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5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5

1.1. 연구의 배경 15

1.2. 연구의 목적 16

2. 연구범위와 방법 18

2.1. 연구의 범위 18

2.2. 연구의 방법 19

II. 이론적 고찰 21

1.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본질 21

1.1. 국가중요어업유산의 개념 및 기능 21

1.2. 국가중요어업유산 세계농업유산등재의 필요성 28

1.3.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등록 기준 35

1.4.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범위 38

1.5.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현황 40

2. 국가중요어업유산등록 효과 및 활용 49

2.1. 국가중요어업유산등록의 가치 49

2.2. 어업유산의 관리와 진정성 보존 50

2.3. 체험관광의 활용가치 52

2.4. 국가중요어업유산의 지속가능한 활용방안 56

3. 국가중요어업유산등록의 관광상품화 60

3.1. 관광상품화 방향설정 60

3.2. 관광상품화 목표 61

3.3. 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활성화 사례 62

III. 갯벌과 보성 뻘배어업의 일반현황 66

1. 갯벌의 특성과 가치 66

1.1. 갯벌의 특성과 분포 66

1.2. 갯벌의 가치 73

1.3. 바덴 해 연안 갯벌의 개발과 보전 사례 80

2. 보성뻘배어업의 일반적 가치 85

2.1. 뻘배의 유래와 명칭 85

2.2. 뻘배의 이용 및 제작방법 86

2.3. 보성벌교꼬막 주산지 형성 및 명성 89

IV. 보성뻘배어업의 관광상품화 방안 91

1. 보성뻘배어업 관광상품화 방향성 91

1.1. 사회 문화적 분야 91

1.2. 교육적 가치 분야 94

1.3. 관광적 가치 분야 95

2. 관광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96

2.1. 보성뻘배 스토리텔링 개발 97

2.2. BI개발 및 캐릭터 개발 101

2.3. 보성뻘배 체험·교육프로그램 개발 113

2.4. 보성뻘배 관광기념품 및 문화상품 개발 122

2.5. 주변 관광자원과의 연계 131

2.6. 보성뻘배어업의 세계중요농업유산등재 추진 134

V. 결론 및 제언 135

참고문헌 139

Abstract 142

표목차

[표 2-1] 어업유산의 기능 23

[표 2-2] 어업유산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사례와 유형 31

[표 2-3] 국가중요어업유산지정 기준 37

[표 2-4] 국가중요어업유산지정 평가등급 38

[표 2-5] 국가중요어업유산 활용 현황 55

[표 2-6] 관광상품화 목표 설정 62

[표 3-1] 우리나라 갯벌 분포 현황 67

[표 3-2] 람사르습지 등록 현황 : 2017.06월 기준 72

[표 3-3] 보성 벌교갯벌의 람사르 등록 73

[표 3-4] 국토해양부의 보성군과 고창군 갯벌 보전가치 추정 76

[표 3-5] 전라남도 수산자원보호구역지정 현황 78

[표 3-6] 전남지역 습지보호구역 지정현황 79

[표 3-7] 뻘배의 부분 명칭 및 기능 87

[표 3-8] 뻘배의 제작 과정 88

[표 4-1] 이해관계자 및 역할 92

[표 4-2] 스토리(Story)구현 적용 분야 101

[표 4-3] 보성군 주요 관광지 132

[표 4-4] 보성군 주요축제 현황 133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20

[그림 2-1] 어업유산의 개념과 유·무형 요소 21

[그림 2-2] 세계중요농업유산등재 준비와 심의 절차 33

[그림 2-3]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범위와 대상 39

[그림 2-4] 제주 해녀어업 40

[그림 2-5] 보성 뻘배어업 41

[그림 2-6] 죽방렴어업 43

[그림 2-7] 신안 천일염업 44

[그림 2-8] 지주식 김양식어업 45

[그림 2-9] 갯벌낙지 맨손어업 46

[그림 2-10] 재첩잡이 손틀어업 47

[그림 2-11] 국가중요어업유산 및 어업유산 후보자원 현황 51

[그림 2-12] 어업유산 관광상품화 과정 60

[그림 3-1] 우리나라 전국 갯벌분포현황 68

[그림 3-2] 벌교갯벌 흑두루미와 혹부리오리 74

[그림 3-3] 바덴 해의 지형 분류도 81

[그림 3-4]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바텐미어 국립공원 84

[그림 3-5] 전통뻘배 및 전통뻘배 경주대회 86

[그림 3-6] 뻘배의 휨방지대 및 매미 87

[그림 3-7] 뻘배 이망 성형 과정 88

[그림 4-1] 보성뻘배어업 관광상품화 설계 97

[그림 4-2] 스토리텔링의 개념 구조 98

[그림 4-3] 스토리텔링 형성을 위한 기준 99

[그림 4-4] 스토리(Story)구현 적용 방향 100

[그림 4-5] 장흥시장 브랜드 및 장흥토요시장 만남의광장 전경 110

[그림 4-6] 정선아리랑시장 전경과 공연행사장 111

[그림 4-7] 구로시오시장 전경과 참치해체 쇼 112

[그림 4-8] 보케리아시장 전경 113

[그림 4-9] 특화된 상품과 프로그램코스 개발방향 113

[그림 4-10] 관광기념품개발 Flow chart 123

[그림 4-11] 보성군 관광안내도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