as a monotherapy 23

Table 2. The summary of the included studies of fire needling as an add-on treatment 27

Table 3. The summary of the details of fire needling 29

Table 4. The summary of the effects of fire needling according to pain sites 53

Figure 1. Search strategies for MEDLINE, CNKI and Korean databases 16

Figure 2. The flow chart of the literature search in accordance with PRISMA 2009 flow diagram 20

Figure 3. Risk of bias based on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34

Figure 4. Forest plot of pain intensity according to pain sites (Fire needling as a monotherapy) 36

Figure 5. Forest plot of pain intensity according to pain sites (Fire needling as an add-on treatment) 37

Figure 6. Forest plot of pain intensity according to controls (Fire needling as a monotherapy) 39

Figure 7. Forest plot of pain intensity according to controls (Fire needling as an add-on treatment) 40

Figure 8. Forest plot of function (Fire needling as a monotherapy) 42

Figure 9. Forest plot of function (Fire needling as an add-on treatment) 43

Figure 10. Forest plot of participant-reported global assessment according to pain sites (Fire needling as a monotherapy) 45

Figure 11. Forest plot of participant-reported global assessment according to pain sites (Fire needling as an add-on treatment) 46

Figure 12. Forest plot of participant-reported global assessment according to controls (Fire needling as a monotherapy) 48

Figure 13. Forest plot of participant-reported global assessment according to controls (Fire needling as an add-on treatment) 49

초록보기

 연구배경

근골격계 통증은 고통, 활동 제한, 약화, 피로감을 야기하는 주요 임상 증상으로 의료 이용률이 높은 질환이다. 화침은 특정 혈자리 또는 압통점에 가열된 침을 자입하는 특수 침치료로, 염증을 줄이고 인대 및 근육을 강화시켜 근골격계 통증 치료로 쓰인다. 근골격계 통증에 이용한 화침의 임상연구가 있지만 객관적으로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아, 이에 본 연구로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화침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2020년 3월까지 14개의 데이터베이스 (CENTRAL, MEDLINE, AMED, EMBASE, CINAHL, CNKI 및 8개의 국내 주요 논문 검색 데이터 베이스)에서 통증과 화침에 대한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근골격계 통증 환자에 대해 화침 치료를 시행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들을 포함하였고, 각 연구의 비뚤림 위험에 대해서는 코크란 그룹의 비뚤림위험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치료 효과 측정으로 확률효과모형에서 95%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위험비 (이분형 자료), 평균차 혹은 표준화된 평균차 (연속형 자료)를 산출하였고, 사전에 계획한 프로토콜에 따라 하위분석과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베이스 검색 후 595편 연구가 나왔고 선정, 배제기준을 통해 최종적으로 총 16개의 연구 1,498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서 분석되었다. 비뚤림 평가는 전반적으로 중등도였다. 경추 질환에 대해 화침 단독치료는 유의하게 기능을 개선시켰으나 유효율 증가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화침 병행치료는 통증 개선에 큰 치료 효과를 보였지만 유효율 증가에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어깨 및 상지 질환에 대해 화침 단독치료는 유의하게 유효율을 증가시켰지만 통증 감소, 기능 개선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화침 병행치료는 통증 개선에 중등도 효과를, 유효율 증가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지만 기능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요통에 대해서 화침 단독치료는 통증 개선에 유의하고 큰 치료 효과가 있었지만 병행치료는 통증 및 기능개선에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무릎 통증에 대해 화침 단독치료는 통증 및 기능 개선에 큰 치료 효과를 보였고, 유효율 증가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다발성 통증에 대해 화침 단독치료는 통증 감소 및 유효율 증가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오직 3편의 연구에서 화침으로 인한 이상반응을 보고했고 심각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화침이 근골격계 통증에 대해 안전하고 유효한 치료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근거수준이 낮음에서 중증도로 부족하고 포함된 연구들의 중증도 비뚤림 위험 때문에 본 연구 결과 해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추후 질 좋은 연구가 진행되어,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화침 효과 및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임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