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4
II. 연구 방법 15
1. 연구 설계 15
2. 도구개발 과정 15
2.1. 측정 개념의 구체화 15
2.2. 도구 문항 작성 15
2.3. 도구 척도 결정 17
2.4. 전문가 타당도 검증 17
2.5. 예비 조사 17
2.6. 본 조사 18
2.7. 도구 평가 18
2.8. 도구 완성 19
3. 자료 분석 방법 20
4. 윤리적 고려 20
4.1.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0
III. 연구결과 21
1. 도구 문항 개발 21
2. 전문가 타당도 검증 24
2.1. 전문가 집단의 일반적 특성 24
2.2. 1차 전문가 타당도 검증 25
2.3. 2차 전문가 타당도 검증 32
3. 예비 조사 38
4. 구성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39
4.1. 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9
4.2. 구성타당도 검증 41
4.3. 신뢰도 검증 51
5. 도구 완성 53
6.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과 관련된 응급처치의 지식수준 56
6.1. 문항별 정답률 56
6.2. 실무경력에 따른 질환별 점수 비교 60
6.3. 최종학력에 따른 질환별 점수 비교 62
6.4. 진료과에 따른 질환별 점수 비교 64
6.5.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질환별 점수 비교 66
IV. 고찰 68
1.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과 관련된 응급처치 지식측정도구의 검증 69
2. 전신질환과 관련된 응급처치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지식수준 71
3.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질환별 점수 비교 72
3. 연구의 한계점 73
V. 결론 74
참고문헌 75
ABSTRACT 79
부록 10
부록 1.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서 81
부록 2. 전문가타당도용 설문지 82
부록 3. 본 조사용 설문지 88
그림 1. 연구 진행과정 16
그림 2-1. '당뇨'문항의 스크리 도표 42
그림 2-2. '무의식'문항의 스크리 도표 42
그림 2-3. '호흡기질환'문항의 스크리 도표 43
그림 2-4. '심뇌혈관질환'문항의 스크리 도표 43
그림 2-5. '간질'문항의 스크리 도표 44
본 연구는 치과 임상에서 발생하는 전신질환에 관련된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임상 치과위생사에게 필요한 지식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도구개발과정은 Devellis의 도구 개발 지침을 따랐으며 응급처치에 관한 교재, 문헌, 법령을 고찰하여 질환별 징후와 증상, 처치, 예방이라는 개념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질환 선정은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료실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6가지 질환(당뇨, 무의식, 호흡기질환,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간질)이 선정되었으며 질환별 개념적 기틀에 알맞은 62개의 기초문항을 개발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관련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전문가타당도 검증을 2회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58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서울, 경기도, 강원도에 있는 1년 이상의 임상 근무경력이 있는 치과위생사 29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14개의 요인이 구성되었다. 신뢰도는 요인 별 내적신뢰도(Cronbach's α)와 검사-재검사법을 통한 Cohen's kappa 계수로 검증하였다. Cronbach's α 계수가 0.5 미만인 경우 해당 요인은 삭제하였으며 개별 문항의 Cohen's kappa 계수가 0.400 이하인 경우 문항의 일치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해당 문항을 삭제하였다. 위 절차에 따라 총 13개 요인의 49개 문항이 완성되어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과 관련된 응급처치 지식 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과 관련된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을 측정했으며 일부 문항은 90% 이상의 정답률을 나타냈지만 20% 이하의 정답률을 보인 문항도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가 진료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한 실무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