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박사학위논문 1
국문초록 4
목차 11
I. 서론 13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3
2. 논문의 구성 15
II. 부활 18
1. 부활 18
2. 부활과 음식 - 죽음이 만든 식자재 37
3. 부활을 상징화한 작품 사례분석 47
III. 카본프린트 63
1. 고전프린트의 종류와 특징 63
2. 카본프린트의 역사 75
3. 카본프린트의 특징 82
IV. 《부활》 작품 분석 89
1. 이전 작업 분석 90
2. 《부활》 의 작업 과정- 촬영과 색소 제작 95
3. 카본프린트 작업 과정 107
V. 결론 137
참고문헌 141
ABSTRACT 146
II. 박사학위 작품집 149
(표 1) 인화 테스트용 스텝 웨지 필름(step wedge film) 68
(표 2) 〈L' Abbé Laborde〉 의 카본프린트 제작과정 77
(표 3) 〈C.J Burnett〉 의 카본프린트 제작과정 78
(표 4) 〈Fargier〉 의 카본프린트 제작과정 79
(표 5) 카본프린트의 역사 81
(표 6) 〈부활〉 의 작업 과정 95
(표 7) 달걀의 부화 과정 102
(표 8) 젤라틴의 용도와 제품 분류별 특성 113
(표 9) 연구에 사용된 젤라틴 비교 114
I. 박사학위논문 6
(도 1) 조토 디 본도네 (Giotto di Bondone, 1266~1337), 〈최후의 심판〉, 1303-06,... 23
(도 2) 작자 미상, 베킨턴주교 묘지, 15 세기 26
(도 3) 작자 미상, 베킨턴주교 묘지, 15 세기 26
(도 4) 작자 미상, 베킨턴주교 묘지, 15 세기 26
(도 5) 작자 미상, 베킨턴주교 묘지, 15 세기 26
(도 6) 김정현, 〈부활〉, # 017,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27
(도 7) 작자 미상, 〈세상의 군주(유혹자)〉 ... 28
(도 8) 피터르 브뤼헐(Pirter Brueghel the Elder, 1525-1569), 〈죽음의 승리〉, 1562, oil on.... 29
(도 9) 안토니오 데 페레다(Antonio de Pereda), 〈바니타스의 알레고리〉, 1632-36, oil on... 31
(도 10) 얀 브뤼헐 1세(Jan Brueghel the Elder), 〈나무 그릇 속의 꽃〉, 1606-7,... 32
(도 11) 김정현, 〈부활〉, # 034,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34
(도 12) 바르텔 뷔린 1 세(Barthel Bruyn the Elder, 1493-1555), 〈Vanitas〉, 1524,... 35
(도 13)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ϋrer), 〈Melencolia 1〉, 1514, engraving 23.9x18.7cm,... 36
(도 14) 김정현, 〈부활〉, # 027,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40
(도 15) FOOD, INC. 영화 포스트 42
(도 16) 거위에게 강제로 먹이를 투여하는 장면 43
(도 17) 김정현, 〈부활〉, # 025,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46
(도 18) 피터 칼 파베르제(Peter Carl Fabergé), 〈First Hen Egg〉, 1884,... 50
(도 19) 피터 칼 파베르제(Peter Carl Fabergé), 〈Rosebud Egg〉, 1895,... 51
(도 20) 피터 칼 파베르제(Peter Carl Fabergé), 〈Rose Trellis Egg〉, 1907,... 52
(도 21) 피터 칼 파베르제(Peter Carl Fabergé), 〈Winter Egg〉, 1913,... 53
(도 22) 피터 칼 파베르제(Peter Carl Fabergé), 〈Red Cross Egg〉, 1915,... 54
(도 23) 피터 칼 파베르제(Peter Carl Fabergé), 〈Karelian Birch Egg〉, 1917,... 54
(도 24) 니콜라이 2세 황제(Tsar Nicholas II) 가족 1913, Portrait by the Levitsky... 55
(도 25) 김민정 〈Petal〉 2017, Mixed media on mulberry Hanji paper, 28.5x27cm 58
(도 26) 김민정 〈Mountain〉 2014, Ink on mulberry Hanji paper, 111x159.5cm 58
(도 27) 김민정 〈The Street〉 2015, Mixed media on mulberry Hanji paper, 111x159.5cm 59
(도 28) 김정현, 〈부활〉, # 101,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60
(도 29) 김정현 〈Rediscovery〉 #05, 2015, Cyanotype print on watercolor paper,... 66
(도 30) 김정현 〈Flower〉 #02, 2016, Van Dyke Brown print on watercolor paper,... 67
(도 31) 로베르트 드마시(Robert Demachy), 〈Struggle〉, 1903 or earlier, Gum... 70
