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8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문제 17
3. 용어의 정의 17
1) 생각의 원리 17
2) 사회불안 18
Ⅱ. 이론적 배경 19
1.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 19
1) 생각의 원리 개념 및 발달 19
2)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 특성 28
2.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불안 40
1) 사회불안의 개념 40
2)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불안 특성 44
3.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상관관계 49
Ⅲ. 연구방법 57
1. 연구참가자 57
2. 연구대상 58
3. 연구도구 59
1) 생각의 원리 측정도구 60
2) 사회불안 측정도구 61
4. 연구절차 63
5. 자료처리 63
Ⅳ. 연구결과 65
1.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 분석 65
1)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생각의 원리 65
2) 자폐성 장애학생의 학교급별에 따른 생각의 원리 66
3) 자폐성 장애학생의 자폐성 장애의 정도에 따른 생각의 원리 69
4) 자폐성 장애학생의 동반장애에 따른 생각의 원리 71
2.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사회불안 분석 74
1)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사회불안 74
2) 자폐성 장애학생의 학교급별에 따른 사회불안 75
3) 자폐성 장애학생의 자폐성 장애의 정도에 따른 사회불안 77
4) 자폐성 장애학생의 동반장애에 따른 사회불안 80
3.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상관관계 83
Ⅴ. 논의 84
1.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 84
1) 연구참가자 84
2) 연구대상 86
3) 연구도구 88
4) 연구절차 90
2.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90
1)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 분석 91
2)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사회불안 분석 95
3)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상관관계 100
Ⅵ. 결론 및 제언 103
1. 결론 103
2. 제언 104
참고문헌 105
Abstract 146
부록 150
1. 일반적 특성 151
2. 생각의 원리 152
3. 사회불안 155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자폐성 장애학생 629명이며, 자폐성 장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62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특수교사 밴드'와 SNS 등 정보공유를 통하여 지원자 표집하였으며, 전자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에 대한 특수교사의 평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Hutchins, Prelock과 Bonazinga(2012)가 개발하고 표준화한 「생각의 원리 측정도구(Theory of Mind Inventory: ToMI)」 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평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Masia-Warner 외(2003)가 개발한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Liebowitz 사회불안 척도(The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LSAS-CA)」 를 사용하였다.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분석을 위해 성별은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 정도, 동반장애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정도, 동반 장애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학교급별로는 고등학교가 생각의 원리 차이가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중학교, 초등학교 순이며, 자폐성 장애의 정도에서는 경도장애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중등도, 중도, 최중도 순이었다. 동반장애에서는 지적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학생의 생각의 원리 능력이 더 높았다.
둘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사회불안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정도, 동반장애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학교급별로는 고등학교가 사회불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중학교, 초등학교 순이며, 자폐성 장애의 정도에서는 경도장애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중등도, 중도, 최중도 순이었다. 동반장애에서는 지적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학생의 사회불안이 더 높았다.
셋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안내와 정보공유를 통해 지원자 표집을 하였으므로 본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사 모집단 전체를 대표한다고 볼 수 없다. 둘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 능력과 사회불안을 직접 관찰한 것이 아니라 특수교사가 지도한 경험이 있는 특정 1인의 자폐성 장애학생을 떠올려 측정한 평가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을 통제하여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설문지, 관찰, 인터뷰, 자기보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불안을 줄일 수 있는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