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II. 본론 11

1. 이론적 배경 11

1) CCM의 이해 12

2) 예배 음악의 이해 14

2. 선행연구 16

1) CCM을 예배음악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찬성과 반대 16

2) CCM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연구 17

3) 예배 음악의 신학적 기준 19

3. 연구 방법 19

4. 제작 20

1) 제작의 방향 20

2) 내용 23

5. 적용 가능성 47

1) 이종하 목사 47

2) 김윤진 간사 48

3) 임만세 목사 49

III. 결론 52

참고 문헌 54

참고 서적 54

참고 이미지 55

Abstract 56

표목차

〈표1. 가사에 의한 CCM분류〉 13

〈표2. 음악스타일에 의한 CCM분류〉 13

〈표3. 역할에 의한 예배음악의 분류〉 14

〈표4. 주제에 의한 분류 (21세기 새 찬송가)〉 15

〈표5. CCM을 예배음악으로 사용하는 것의 부정적인 의견〉 16

〈표6. CCM을 예배음악으로 사용하는 것의 긍정적인 의견〉 17

〈표7. CCM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의견〉 18

〈표8. 예배음악의 신학적 기준〉 19

〈표9. '십자가' 곡 소개〉 24

〈표10. 예배음악 음역대 분석표〉 31

〈표11. 어린이 음역대 분석표〉 32

〈표12. 찬송가 시작음 분석표〉 33

〈표13. '십자가' 음절 수〉 39

〈표14. 미디 프로그래밍 내용〉 42

〈표15. 제작 일지〉 46

그림목차

〈그림1. '주 달려 죽은 십자가' 음역대〉 25

〈그림2. 미디 프로그래밍 화면〉 42

〈그림3. '십자가' 앨범 아트 디자인〉 43

〈그림4. 앨범 아트 레퍼런스 이미지1〉 44

〈그림5. 앨범 아트 레퍼런스 이미지2〉 44

〈그림6. 앨범 아트 레퍼런스 이미지3〉 44

〈그림7. 앨범 아트 레퍼런스 이미지4〉 44

악보목차

〈악보1. '십자가' 악보〉 24

〈악보2. '주 달려 죽으신 십자가'의 리듬과 음정진행〉 26

〈악보3. '오 놀라운 사랑'의 멜로디 음정도약과 당김음〉 26

〈악보4. '성령이 오셨네' 악보〉 27

〈악보5. '성령이 오셨네'와 '이 기쁜 소식을' 연결 악보〉 28

〈악보6. '만왕의 왕 내 주께서' 악보〉 29

〈악보7. '십자가' 멜로디 진행〉 34

〈악보8. 볼 빨간 사춘기 '나비와 고양이' 리듬 강세〉 35

〈악보9. '십자가' 리듬의 단순화〉 35

〈악보10. '소원' 리듬의 단순화와 음절 수〉 38

〈악보11. '십자가' 리하모니제이션 악보〉 41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 예배에서 CCM스타일의 예배음악을 활용하기 위한 제작형태의 연구이다. 그동안 CCM에는, 단지 음악적인 표현을 위해 사용된 지나치게 넓은 음역대와 지나치게 자주 포함된 영어 가사 등, 예배중에 사용되기에 어려운 요소들이 많았다. 이와 관련하여, CCM뮤지션으로서 본 연구자는 예배에서 사용할 수 있는 CCM에 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CCM을 예배에 도입해도 되는가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CCM이 오늘날 기독교 문화로 빠르게 자리 잡아감에 따라, 이를 무조건 배척할 것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바르게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여러 신학자들과 연구자들의 논문을 토대로 CCM과 예배음악에 대해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곡들을 분석하며, 둘째, 하나의 사례 연구로, 예배 사용에 가능한 CCM을 제작, 유통, 발매까지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제작된 CCM스타일 예배곡을 현(現) 예배인도자들에게 들려주어 인터뷰형식으로 의견을 모아 예배음악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본다. 그 결과로, 현대의 음악스타일을 표방하는 CCM이 한국 개신교의 예배 음악으로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공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CCM에 대한 연구가 크게 '분석'과 '제작'을 구분하여 진행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분석된 연구를 적용하여 실제 곡을 제작하며, 현 CCM뮤지션으로서 예배 음악에 대한 바른 이해를 추구하고 CCM에 그 가치를 부여하려 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