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5
II. 기존 연구 성과 검토 및 연구 방법 23
1. 기존 연구 검토 23
2. 연구 범위와 방법 28
III. 문예이론 및 배경 37
1. 문예이론 40
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41
2) 주체문예이론(유일주체사상) 50
2. 정권 초기 문예이론 배경 53
1) 공산화 정책 53
2) 군사력 증강 및 사상 강화 58
IV. 한국전쟁 이전의 인민가요 70
1. 정권 수립기의 인민가요 71
2. 인민가요의 가사 내용 81
1) 인민 사상개조의 방향 83
2) 사회주의 경제체제지향 100
3. 인민가요의 음악적 특징 120
V. 한국전쟁 시기의 전시가요 138
1. 1950년의 전시가요 140
1) 자료검토 141
2) 내용분석 157
3) 1950년 전시가요의 음악적 특징 205
2. 1951년의 전시가요 220
1) 자료검토 221
2) 내용분석 233
3) 1951년 전시가요의 음악적 특징 274
3. 1952년의 전시가요 286
1) 자료검토 288
2) 내용분석 292
3) 1952년 전시가요의 음악적 특징 316
4. 1953년의 전시가요 326
1) 자료검토 328
2) 내용분석 331
3) 1953년 전시가요의 음악적 특징 351
VI.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와 전시가요의 변화와 특징 358
1. 인민가요의 가사와 음악 358
2. 전시가요의 가사와 음악 365
3. 변화와 특징 394
VII. 결론 410
참고문헌 419
Abstract 436
[그림 1] 조·소의 친선을 다지는 정기간행물의 예, 『조쏘친선』 73
[그림 2] 『조쏘歌曲 100曲集』 앞표지와 속표지 75
[그림 3] 『조쏘歌曲 100曲集』의 마지막 페이지 76
[그림 4] 『조쏘歌曲 100曲集』의 "조선 편" 첫 번째 곡 77
[그림 5] 『조선녀성(쏘련군대 환송기념 특집호)』 앞표지와 목차 예시 119
[악보 6] 〈조선행진곡〉 악곡 분석 127
[악보 7] 〈김일성 장군의 노래〉 악보 분석 129
[그림 8] 『승리를 위하여』 1950년 7월 28일과 8월 5일자 조선인민군 전선신문 각각 1면 143
[그림 9] 『승리를 위하여(사진화보)』 1950. 8.10 창간호 표지와 〈부산으로 진해로〉 악보 144
[그림 10] 『인민군군가집』 제1집과 제2집 앞표지와 속표지 144
[그림 11] 『인민군군가집』 제1집과 제2집 목차 145
[그림 12] 『인민군군가집』 제1집의 맨 첫 번째 곡 146
[그림 13] 『인민가요』의 앞표지와 목차, 첫 번째 악보 148
[그림 14] 『인민가요집』의 앞표지와 목차, 첫 번째 악보 151
[그림 15] 『조선노래대전집』 속표지와 두 번째 페이지 153
[그림 16] 『조선노래대전집』 세 번째와 네 번째 페이지 155
[그림 17] 『조선노래대전집』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페이지 156
[악보 18] 〈인민항쟁가〉 악곡 분석 206
[악보 19] 〈개선행진곡〉 악곡 분석 208
[악보 20] 〈쓰딸린대원수의 노래〉 악곡 분석 210
[그림 21] 『전투원들에게주는 노래집』 1, 2권 앞표지와 속표지 예시 223
[그림 22] 『전투원들에게주는 노래집』 1권과 2권 목차 예시 225
[그림 23] 『전투원들에게주는 노래집』 1권과 2권 악보 예시 226
[그림 24] 『전시가요유래집』의 겉표지 및 속표지 예시 230
[그림 25] 『전시가요유래집』의 차례 예시 231
[악보 26] 〈포병의 노래〉 악곡 분석 275
[악보 27] 〈결전의 길로〉 악곡 분석 277
[악보 28] 〈내 고향의 정든 집〉 악곡 분석 317
[악보 29] 〈승리의 씨앗〉 악곡 분석 319
[악보 30] 〈청년유격대〉 악곡 분석 352
[그림 31] 『조쏘歌曲 100曲集』 '조선 편' 각각 주제의 비중 359
[그림 32] 연도별 전시가요 빈도수 367
[그림 33] 1950년 전시가요 내용분류의 주요 주제 368
[그림 34] 1951년 전시가요 내용분류의 주요 주제 369
[그림 35] 1952년 전시가요 내용분류의 주요 주제 370
[그림 36] 1953년 전시가요 내용분류의 주요 주제 371
[그림 37] 연도별 전시가요의 주요 주제 변화 372
[그림 38] 국가보위를 위한 임무와 역할 강조의 세부 주제 연도별 변화 373
[그림 39] 1950년 국가보위를 위한 임무와 역할 강조 주제 세부분류 376
[그림 40] 1951년 국가보위를 위한 임무와 역할 강조 주제 세부분류 377
[그림 41] 1952년 국가보위를 위한 임무와 역할 강조 주제 세부분류 377
[그림 42] 1953년 국가보위를 위한 임무와 역할 강조 주제 세부분류 379
[그림 43] 연도별 애국주의 강조의 세부 주제분류 380
[그림 44] 지도자 찬양 및 우방국에 대한 친선 강조의 세부 주제분류 382
[그림 45] 연도별 전시가요의 장조와 단조 변화 387
[그림 46] 연도별 전시가요 박자 변화 388
[그림 47] 연도별 전시가요 유절 변화 수 389
[그림 48] 연도별 전시가요의 구조 변화 수 390
[그림 49] 연도별 전시가요 주요 마디수 변화 수 390
[그림 50] 연도별 전시가요 종지 및 나타냄말 변화 수 391
해방 직후 한반도는 소련군정과 미국군정의 주둔으로 각각 서로 다른 이념이 심어졌다. 이어지는 한국전쟁은 이를 공고히 하였으며, 특히 북한에서는 김일성 유일사상체제를 굳건하게 만드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본 연구자는 한국전쟁 시기 긴급하게 돌아가던 정치·사회적 상황 속에서 인민군대를 전쟁승리로 이끌고 후방인민의 전쟁 지지와 참여를 고무시키기 위해 전시가요가 중요하게 이용되었음을 주시하였다. 그리고 전시가요 연구로 김일성 정권 초기 프로파간다 음악 정책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작업은 현 북한 인민음악의 시원을 찾는 기회라 생각되었다.