(도 32) 줄리아 마가렛 캐메론(Julia Margaret Cameron), 〈The Dream〉, 1969, albumen print,... 72
(도 33) 피터 헨리 에머슨(Peter Henry Emerson), 〈Coming Home from the... 74
(도 34) 줄리아 마가렛 캐머론(Julia Margaret Cameron), 〈Alfred Lord Tennyson〉, Carbon... 83
(도 35) 김정현, 〈부활〉, # 069,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86
(도 36) 김정현, 〈부활〉, # 075,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88
(도 37) 김정현, 〈또한 바람과도 같다〉 #10, 2014, Cyanotype print on watercolor paper,... 90
(도 38) 김정현, 〈또한 바람과도 같다〉 #21, 2015, Cyanotype print on watercolor paper,... 91
(도 39) 김정현, 〈부활〉, # 052,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소장 92
(도 40) 연구자의 《또한 바람과도 같다》 작품 제작 모습 93
(도 41) 김정현, 〈또한 바람과도 같다〉 #18, 2016, Cyanotype print on watercolor paper,... 94
(도 42) 생 수틴(ChaTm Soutine), 1925, 〈Boeuf et tete de veau〉, 캔버스에 유채,... 97
(도 43) 김정현, 목이 잘린 양, 2019 99
(도 44) 김정현, 껍질이 벗겨진 토끼, 2019 99
(도 45) 김정현, 목이 잘린 당나귀, 2019 99
(도 46) 김정현, 다리가 꺾인 당나귀, 2019 99
(도 47) 《부활》 작업에 촬영된 알들 100
(도 48) 김정현, 〈부활〉, #041,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101
(도 49) 알과 곤달걀의 1차 탄화 과정 103
(도 50) 알과 곤달걀의 2차 탄화 과정 103
(도 51) 알과 곤달걀의 탄화물 104
(도 52) 재와 그을음으로 만든 색소 104
(도 53) 김정현, 〈부활〉, #024, 2019, carbon print, 45x45cm, 작가 소장 106
(도 54) 작업 노트 중 카본프린트 프로세스 진행도 107
(도 55) 지지체 종이의 수세 전 사진 109
(도 56) 지지체 종이의 수세 후 사진 109
(도 57) 지지체 종이 위에 젤라틴을 도포하는 모습 109
(도 58) 광택 처리된 이미지 110
(도 59) 무광택 처리된 이미지 110
(도 60) 티슈에 생긴 거품 111
(도 61) GELITA - A 113
(도 62) GELITA - B 113
(도 63) HUAXUAN GELATIN - A 113
(도 64) HUAXUAN GELATIN - B 114
(도 65) HUAXUAN GELATIN - C 114
(도 66) 젤 텍 114
(도 67) 삼전화학 114
(도 68) 이미지 경화 테스트 115
(도 69) 젤라틴 116
(도 70) 연구자가 제작한 색소 116
(도 71) 설탕 116
(도 72) 유포지에 색소를 첨가한 젤라틴 도포 장면 118
(도 73) 티슈 제작 중에 발생한 거품이 흘러내린 현상 118
(도 74) 정상적으로 건조된 티슈 119
(도 75) 중크롬산칼륨 희석 용액 120
(도 76) 완성된 티슈에 중크롬산칼륨을 도포하여 감광성을 지니게 하는 작업 121
(도 17) 티슈 건조 121
(도 78) DAS 감광제 122
(도 79) 테스트용 네거티브 필름 124
(도 80) 테스트용 네거티브 필름을 이용한 현상 테스트 124
(도 81) 노광기를 이용한 노광 작업 126
(도 82) 티슈와 네거티브 필름의 밀착 126
(도 83) 테스트 이미지 130
(도 84) 완성된 테스트 이미지 130
(도 85) 테스트 이미지 131
(도 86) PET 필름 134
II. 박사학위 작품집 172
(도 1) 김정현, 〈부활〉, # 001, 45x45cm, carbon print, 2019 157
(도 2) 김정현, 〈부활〉, # 002, 45x45cm, carbon print, 2019 157
(도 3) 김정현, 〈부활〉, # 003, 45x45cm, carbon print, 2019 158
(도 4) 김정현, 〈부활〉, # 004, 45x45cm, carbon print, 2019 158
(도 5) 김정현, 〈부활〉, # 013, 45x45cm, carbon print, 2019 159
(도 6) 김정현, 〈부활〉, # 014, 45x45cm, carbon print, 2019 159
(도 7) 김정현, 〈부활〉, # 015, 45x45cm, carbon print, 2019 160
(도 8) 김정현, 〈부활〉, # 017, 45x45cm, carbon print, 2019 160
(도 9) 김정현, 〈부활〉, # 041, 45x45cm, carbon print, 2019 161
(도 10) 김정현, 〈부활〉, # 052, 45x45cm, carbon print, 2019 161
(도 11) 김정현, 〈부활〉, # 053, 45x45cm, carbon print, 2019 162
(도 12) 김정현, 〈부활〉, # 054, 45x45cm, carbon print, 2019 162
