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 문제 13

3. 용어의 정의 14

II. 이론적 배경 15

1. 유아와 그림책 15

1) 직업주제 그림책의 개념 15

2) 직업주제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 16

2. 유아와 동극활동 18

1) 동극활동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18

2)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의 개념 및 교사의 역할 21

3. 유아와 조망수용능력 24

1) 조망수용능력의 개념 24

2) 조망수용능력의 구성요소 26

3) 유아와 조망수용능력의 발달 30

4. 유아와 친사회적행동 32

1) 친사회적행동의 개념 32

2) 친사회적행동의 구성요소 34

3) 유아와 친사회적행동의 발달 35

III. 연구방법 37

1. 연구 대상 37

2. 연구 도구 39

3. 연구 절차 43

4. 자료 분석 57

IV. 연구결과 및 해석 58

1.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58

2.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62

V. 논의 및 결론 68

1. 요약 및 논의 68

2.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6

부록 82

〈부록 1〉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 83

〈부록 2〉 조망수용능력 유아 면접 기록지 86

〈부록 3〉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검사도구 89

〈부록 4〉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 계획안 90

ABSTRACT 106

표목차

〈표 III-1〉 유아들의 집단 간 구성 및 평균 월령과 월령 동질성의 내용 37

〈표 III-2〉 집단 간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의 동질집단 여부 확인 38

〈표 III-3〉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의 각 하위요인 및 문항수와 신뢰도 계수 39

〈표 III-4〉 타인의도조망수용능력 측정기준(타인행동의 의도에 대한 명확한 설명 정도) 40

〈표 III-5〉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 측정기준 (타인행동의 의도에 대한 명확한 설명 정도) 41

〈표 III-6〉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 측정기준(등장인물의 기분에 대한 대조적 설명 정도) 41

〈표 III-7〉 친사회적행동 검사도구의 하위영역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계수 42

〈표 III-8〉 실험연구 절차 43

〈표 III-9〉 실험설계의 내용 45

〈표 III-10〉 직업주제 그림책 명 및 검사도구 관련 요소 47

〈표 III-11〉 각 회기별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 명 및 활동내용과 활동유형 50

〈표 III-12〉 실험집단의 활동계획안(예시) 53

〈표 III-13〉 비교집단의 활동계획안(예시) 55

〈표 III-14〉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하루 일과운영 56

〈표 IV-1〉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검증 58

〈표 IV-2〉 타인의도조망수용능력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59

〈표 IV-3〉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60

〈표 IV-4〉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61

〈표 IV-5〉 친사회적행동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63

〈표 IV-6〉 나누기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64

〈표 IV-7〉 도움 주기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65

〈표 IV-8〉 감정이입과 조절하기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66

〈표 IV-9〉 지도성의 사전·사후 차이검증 67

그림목차

[그림 III-1] 연구절차 모형 44

[그림 IV-1] 조망수용능력의 사전·사후 비교 59

[그림 IV-2] 타인의도조망수용능력의 사전.사후 비교 60

[그림 IV-3]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의 사전·사후 비교 61

[그림 IV-4]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의 사전·사후 비교 62

[그림 IV-5] 친사회적행동의 사전·사후 비교 63

[그림 IV-6] 나누기의 사전·사후 비교 64

[그림 IV-7] 도움 주기의 사전·사후 비교 65

[그림 IV-8] 감정이입과 조절하기의 사전·사후 비교 66

[그림 IV-9] 지도성의 사전·사후 비교 67

초록보기

본 연구는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김포시 K읍에 소재한 S어린이집의 만 4세 반 유아 34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따른 일상적인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처치는 2019년 10월 28일부터 2019년 12월 19일까지 8주 동안 총 16회에 걸쳐 주 2회 한 회기당 40분씩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 관련 선행연구들(강경연, 김경란, 오재연, 2012; 권윤선, 이경화, 2010; 김규정, 최일선, 2017; 라현정, 정계숙, 2013; 신애선, 2018)을 토대로 유아발달 및 흥미를 반영한 직업주제 그림책을 일차적으로 총 14권을 선정하였다. 이후 유아교육 관련 전문가 6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확인받아 최종 8권의 직업주제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는 Hudson, Forman과 Brion(1982)의 「조망수용능력 측정도구」를 기초로 신현옥(199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유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을 수정·보완하여 이수기(2005)가 사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김영옥(2003)이 개발한「유아의 친사회적행동 평가 척도」를 서소정(2006)이 간편 형으로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5.0 Win. Program을 사용하였고, 독립표본 t 검증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누리과정에 따른 일상적인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조망수용능력에 있어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부적으로는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인, 타인인지조망수용능력,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누리과정에 따른 일상적인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친사회적행동에 있어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부적으로는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의 하위요인인 나누기, 도움 주기, 감정이입과 조절하기, 지도성에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의 발달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보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역량으로서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 발달에 중요한 초석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