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23

1. 연구 목적 2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3

2) 선행연구 검토 25

2. 연구 범위 및 방법 29

1) 연구 범위 29

2) 연구 방법 32

II. 조선시대 공신제도와 공신초상 관복제도 35

1. 조선시대 공신제도 35

1) 공신의 개념과 유형 35

2) 공신의 책록 절차 39

3) 공신의 특전 42

2. 공신초상 관복제도 53

1) 사모(紗帽) 55

2) 단령(團領) 58

3) 받침옷 77

4) 흉배(胸背) 89

5) 품대(品帶) 109

6) 화자(靴子) 117

III. 조선 전기 공신초상의 관복 122

1. 제1기 공신초상의 관복(태조 1~성종 2) 122

1) 공신책록과 공신초상 122

2) 관복의 조형성 141

3) 소결 155

2. 제2기 공신초상의 관복(세조 13, 중종 1~명종 1) 157

1) 공신책록과 공신초상 157

2) 관복의 조형성 169

3) 소결 186

3. 제3기 공신초상의 관복(선조 23~선조 37) 189

1) 공신책록과 공신초상 189

2) 관복의 조형성 209

3) 소결 235

IV. 조선 후기 공신초상의 관복 239

1. 제4기 공신초상의 관복(광해군 5~인조 22) 239

1) 공신책록과 공신초상 239

2) 관복의 조형성 272

3) 소결 317

2. 제5기 공신초상의 관복(숙종 6~영조 4) 324

1) 공신책록과 공신초상 324

2) 관복의 조형성 333

3) 소결 356

V. 결론 358

참고문헌 367

Abstract 380

일러두기 388

부록 388

부록 1. 공신초상 색인(연도순) 389

부록 2. 공신초상 색인(이름순) 398

표목차

표 I-1. 시기별 공신호(號)와 공신초상 관복 특징 30

표 II-1. 조선시대 사모 형태 변화 57

표 II-2. 초상 단령 겉감의 문양 67

표 II-3. 출토복식 단령 겉감의 문양 68

표 II-4. 조선 전기 공신초상 단령 받침옷 80

표 II-5. 『조선왕조실록』에서 확인되는 단령·담호·철릭 81

표 II-6. 공신초상 단령 받침옷 86

표 II-7. 《등준시무과도상첩》의 사자흉배 1774년 107

표 II-8. 시대 따른 품대 바탕색(청색) 111

표 II-9. 정·종 1품 서대 112

표 II-10. 정2품 삽금대 113

표 II-11. 종2품 소금대·학정금대 114

표 II-12. 정3품 삽은대 116

표 II-13. 『조선왕조실록』의 백화 기록 118

표 III-1. 개국공신 명단(1392. 09) 124

표 III-2. 정사공신 명단(1398. 10) 127

표 III-3. 좌명공신 명단(1401. 02) 130

표 III-4. 정난공신 명단(1453. 10) 134

표 III-5. 좌익공신 명단(1455. 08) 136

표 III-6. 익대공신 명단(1468. 10) 137

표 III-7. 좌리공신 명단(1471. 03) 139

표 III-8. 제1기 공신초상 품대 152

표 III-9. 제1기 공신초상 관복 구성 156

표 III-10. 적개공신 명단(1467. 09) 158

표 III-11. 정국공신 명단(1506. 09) 162

표 III-12. 정난공신 명단(1507. 09) 168

표 III-13. 위사공신 명단(1545. 09) 169

표 III-14. 제2기 공신초상 사모 171

표 III-15. 제2기 공신초상 관복 구성 188

표 III-16. 광국공신 명단(1590. 08) 191

표 III-17. 평난공신 명단(1590. 08) 193

표 III-18. 호성공신 명단(1604. 10) 195

표 III-19. 선무공신 명단(1604. 10) 203

표 III-20. 청난공신 명단(1604. 10) 206

표 III-21. 제3기 임란 이후 공신초상 사모 212

표 III-22. 제3기 임란 이후 공신초상 사모뿔 운보문 213

표 III-23. 제3기 임란 이후 공신초상 단령 색상과 문양 215

표 III-24. 제3기 공신초상 공작흉배 225

