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요약
목차
I. 서론 7
1. 연구 배경과 목적 7
2. 연구 방법과 내용 8
II. 작품의 형성 배경 10
1. 치유로써의 미술 10
1) 미술치유의 정의 10
2) 현대인의 번아웃 증후군과 불안 11
3) 미술을 통한 카타르시스와 자기 치유 13
2. 심리학에서의 치유의 관점 14
1)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4
2)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17
3. 자기 치유를 실현한 작가 연구 20
1) 프리다 칼로(Frida Kahlo) 20
2)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Phalle) 23
3)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27
III. 작품 연구 33
1. 작품의 내용 분석 33
1) 공간 33
2) 상징적 사물 39
2. 작품의 형식 분석 45
1) 색채 45
2) 데페이즈망 기법 49
3. 그리기를 통한 치유의 효과 50
1) 1기: 흑백의 시기(2012년-2018년) 51
2) 2기: 치유의 시기(2019년- ) 53
IV. 결론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1
본 논문은 예술적으로 자기를 치유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이 경험은 연구자가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미적 즐거움과 함께 내적 배출을 통한 카타르시스를 의미한다. 급격히 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개인은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는 무엇인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린다는 행위는 이러한 치유에 좋은 방법이다. 그림 그리기를 통한 치유는 육체적, 정서적, 정신적 차원에서 일어난다.
연구자는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와 분석심리학자 융의 이론을 통해 대표적인 '승화'와 '개성화'를 통해 심리학적으로 예술적 자기 치유에 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승화'는 억압 기제 중에 하나로 이 억압기제는 다른 감정을 대체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승화'는 그림을 그리는 경험을 통해 그동안 쌓여있던 다양한 감정들을 해소할 수 있다고 보았다. '개성화'는 인간이 자기실현의 과정으로 최종적으로 실현해야 하는 것이다. '개성화'야 말로 예술이 실현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것이다.
현대미술작가 중에서 자기 치유를 이룬 작가를 대상 작가 연구를 하였다. 프리다 칼로, 니키 드 생팔, 루이즈 부르주아의 세 작가를 통해 그림 그리기를 이용하여 유년기의 상처와 트라우마,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평생을 걸친 치유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의 작품은 1기: 흑백의 시기와 2기: 치유의 시기로 구분하여 서술할 수 있다. 주로 대학원 진학 이후의 시기인 2기의 작품에서 그리기를 통한 치유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1기: 흑백의 시기의 불안한 표현에 반해 2기: 치유의 시기 작품에서는 공간의 확장을 통해 내면의 고립적인 표현에서 내면의 확장의 표현을 통해 치유의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2기 시기의 연구자의 작품 속에는 상징적 사물과 선명한 색채가 존재한다. 붉은 의자, 창문, 문, 선인장과 같은 일상적인 상징물이 화면 속에 존재한다. 작품에서 보이는 붉은 바탕이나 붉은 의자의 붉은 색과 검은 색은 감정을 승화시켜 치유적인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한다. 연구자는 작품 제작과정에서 끊임없이 내면을 보려고 하는 노력을 통해 자기 치유를 통한 프로이트의 '승화'와 융의 '개성화'를 이룰 수 있었다.
작품에서 지속적으로 보이는 붉은 의자는 본인을 상징적으로 대입하였다. 실내 공간 또는 실외 공간 속에 놓여 있는 의자를 통해 스스로의 불안과 고독을 마주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그동안의 근원적인 불안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는 기회를 마련하였으며, 스스로의 불안과 고독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과정을 통해 미적 즐거움과 카타르시스를 통해 자기 치유를 경험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그림 그리는 작업을 통하여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고 삶의 가치를 다시 한번 깊이 돌아 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