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문제 14

3. 용어의 정의 15

가. 사회적 지지 15

나. 자아탄력성 15

다. 직무만족도 16

II. 이론적 배경 17

1. 사회적 지지 17

가. 사회적 지지의 개념 17

나.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선행연구 18

2. 자아탄력성 19

가. 자아탄력성의 개념 19

나. 자아 탄력성과 관련된 선행연구 20

3. 직무만족도 21

가. 직무만족도의 개념 21

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선행연구 22

III. 연구방법 24

1. 연구모형 24

2. 연구대상 26

3. 연구도구 28

가. 사회적 지지 척도 28

나. 자아탄력성 척도 30

다. 직무만족도 척도 31

4. 자료의 분석 33

IV. 연구결과 34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4

2. 구조적 관계 분석 38

가. 측정모형 분석 38

나. 연구모형 분석 40

다. 연구 모형의 경로계수 42

라. 매개효과 분석 43

V. 논의 및 결론 45

1. 논의 45

2. 결론 48

3. 제언 49

참고문헌 51

ABSTRACT 58

부록 - 설문지 60

표목차

〈표 III-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표 III-2〉 사회적 지지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29

〈표 III-3〉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31

〈표 III-4〉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32

〈표 IV-1〉 변인별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왜도, 첨도 35

〈표 IV-2〉 변인들 간 상관관계 분석 37

〈표 IV-3〉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38

〈표 IV-4〉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 40

〈표 IV-5〉 연구모형의 경로계수와 통계적 유의성 42

〈표 IV-6〉 연구모형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결과 43

〈표 IV-7〉 직·간접효과 및 총 효과 44

그림목차

[그림 III-1] 연구모형 25

[그림 IV-1] 측정모형(경로계수는 표준화계수) 39

[그림 IV-2] 연구모형 결과 (경로계수는 표준화계수) 41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S시, K군에 소재한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그중 320부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측정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잠재변인 사이의 관계에 대해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에 직접적으로 효과를 미쳤다.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관련된 직무연수나 기관 내 복지를 통해 전문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의 관계 및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에 대한 개인적인 노력 및 인식도 필요하겠지만 영유아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