표 III-25. 제3기 공신초상 운안흉배 226

표 III-26. 제3기 공신초상 호흉배 229

표 III-27. 제3기 공신초상 서대 231

표 III-28. 제3기 공신초상 삽금대 231

표 III-29. 제3기 공신초상 학정금대 233

표 III-30. 제3기 공신초상 은대 233

표 III-31. 제3기 공신초상 화자 235

표 III-32. 제3기 공신초상 관복 구성(광국·호성) 237

표 III-33. 제3기 공신초상 관복 구성(선무·청난) 238

표 IV-1. 위성공신 명단(1613. 03) 240

표 IV-2. 익사공신 명단(1613. 03) 245

표 IV-3. 정운공신 명단(1613. 03) 252

표 IV-4. 형난공신 명단(1613. 03) 252

표 IV-5. 정사공신 명단(1623. 윤10) 257

표 IV-6. 진무공신 명단(1624. 04) 264

표 IV-7. 소무공신 명단(1627. 11) 268

표 IV-8. 영사공신 명단(1628. 03) 269

표 IV-9. 영국공신 명단(1644. 05) 271

표 IV-10. 제4기 광해군대 공신초상 사모 273

표 IV-11. 제4기 인조대 공신초상 사모 274

표 IV-12. 제4기 광해군대 공신초상 단령 색상과 문양 278

표 IV-13. 제4기 인조대 공신초상 단령 색상과 문양 280

표 IV-14. 제4기 광해군대 공신초상 단령 받침옷 286

표 IV-15. 제4기 인조대 공신초상 단령 받침옷 291

표 IV-16. 제4기 공신초상 공작흉배 295

표 IV-17. 제4기 공신초상 운안흉배 298

표 IV-18. 제4기 공신초상 백한흉배 302

표 IV-19. 제4기 공신초상 해치·사자흉배 306

표 IV-20. 제4기 공신초상 서대 309

표 IV-21. 제4기 공신초상 학정금대 312

표 IV-22. 제4기 공신초상 삽은대 313

표 IV-23. 제4기 광해군대 공신초상 화자 316

표 IV-24. 제4기 인조대 공신초상 화자 317

표 IV-25. 제4기 광해군대 공신초상 관복 구성(위성·형난) 320

표 IV-26. 제4기 광해군대 공신초상 관복 구성(익사) 321

표 IV-27. 제4기 인조대 공신초상 관복 구성(정사) 322

표 IV-28. 제4기 인조대 공신초상 관복 구성(진무·영사) 323

표 IV-29. 보사공신 명단(1680. 05) 325

표 IV-30. 분무공신 명단(1728. 04) 328

표 IV-31. 제5기 공신초상 사모 334

표 IV-32. 《훈부화상첩》 반신상 사모 1751년 335

표 IV-33. 제5기 공신초상 사모뿔 무아레 335

표 IV-34. 제5기 공신초상 단령 옆선 345

표 IV-35. 제5기 공신초상(전신상) 흉배 347

표 IV-36. 제5기 《훈부화상첩》 반신상 흉배 1751년 351

표 IV-37. 《등준시무과도상첩》 무관흉배 1774년 352

표 IV-38. 제5기 공신초상 품대 353

표 IV-39. 제5기 공신초상 화자 355

표 IV-40. 제5기 공신초상 관복 구성 357

그림목차

그림 II-1. 이제 개국공신교서 1392년 44

그림 II-2. 정종 적개공신교서 1467년 44

그림 II-3.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1625년 45

그림 II-4. 박정 정사공신교서 1625년 45

그림 II-5. 한응인 운보문 사모뿔 1590년 58

그림 II-6. 허목 무아레 사모뿔 1676년 58

그림 II-7. 유홍 무문 사모뿔 1506년 58

그림 II-8. 이제 초상 1789년 이모본 61

그림 II-9. 이천우 초상 20세기 초 이모본 61

그림 II-10. 마천목 초상 1774년 이모본 61

그림 II-11. 오자치 초상 예복 아청색 흑단령 1476년 63

그림 II-12. 손소 초상 예복 아청색 흑단령 1476년 63

그림 II-13. 유순정 초상 시복 아청색 흑단령 1720년 이모본 63

그림 II-14. 정탁 초상 시복 아청색 흑단령 17세기 초 65

그림 II-15. 유숙 초상 상복 아청색 흑단령 17세기 초 65

