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6
Ⅰ. 서론 8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8
2. 연구 문제 14
3. 용어의 정의 14
1) 소진(burnout) 14
2) 소진 회복 (burnout recovery) 14
Ⅱ. 이론적 배경 15
1. 신자유주의와 유아교육 15
1) 신자유주의와 유아교육기관 15
2) 신자유주의 속 유아교사 20
2. 유아교사의 소진과 소진 회복 24
1) 유아교사직의 어려움 24
2) 유아교사의 소진 30
3) 소진과 회복의 얽힘 35
Ⅲ. 연구방법 39
1. 연구동기 39
2. 연구 참여자 41
1) 강교사 42
2) 문교사 43
3) 송교사 43
4) 오교사 43
5) 장교사 44
6) 한교사 44
3. 연구절차 45
1) 예비연구 45
2) 본연구 50
4. 자료 수집 51
5. 자료 분석 53
1) 자료 분석 방법 53
2) 연구의 진실성 확보 56
6. 연구의 윤리성 57
Ⅳ. 연구결과 58
1. 유아교육현장 특유의 구조와 문화가 소진의 주원인 58
1) 수요자(학부모) 중심 교육체제 속에서 작아지는 유아교사 58
2) 폐쇄적·수직적 조직문화에 물들어가는 유아교사 64
3) 변하지 않는 구조 속에서 지쳐가는 유아교사 71
2. 스스로 회복하려 하는 유아교사 75
1) 회복을 위한 스스로의 선택과 노력 75
2) 삶 속에서 찾아가는 회복 80
3. 고통과 성장이 얽혀가는 유아교사의 삶 84
1) 멍들어가는 유아교사들의 삶 84
2) 교직에 대한 회의감과 감정의 전이 88
3) 고통의 대물림 끊어내기 92
4) 성찰과 성장을 통한 삶의 의미 찾기 100
Ⅴ. 요약 및 논의 106
1. 요약 106
2. 논의 및 제언 108
1) 수요자 중심 교육으로 인해 기울어진 관계의 고리 풀어내기 108
2) 사회문화 안에서 강화되고 재생산되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바로보기 109
3) 소진된 유아교사를 만들어내는 구조적 문제에 주목하기 111
4)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유아교사 되기 113
참고문헌 115
부록 4
[부록 1] 연구 설명서 128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131
[부록 3] 최종 면담 질문지 132
Abstract 134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소진 및 소진 회복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소진 및 소진 회복 현상을 구체화하고 유아교사의 소진 지원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소진 및 소진 회복 경험과 그 의미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치원에서 3년 이상 근무하였고, 본 연구의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소진 및 소진 회복을 경험한 공립유치원 교사 3인, 사립유치원 교사 3인으로 총 6명의 교사이다. 연구기간은 2020년 2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약 두 달간 이루어졌다. 모든 면담은 개별 심층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대일 전화면담의 방법을 취하였다. 총 14번의 면담과 연구자 저널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나선형 분석과정을 통해 총 9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상위범주로 최종 범주화 및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의미를 해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현장 특유의 구조와 문화는 유아교사의 소진을 유발하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수요자(학부모) 중심 교육체제 속에서 작아지고, 폐쇄적·수직적 조직문화 속에서 물들어가고, 변하지 않는 구조 속에서 지쳐가며 소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소진 경험은 유아교사의 삶을 물들이는 경험이었다. 유아교사들은 소진을 경험하며 정서적 탈진과 신체적 탈진을 경험하게 되었는데 이는 유아교사들의 삶을 황폐하게 만들며 정체성의 혼란, 교직에 대한 회의감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정서적 문제와 신체적 문제는 의도치 않게 유아들에게 전이되어 유아교사의 죄책감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자신의 의지와 선택을 바탕으로 소진 경험에 대처하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문제 상황에 정면으로 부딪히거나, 지친 자신을 돌보며 소진 회복을 위해 노력하기도 하였고, 책임감과 의무감에 사로잡혀 소진 경험을 덤덤히 받아들이거나 회복을 위한 노력을 포기하기도 하였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삶 속에서 회복을 경험하고 있었다. 휴식 그리고 함께 살아가는 이들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유아교사들을 지탱하는 힘이자 소진 회복의 계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교사들의 소진 회복 경험은 고통과 성장이 얽혀가는 유아교사들의 삶 그 자체였다. 유아교사들은 고통이 대물림되지 않도록 비판적 사고를 통해 유아교사의 소진 문제에 대한 지원 요구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고통스러웠던 경험으로부터 한 인간으로서 혹은 유아교사로서 삶의 확고한 방향을 잡아가고 있었고, 자신의 경험을 성찰하며 삶의 의미를 찾아가고 있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