본 연구 범위는 전시가요연구임에도 불구하고 해방 직후(1945. 8)부터 한국전쟁기(1950-1953)까지로 정하였다. 그 이유는 한국전쟁은 김일성 정권 창출 시기부터 실행하였던 소련식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한반도 전체로 확장하기 위한 무력통일의 시도로써 결코 그 이전과 동떨어진 별개의 사건이 아닐 거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래서 한국전쟁을 기준으로 그 이전은 인민가요, 이후는 전시가요로 규정하여 가사와 음악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사 내용과 음악분석에서 소련 번안가요 36곡,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 64곡과 전시가요 227곡을 이용하여 그 특징과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전시가요 가사 내용의 주제 제1위는 '국가보위를 위한 임무와 역할 강조'였다.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가 마르크스의 레닌 사상에 기초하여 전쟁의 필연성과 정당성을 인민들에게 끊임없이 선전 선동하였다면, 전시가요는 인민군대와 후방인민에게 미국과 이승만정권을 끊임없이 혐오하며 전쟁의 필연성과 정당성으로 전쟁승리에 이바지하도록 그들의 임무와 역할을 세뇌하였다.
주제 제2위는 '애국주의 강조'였다.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가 반제반봉건 민주개혁에서 노동자, 농민이 애국주의로 앞장설 것을 선동하였다면, 전시가요도 마찬가지로 반제반봉건 민주개혁의 실행을 찬양하며 한반도 전체에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위해 이들이 애국주의로 전투할 것을 나타냈다. 애국심 자극에서는 마르크스 증오교육 원리에 국가주의와 서정적 요소가 강조되었다.
주제 제3위는 '지도자 찬양 및 우방국에 대한 친선 강조'였다. 이것은 인민가요 '소련의 지도자 및 소련군 찬양·우호 강조'가 전시가요로 이어진 것이다. 인민가요는 스탈린과 소련군대 찬양으로 북한에 소련식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종용하였다면, 전시가요는 소련 원조로 전쟁을 치르기 위한 장치로 이용되었다.
주제 제4위는 '김일성 중심의 국가건설'이었다. 이것은 개전초 북한과 남한 점령지 모두에서 강조된 것이었다. 인민가요에서 이 주제는 북한에 프롤레타리아 계급 중심의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독려하였다면, 전시가요는 북한 인민의 전쟁참여 독려와 남한 주민의 사회주의 국가건설 참여를 끌어내기 위한 기제였다. 한마디로 한반도 전체에 사회주의 국가건설 목표로 이용되었다.
주제 제5위는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에서 '한국전쟁을 암시했었던 노래'가 전시가요로 다시 불리어 전쟁의 타당성과 정당성에 의미를 부여했다. 이것은 한국전쟁 예고로 김일성 정권이 전쟁을 미리 계획하여 실행한 것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제6위 주제는 '사회개혁과 관련된 노래'이다. 이 주제는 북한 정권 수립기의 인민가요가 전시가요로 재이용된 것으로 남한 점령지에서 북한체제의 우월성을 남한 주민들에게 선전함으로써 이들의 정치적 지지를 얻고자 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휴전 암시 및 전후 복구'이다. 이것은 휴전 암시와 전후 복구로 나눌 수 있다. 휴전 암시는 상징적 요소를 통해서 전쟁의 상흔을 달래었다. 전후 복구는 김일성 중심의 단결로 미국과 전투를 벌이듯이 복구건설에 참여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나타난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와 전시가요의 행태는 소련의 가요를 모방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즉, 인민가요는 새로운 국가건설을 위한 인민 사상개조의 방향 제시와 사회주의 경제체제지향을 위해서, 전시가요는 전쟁승리를 위해서 과거 소련가요가 강조하였던 것을 답습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가사 내용분석에 이어서 음악분석을 하였다. 이것은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모든 전시가요의 외형적·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시기별로 의미가 있는 곡을 선정하여 악곡 분석하였다. 셋째, 각각의 곡들에서 나타난 음악적 특징들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위의 음악분석 내용을 종합해 보면 음악은 한결같이 가사전달을 위한 보조적 역할에 치중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북한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는 일제 치하의 음악 어법과 새로운 소련의 창작 방식을 혼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 한국전쟁 시기에는 소련 번안전시가요가 북한 전시가요로 적극적으로 권장·이용되면서 북한가요에 소련의 음악 어법과 창작 방식이 완전하게 이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전쟁 시기의 북한 전시가요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목적이었던 북한 정권 초기 음악을 통한 프로파간다 정책과 현 북한 인민음악의 시원을 찾을 수 있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