그림 II-16. 박세채 초상 상복 유록색 흑단령 17세기 말 65

그림 II-17. 神駿圖 元任仁發 作(傳) 69

그림 II-18. 張果老見明皇圖 北京 故宮博物院 所藏 69

그림 II-19. 宋帝大王圖 陸信忠 作(傳) 69

그림 II-20. 문수사 답호 1346년 71

그림 II-21. 문수사 답호 안주름무 1346년 71

그림 II-22. 변수 묘 단령 안팎주름무 71

그림 II-23. 이언충 묘 직령 안팎주름무 71

그림 II-24. 심수륜 묘 단령 밖주름무 73

그림 II-25. 충주박씨 묘 직령 밖주름무 74

그림 II-26. 송희종 묘 직령 밖주름무 74

그림 II-27. 조경 묘 답호 75

그림 II-28. 이응해 장군 묘 겹단령 뒷무 모습 75

그림 II-29. 최원립 묘 단령 실측도 76

그림 II-30. 홍우협 묘 단령 실측도 76

그림 II-31. 출토 답호 79

그림 II-32. 출토 철릭 79

그림 II-33. 김여온 묘 창의 88

그림 II-34. 『대명회전』 명 문관 3품 공작흉배 94

그림 II-35. 『삼재도회』 명 문관 3품 공작흉배 94

그림 II-36. 정응두 묘 공작흉배 94

그림 II-37. 유순정 공작흉배 1720년 이모본 95

그림 II-38. 이충원 공작흉배 1604년 95

그림 II-39. 장만 공작흉배 1625년 95

그림 II-40. 『대명회전』 명 문관 4품 운안흉배 96

그림 II-41. 손소 운안흉배 1476년 96

그림 II-42. 권협 운안흉배 17세기 96

그림 II-43. 『대명회전』 명 문관 5품 백한흉배 97

그림 II-44. 유숙 초상 일자형 꼬리깃 백한흉배 17세기 초 97

그림 II-45. 황진 초상 취전 장식형 꼬리깃 백한흉배 17세기 이모본 97

그림 II-46. 봉황형 꼬리깃 백한흉배 98

그림 II-47. 학의 단정 99

그림 II-48. 봉학도(鳳鶴圖) 99

그림 II-49. 『삼재도회』 명 문관 1품 선학흉배 100

그림 II-50. 의원군 묘 운학흉배 100

그림 II-51. 밀창군 이직 묘 운학흉배 100

그림 II-52. 흥완군 단학·쌍학흉배 100

그림 II-53. 『대명회전』 명 무관 3·4품 호표흉배 102

그림 II-54. 진주류씨 배위 의인 박씨 묘 호표흉배 102

그림 II-55. 오자치 호표흉배 1476년 102

그림 II-56. 『삼재도회』 명 무관 3품 호흉배 103

그림 II-57. 용인 흥덕동 무연고 묘 호흉배 103

그림 II-58. 조경 호흉배 1604년 103

그림 II-59. 박유명 호흉배 1625년 103

그림 II-60. 『대명회전』 명 문관 풍헌관 흉배 104

그림 II-61. 『삼재도회』 명 문관 풍헌관 흉배 104

그림 II-62. 조경 묘 해치흉배 104

그림 II-63. 이중로 해치흉배 1628년 이후 104

그림 II-64. 명 중기 해치흉배 1525년 104

그림 II-65. 『삼재도회』 명 무관 1·2품 사자흉배 106

그림 II-66. 신경유 묘 사자흉배 106

그림 II-67. 명 중기 사자흉배 106

그림 II-68. 신경유 사자흉배 1633년 106

그림 II-69. 김여온 묘 사자흉배 106

그림 II-70. 권응수 호흉배 1604년 108

그림 II-71. 이달해 호흉배 1774년 108

그림 II-72. 김후 쌍호흉배 1796년 108

그림 II-73. 서대 앞면 삼태와 좌우 남두육성 110

그림 II-74. 서대 뒷면 북두칠성 110

그림 II-75. 품대 세부 명칭(분리형 구조) 112

그림 II-76. 대모 115

그림 II-77. 이창운 대모 환도 1782년 115

그림 II-78. 이국현 대모 소금대 1774년 115

그림 II-79. 박유명 소은대 1625년 117

그림 II-80. 김후 대모 소은대 1796년 117

그림 II-81. 초상에 보이는 백화와 흑화 119

그림 II-82. 초상에 보이는 시대별 흑화 형태 121

그림 III-1. 이제 초상 1798년 이모본 개국공신 1등 125

그림 III-2. 이지란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개국1 정사2 좌명2 125