(도 13) 김정현, 〈부활〉, # 056, 45x45cm, carbon print, 2019 163
(도 14) 김정현, 〈부활〉, # 059, 45x45cm, carbon print, 2019 163
(도 15) 김정현, 〈부활〉, # 064, 45x45cm, carbon print, 2019 164
(도 16) 김정현, 〈부활〉, # 065, 45x45cm, carbon print, 2019 164
(도 17) 김정현, 〈부활〉, # 066, 45x45cm, carbon print, 2019 165
(도 18) 김정현, 〈부활〉, # 067, 45x45cm, carbon print, 2019 165
(도 19) 김정현, 〈부활〉, # 069, 45x45cm, carbon print, 2019 166
(도 20) 김정현, 〈부활〉, # 072, 45x45cm, carbon print, 2019 166
(도 21) 김정현, 〈부활〉, # 074, 45x45cm, carbon print, 2019 167
(도 22) 김정현, 〈부활〉, # 075, 45x45cm, carbon print, 2019 167
(도 23) 김정현, 〈부활〉, # 076, 45x45cm, carbon print, 2019 168
(도 24) 김정현, 〈부활〉, # 094, 45x45cm, carbon print, 2019 168
(도 25) 김정현, 〈부활〉, # 095, 45x45cm, carbon print, 2019 169
(도 26) 김정현, 〈부활〉, # 106, 45x45cm, carbon print, 2019 169
(도 27) 김정현, 〈부활〉, # 107, 45x45cm, carbon print, 2019 170
(도 28) 김정현, 〈부활〉, # 118, 45x45cm, carbon print, 2019 170
(도 29) 김정현, 〈부활〉, # 119, 45x45cm, carbon print, 2019 171
(도 30) 김정현, 〈부활〉, # 126, 45x45cm, carbon print, 2019 171
《부활》 연작은 알을 소재로 부활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이며, 본 논문은 《부활》展 작품의 의미구조와 제작과정을 분석한 작품론이다.
일반적으로 부활(復活)의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독교적 관점인 성스러운 기적으로서의 부활이며, 두 번째는 회생(回生)과 회복(回復)의 의미를 가진 부활이다. 연구자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거나 쇠퇴하거나 폐지한 것이 다시 성하게 되는 부활의 의미를 환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알을 오브제로 선택하였다.
《부활》에서 알은 생(生)과 사(死) 그리고 흥망성쇠(興亡盛衰)를 통시에 내포하고 있는 상징적 존재이다. 부화하지 못한 알은 소멸의 운명을 맞을 수밖에 없으나, 파란(破卵)을 통해 껍질을 깨뜨리는 고통을 극복한 알은 생명을 얻게 된다. 알의 물성은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파괴될 수 있으며 스스로 보호하는 기능은 매우 미약하다. 《부활》에서 이미지화된 알은 식자재의 대상이 아닌 고유한 생명체로서의 존재론적 의미를 담고 있다. 사진으로 표현된 알은 연약한 표피가 확대되고, 고유한 형태가 가진 조형성이 강조되었으며 어두운 공간을 부유하는 추상적인 형상을 가진다. 연구자는 한 개의 알을 또 다른 고유한 세계를 가진 주체로 시각화하여 생명의 존엄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부활》의 작품들은 의미의 극대화를 위해 카본프린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완성하였다. 19세기 초 사진의 발명 이후 다양한 종류의 인화 기법들이 발명되었으며 지속 가능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중에서 카본프린트 작품들은 16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이미지의 변형 없이 고유의 색을 유지하고 있을 만큼 보존력과 재현 능력이 뛰어나다. 카본프린트의 주재료는 그을음으로 만든 검은 계열의 색소이다. 이것은 존재가 다시는 환원 될 수 없는 '태운다' 라는 행위와 그 결과물로 얻어지는 잔여물이자 색소로서, 연구자가 부활의 환유를 시각화하는 과정과 표현 방식으로서 주요한 의미를 가진다.
《부활》의 작품 제작을 위해 촬영된 모든 알은 태우기 과정을 거쳐야 한다. 태운다는 것은 속죄(贖罪)와 회복(回復)의 의미로 해석되며 하나의 마무리와 동시에 새로운 시작을 뜻하기도 한다. 연구자에게 태우기의 과정은 인간이 다른 생명체들에게 가했던 폭력적 행위에 대한 번제(燔祭)와 그 대상들이 새롭게 회복되기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모든 존재는 사진을 통해 이미지로 재현될 수 있지만, 그것이 가지고 있는 물성의 본질은 부재(不在)한다. 《부활》에서 촬영 대상이었던 알은 소훼(燒燬)의 과정으로 인해 본래의 물성은 잃었지만, 잔존물(殘存物)이 만든 색소를 통해 생명의 고귀함을 상징하는 이미지가 되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