그림 III-3. 조반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개국공신 2등 125

그림 III-4. 정몽주 초상 1629년 125

그림 III-5. 이방의 초상 1734년 이모본 정사공신 1등 128

그림 III-6. 이애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정사공신 1등 128

그림 III-7. 이천우 초상 1774년 이모본 정사2 좌명2 128

그림 III-8. 마천목 초상 20세기 전기 이모본 좌명공신 3등 131

그림 III-9. 마천목 초상 이모본 131

그림 III-10. 서유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좌명공신 4등 131

그림 III-11. 신숙주 초상 1455년 정난공신 2등 141

그림 III-12. 설계조 초상 17세기 이후 이모본 정난공신 3등 141

그림 III-13. 이숭원 초상 조선전기 이모본 익산충간공박물관 소장 좌리공신 3등 141

그림 III-14. 이숭원 초상 조선전기 이모본 도동서원본 좌리공신 3등 141

그림 III-15. 정몽주 사모 1629년 142

그림 III-16. 목은 이색 사모 18세기 이후 이모본 142

그림 III-17. 제1기 공신초상 사모 143

그림 III-18. 제1기 공신초상 단령 색상과 문양 146

그림 III-19. 태조 어진 곤룡포 겉감 146

그림 III-20.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 답호 147

그림 III-21. 심도 초상 단령과 무 확대 부분 147

그림 III-22. 제1기 공신초상 단령 안주름무 148

그림 III-23. 신숙주 초상 백한흉배 1455년 150

그림 III-24. 『대명회전』 백한흉배 150

그림 III-25. 한응인 학정금대 17세기 이모본 152

그림 III-26. 제1기 공신초상 화자 153

그림 III-27. 신숙주 백화 솔기선 154

그림 III-28. 태조 흑화 솔기선 154

그림 III-29. 남이흥 답호 흉배 연금사 154

그림 III-30. 김관 초상 이모본 적개공신 2등 161

그림 III-31. 오자치 초상 1476년 적개공신 2등 161

그림 III-32. 장말손 초상 1476년 적개공신 2등 161

그림 III-33. 손소 초상 1476년 적개공신 2등 161

그림 III-34. 유순정 초상 18세기 정국공신 1등 166

그림 III-35. 유순정 초상 1720년 이모본 정국공신 1등 166

그림 III-36. 홍경주 초상 18세기 이모본 정국공신 1등 166

그림 III-37. 변수 초상 이모본 정국공신 2등 166

그림 III-38. 이우 초상 18세기 이모본 정국공신 4등 166

그림 III-39. 유홍 초상 18세기 초 이모본 정국공신 4등 166

그림 III-40. 제2기 정국공신 사모뿔 문양 171

그림 III-41. 〈호조낭관계회도〉속 사모 차림의 관원 1550년경 172

그림 III-42. 손소 단령 겉감(무문) 1476년 176

그림 III-43. 유순정 단령 겉감(운문) 18세기 176

그림 III-44. 유홍 단령 겉감(무문) 18세기 초 이모본 176

그림 III-45. 변수 묘 단령과 단령 겉감(운보문) 176

그림 III-46. 제2기 공신초상 단령 안팎주름무 177

그림 III-47. 김흠조 묘 단령 안팎주름무 178

그림 III-48. 이응태 묘 단령 안팎주름무 178

그림 III-49. 장말손 백한흉배 1476년 182

그림 III-50. 손소 운안흉배 1476년 182

그림 III-51. 오자치 호표흉배 1476년 182

그림 III-52. 유순정 공작흉배 18세기 182

그림 III-53. 홍경주 운안흉배 18세기 이모본 182

그림 III-54. 이우 운안흉배 18세기 이모본 182

그림 III-55. 오자치 소금대 1476년 183

그림 III-56. 장말손 삽은대 1476년 183

그림 III-57. 손소 소금대 1476년 183

그림 III-58. 유순정 서대 1720년 이모본 184

그림 III-59. 홍경주 서대 18세기 이모본 184

그림 III-60. 이우 소금대 18세기 이모본 184

그림 III-61. 유홍 소은대 18세기 초 이모본 184

그림 III-62. 제2기 적개공신 백화 185

그림 III-63. 제2기 정국공신 흑화 186

그림 III-64. 한응인 초상 17세기 이모본 광국2 평난1 194

그림 III-65. 윤탁연 초상 이모본 광국공신 3등 194

그림 III-66. 이산해 초상 19세기 이모본 평난공신 3등 194

그림 III-67. 이준 초상 이모본 평난공신 2등 194

그림 III-68. 이항복 초상 18세기 중반 이모본 호성공신 1등 200

그림 III-69. 이원익 초상 17세기 초 호성공신 2등 200

그림 III-70. 이호민 초상 1604년 호성공신 2등 200

그림 III-71. 유근 초상 1604년 추정 호성공신 2등 200

그림 III-72. 이충원 초상 1604년 호성공신 2등 201

그림 III-73. 홍진 초상 1604년 호성공신 2등 201

그림 III-74. 신잡 초상 1607년 이모본 호성공신 2등 201

그림 III-75. 정탁 초상 17세기 호성공신 3등 201

그림 III-76. 고희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호성공신 3등 201

그림 III-77. 임우 초상 1604년 이모본 호성공신 3등 201

그림 III-78. 김새신 초상 1604년 이모본 호성공신 3등 201

그림 III-79. 이공기 초상 1604년 호성공신 3등 201

그림 III-80. 권응수 초상 1604년 선무공신 2등 205

그림 III-81. 권협 초상 17세기 초 선무공신 2등 205

그림 III-82. 조경 초상 1604년 선무공신 3등 205

그림 III-83. 이운룡 초상 1950년대 이모본 선무공신 3등 205

그림 III-84. 홍가신 초상 17세기 초 청난공신 1등 208

그림 III-85. 신경행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청난공신 3등 208

그림 III-86. 임득의 초상 1632년 이모본 청난공신 3등 208

그림 III-87. 제3기 임란 이전 공신초상 사모 209

그림 III-88. 이원익 사모 210

그림 III-89. 운장각 소장 사모 210

그림 III-90. 한응인 사모뿔(운보문) 17세기 211

그림 III-91. 윤탁연 사모뿔(운보문) 이모본 211

그림 III-92. 한응인 초상 단령 겉감 운문 214

그림 III-93. 여주 출토 동래정씨묘 대렴금 운문 214

그림 III-94. 송언신 초상과 단령 겉감 운문 1604년 215

그림 III-95. 제3기 임란 이전 공신초상 단령 밖주름무 216

그림 III-96. 이원익 초상 단령 무 형태 216

그림 III-97. 심수륜 묘 직령 217

그림 III-98. 조경 묘 단령 218

그림 III-99. 제3기 임란 이후 공신초상 단령 뒤뻗침무 218

그림 III-100. 제3기 임란 이후 공신초상 홍색 답호 221

그림 III-101. 1844년 궁인 너울 속에 드리워진 유청색 영자 222

그림 III-102. 창덕궁 소장 청상립 속 유청색 영자 222

그림 III-103. 제3기 임란 이후 공신초상 남색 답호 222

그림 III-104. 제3기 임란 이후 공신초상 녹색 답호 223

그림 III-105. 송언신 운안흉배 1604년 227

그림 III-106. 권협 운안흉배 17세기 227

그림 III-107. 김새신 백한흉배 1604년 이모본 호성(3) 가선대부(文 2) 228

그림 III-108. 신경행 백한흉배 조선후기 이모본 청난(3) 통정대부(文 3) 228

그림 IV-1. 이항복 초상 18세기 중기 이모본 위성1 익사2 형난2 243

그림 IV-2. 이성윤 초상 1613년 위성공신 2등 243

그림 IV-3. 조공근 초상 1613년 이모본 위성공신 2등 243

그림 IV-4. 조공근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위성공신 2등 244

그림 IV-5. 황신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위성공신 2등 244

그림 IV-6. 한천두 초상 1613년 이모본 위성공신 3등 244

그림 IV-7. 윤효전 초상 17세기 익사공신 1등 250

그림 IV-8. 이원익 초상 17세기 익사공신 2등 250

그림 IV-9. 이산해 초상 19세기 이모본 익사공신 2등 250

그림 IV-10. 기자헌 초상 17세기 초 익사2 형난2 250

그림 IV-11. 심희수 초상 17세기 초 익사2 형난3 250

그림 IV-12. 유근 초상 1619년 이모본 익사공신 2등 250

그림 IV-13. 윤승길 초상 1613년 익사공신 2등 250

그림 IV-14. 이사경 초상 17세기 익사공신 3등 251

그림 IV-15. 임장 초상 1613년 익사공신 3등 251

그림 IV-16. 임연 초상 17세기말~18세기초 익사공신 3등 251

그림 IV-17. 서경우 초상 17세기 초 익사공신 3등 251

그림 IV-18. 윤중삼 초상 17세기 초 형난공신 3등 254

그림 IV-19. 유숙 초상 17세기 초 형난공신 3등 254

그림 IV-20. 이귀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정사공신 1등 262

그림 IV-21. 이중로 초상 1628년 이후 정사공신 2등 262

그림 IV-22. 이시백 초상 조선후기 이모본 정사공신 2등 262

그림 IV-23. 이시방 초상 17세기 초 정사공신 2등 262

그림 IV-24. 장유 초상 1625년 이모본 정사공신 2등 262

그림 IV-25. 신경유 초상 1633년 정사공신 2등 262

그림 IV-26. 구인후 초상 17세기 초 정사2 영국1 262

그림 IV-27. 박유명 초상 1625년 정사공신 3등 262

그림 IV-28. 이후원 초상 조선중기 이모본 정사공신 3등 263

그림 IV-29. 홍진도 초상 조선중기 이모본 정사공신 3등 263

그림 IV-30. 유백증 초상 조선중기 이모본 정사공신 3등 263

그림 IV-31. 박정 초상 1625년 이모본 정사공신 3등 263

그림 IV-32. 장만 초상 1625년 진무공신 1등 267

그림 IV-33. 정충신 초상 1625년 진무공신 1등 267

그림 IV-34. 남이흥 초상 17세기 초 이모본 진무공신 1등 267

그림 IV-35. 이수일 초상 이모본 진무공신 2등 267

그림 IV-36. 유효걸 초상 17세기 진무공신 2등 267

그림 IV-37. 남이웅 초상 1646년 이모본 진무공신 3등 267

그림 IV-38. 김완 초상 17세기 초 진무공신 3등 267

그림 IV-39. 황성원 초상 17세기 이모본 영사공신 2등 270

그림 IV-40. 허계 초상 17세기 이모본 영사공신 2등 270

그림 IV-41. 황진 초상 17세기 이모본 영사공신 2등 270

그림 IV-42. 허선 초상 17세기 이모본 영사공신 2등 270

그림 IV-43. 이성윤 사모뿔(운보문) 1613년 275

그림 IV-44. 이중로 사모뿔(운보문) 1628년 이후 275

그림 IV-45. 박유명 사모뿔(무문) 1625년 275

그림 IV-46. 〈효종어제희우시회도〉속 사모 쓴 관원 모습 275

그림 IV-47. 이응해 장군 묘 단령 겉감(화문과 화조문) 281

그림 IV-48. 신경유 묘 단령 겉감 (운보문) 281

그림 IV-49. 제4기 광해군대 공신초상 단령 옆선 282

그림 IV-50. 이시방 초상 단령 옆선 17세기 초 283

그림 IV-51. 박유명 초상 단령 옆선 1625년 283

그림 IV-52. 구인후 초상 단령 옆선 17세기 초 283

그림 IV-53. 강대호 묘 단령 284

그림 IV-54. 신경유 묘 겹단령 뒷길 무 모습 284

그림 IV-55. 강대호 묘 단령 뒷면과 단령 안 답호 288

그림 IV-56. 이응해 장군 묘 겹단령 앞면과 뒷면 288

그림 IV-57. 신경유 묘 단령 안의 직령 고정 모습 288

그림 IV-58. 제4기 인조대 공신초상 단령 받침옷 290

그림 IV-59. 황신 운학흉배 조선후기 이모본 숭록대부(文 1) 305

그림 IV-60. 홍진도 운학흉배 조선후기 이모본 가선대부(文 2) 305

그림 IV-61. 정태제 묘 운학흉배 305

그림 IV-62. 한천두 호흉배 1613년 이모본 308

그림 IV-63. 박유명 호흉배 1625년 308

그림 IV-64. 17세기 말 품대 바탕색 310

그림 IV-65. 남구만 품대 바탕색 310

그림 IV-66. 이성윤 삽금대 1613년 승헌대부(종친 2품) 311

그림 IV-67. 정충신 삽금대 1625년 정헌대부(정2품) 311

그림 IV-68. 박유명 소은대 1625년 314

그림 IV-69. 이후원 소은대 조선중기 이모본 314

그림 IV-70. 김만기 반신상 1680년 보사공신 1등 326

그림 IV-71. 김석주 초상 1680년 보사공신 1등 326

그림 IV-72. 오명항 초상 1728년 분무공신 1등 332

그림 IV-73. 박문수 초상 1728년 분무공신 2등 332

그림 IV-74. 조문명 초상 1728년 분무공신 2등 332

그림 IV-75. 김중만 초상 1728년 이모본 분무공신 2등 332

그림 IV-76. 권희학 초상 1728년 이모본 분무공신 3등 332

그림 IV-77. 박동형 초상 1728년 분무공신 3등 332

그림 IV-78. 《훈부화상첩》 1751년 333

그림 IV-79. 이시방 사모 1625년 334

그림 IV-80. 이시방 사모 1659년 334

그림 IV-81. 권우 묘 아청색 흑단령 337

그림 IV-82. 이인엽 초상 17세기말~18세기초 338

그림 IV-83. 이덕성 초상 17세기 말 338

그림 IV-84. 김석주 단령 겉감(운보문) 1680년 339

그림 IV-85. 오명항 단령 겉감(운보문) 1728년 339

그림 IV-86. 제5기 분무공신 초상 단령 색상과 문양 339

그림 IV-87. 권우 묘 단령 겉감(운보문) 340

그림 IV-88. 최원립 묘 단령 겉감(운보문) 340

그림 IV-89. 홍우협 묘 단령 겉감(운보문) 340

그림 IV-90. 허목 단령 뒤젖힘무 1676년 341

그림 IV-91. 〈기로연회도〉 1689년경 341

그림 IV-92. 남오성 묘 겹단령 뒷무 고정 모습과 매듭 단추 343

그림 IV-93. 의원군 이혁 단령 뒷무 고정 모습과 부분 확대 343

그림 IV-94. 심익창 단령 뒷무 고정 모습과 부분 확대 343

그림 IV-95. 《기사계첩》의 뒤젖힘무 모습 1719년 344

그림 IV-96. 이덕성 단령 옆선 17세기 말 346

그림 IV-97. 김유 단령 옆선 18세기 초 346

그림 IV-98. 유수 백한흉배 349

그림 IV-99. 김유 흉배 349

그림 IV-100. 경기도 김포 출토 공작흉배 349

그림 IV-101. 윤양래 흉배 1744년 349

그림 IV-102. 신사철 흉배 1744년 349

그림 IV-103. 이덕성 품대 바탕 354

그림 IV-104. 구인후 흑화 355

그림 IV-105. 이정보 흑화 35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조선시대 공신초상의 복식을 통해 관복제도를 연구한 것이다. 관복차림의 공신초상을 대상으로, 초상에 나타나는 관복 특징에 따라 제1기에서 제5기까지 구분하였다. 각 단계에 해당하는 공신의 전신 초상을 대상으로 관복 구성품별 특성을 고찰하고 그에 근거하여 조선시대 공신초상 관복제도의 변천과정을 문헌연구와 실증자료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제1기는 공신초상의 관복이 잡색 단령과 하향뿔의 사모로 표현되는 시기이다. 개국(1392), 정사(1398), 좌명(1401), 정난(1453), 좌익(1455), 익대(1468), 좌리공신(1471)을 포함하여 공신초상 6점의 조형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선초 삼공신의 완만하고 낮은 사모는 세종 말 높아지기 시작하여 정난공신 이후 좌리공신 초상의 사모는 높이가 거의 두배가 되었다. 삼공신의 좁고 짧은 사모뿔은 단종대 이후 두배 가량 길어졌으며, 하향의 사모뿔은 좌리공신 초상에서는 거의 수평으로 변하였다. 제1기 공신초상의 사모뿔에서 무늬는 표현되지 않았다.

단령은 예복 흑단령 제도가 시작되기 전 제도로서, 잡색 단령으로 표현되었으며 공신초상에서는 주로 옅은 색 단령이 확인되었다. 단령 겉감에 무늬는 표현되지 않았으며, '안주름무' 양식이 확인되었다. 조선초기 단령 받침옷 색상에 대한 규정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정난공신(1453, 단종 1년) 이후로는 청색 답호와 홍색 철릭으로 표현되는 경향을 보였다. 단령과 답호의 안감은 주로 홍색이며, 단령 겉감과 답호에 무늬는 표현되지 않았다. 공신의 품계는 품대로 표현하였으며, 신발은 3품 이상이 상복(常服)에 착용하는 협금화(挾金靴)임을 알 수 있었다. 조선 초 삼공신 초상에서는 흑화를, 정난(1453)·좌리공신(1471) 초상에서는 백화를 확인하였다.

제2기는 공신초상의 관복으로 아청색 흑단령이 등장하여 정착하는 시기이다. 성종 7년(1476)에 제작된 적개공신(1467) 초상을 비롯하여 정국(1506), 정난(1507), 위사공신(1545) 초상 등 7점을 분석하였다.

성종 7년에 그려진 적개공신의 관복은 아청색 흑단령의 구체적인 명칭이 정해지기 이전의 '예복 아청색 흑단령' 이다. 사모의 모자는 다시 낮아지고 모정 부분은 좁아졌으며 앞으로 휘어진 형태를 하였다. 타원형의 사모뿔을 비롯하여 아청색 단령 겉감과 홍색 안감에 무늬는 표현되지 않았다. 녹색 답호와 홍색 철릭을 단령 받침옷으로 하였으며, 단령과 답호의 '안팎주름무' 를 확인하였다. 흉배는 직금흉배이며 공신의 흉배와 품대는 공신초상 제작 시기의 품계로 표현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발은 협금백화를 확인하였다.

정국공신(1506)의 관복은 아청색 흑단령의 명칭이 정해진 '시복 아청색 흑단령' 이다. 사모는 모정 부분이 좀 더 좁고 앞으로 더 휘어진 형태였다. 사모는 타원형의 사모뿔에 무늬는 표현되지 않았으며 당상관의 단령 겉감에는 운문이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당하관의 단령 겉감에는 무늬가 표현되지 않아 단령 겉감의 무늬 유무에 의해 당상·당하의 구분이 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단령 받침옷으로 당상관은 홍색 답호에 녹색 철릭을, 당하관은 녹색 답호에 남색 철릭이 확인되어 신분에 따라 관행적으로 착용한 받침옷의 색상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홑단령에 단령과 답호의 무로 '안팎주름무' 를 확인하였다. 흉배는 직금흉배로, 공신의 흉배와 품대는 공신 책록시 품계로 나타내었다. 신발은 솔기선을 금색으로 장식한 협금흑화였다.

제3기는 공신초상의 관복으로 '시복 아청색 흑단령' 이 정착되고 당상관 사모뿔에 운보문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임란 이전의 광국·평난(1590), 임란 이후의 호성·선무·청난공신(1604)으로 구분하여 공신초상 20점을 분석하였다(임란 이전 2점, 임란 이후 18점).

임란 이전 공신초상의 사모는 모체가 다시 높아지고 당상관의 사모뿔에 운보문이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운문 아청색 흑단령과 홍색 답호에는'밖주름무' 가 확인되었으며, 녹색 철릭, 협금흑화를 착용하였다.

임란 이후 공신초상의 사모 높이는 다시 낮아지고 모정 부분은 각진 형태로 변하였다. 사모뿔은 짧고 넓은 형태로 당상관의 사모뿔에서 운보문이 표현되었다. 운문 아청색 흑단령에는 '뒤뻗침무' 가 표현되었다. 단령 받침옷으로 홍색, 녹색, 남색 답호에 녹색, 유청색, 남색, 홍색 철릭이 확인되었다. 흑단령의 흉배는 문관은 공작, 운안, 백한을, 무관은 호랑이를 자수흉배로 표현하였고, 종2품의 품대로 학정금대가 등장하였으며, 정탁 초상에서만 협금흑화가 확인되었다.

제4기는 1610년을 기점으로 흑단령의 명칭이 상복(常服)으로 변경되어 공신초상의 관복이 '상복 아청색 흑단령' 으로 표현되는 시기이다. 광해군대 위성·익사·정운·형난공신(1613)과 인조대 정사(1623), 진무(1624), 소무(1627), 영사(1628), 영국공신(1644)을 포함하였으며, 공신초상은 광해군대 공신초상 18점, 인조대 공신초상 21점을 분석하였다.

사모 모체는 약간 낮아지고, 사모뿔은 길고 넓어진 형태로 바뀌었다. 당상관의 사모뿔에는 운보문이 표현되었으나 당하관의 사모뿔에는 무늬가 없었다. '상복 아청색 흑단령' 에서는 뒤뻗침무를 확인하였다. 당상관의 단령 겉감에는 운문이 표현되고 당하관의 단령 겉감에는 문양이 표현되어 있지 않아 단령 겉감의 문양 유무에 의해 신분이 구별되었다.

광해군대 공신초상과 인조대 공신초상에서는 단령 옆선 처리방식과 단령 받침옷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광해군대 공신초상에서는 단령 오른쪽 옆선 트임에 홍색 답호와 녹색 철릭, 녹색 답호와 남색 철릭, 남색 답호와 녹색 철릭을 단령 받침옷으로 하였다. 홍색 답호 차림은 광해군 5년 공신 책록시 그려진 것으로 보았으며, 녹색 답호 차림은 광해군 11년(1619) 이후 이모 혹은 보수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남색 답호차림은 인조 6년(1628) 이후 이모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인조대 공신초상 중 정사·진무공신은 좌우 옆선 트임에 녹색 가문라를 안감으로 하는 겹단령 아래 남색 철릭 또는 대창의를 받쳐 입은 모습으로 표현하고, 영사공신 이후는 좌우 옆선 트임에 녹색 또는 남색 가문라를 안감으로 하는 겹단령 아래 대창의를 받쳐 입은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았다. 단령 오른쪽 옆선 트임에 녹색 가문라와 남색 철릭으로 묘사된 정사·진무공신 초상은 이모과정의 결과로 추정하였다.

문관흉배는 관찬서의 흉배제도와 실제 사용된 흉배가 일치하였으나 무관흉배는 1·2품의 사자와 해치흉배, 3품의 호흉배가 확인되어 관찬서에 기록된 규정과 다름을 확인하였다. 공신의 품대는 조선초기 품대제도와 다르지 않았으며, 흑화의 협금 휘 장식은 확인할 수 없었다.

제5기는 공신초상의 관복 색상이 유록색으로 표현되고 당상관의 사모뿔에 무아레 무늬가 표현되는 시기이다. 보사(1680)에서 분무(1728)까지 포함하여 공신초상 7점을 분석하였다. 《훈부화상첩》의 초상 또한 활용하였다.

사모 모체는 다시 높아지고 사모뿔은 길고 넓은 형태로 바뀌었다. 사모뿔에서는 무아레 무늬가 나타나고 유록색의 단령 겉감에서는 운보문이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단령의 무 양식으로는 '뒤젖힘무' 를 확인하였는데, 뒤로 젖힌 무를 앞무 혹은 뒷무에 달린 매듭단추를 이용하여 단령의 뒷길에 고정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단령 좌우 옆트인 무부분을 통하여 단령 안감인 남색 가문라와 가문라 밑에 받쳐 입은 대창의를 확인하였다.

문관 1·2품의 흉배로 운학흉배가 사용되었으며, 무관 당상관의 흉배로 사자흉배와 호흉배가 사용되었다. 제4기와는 다른 문관·무관 흉배제도가 확인되었다. 공신들의 흑화에서는 더 이상 휘장식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대신 신발 밑창을 누빈 납창화(衲昌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인물의 표준영정 제작시 복식 부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공신초상의 제작 시기 및 고증 뿐만 아니라 일반 사대부 관복본 고증의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조선시대 흑단령 관복제도를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는 복식사 분야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