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2. 연구방법 및 범위 15

3. 선행연구 고찰 17

Ⅱ. 본론 19

1. 공연예술의 이해 19

(1) 공연예술의 개념 19

2. 공연예술의 종류와 특징 22

(1) 음악 공연 22

(2) 연극 공연 32

(3) 무용 공연 36

3.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시대 도래 38

(1) 코로나19의 개념 및 현황 38

(2) 언택트의 개념 41

(3) 언택트로 인한 사회 전반적인 변화 양상 43

(4) 코로나19로 인한 공연예술분야 피해 49

4. 언택트 공연예술 플랫폼 및 사례 51

(1) 네이버 공연 Live 51

(2) 유튜브 Live 60

(3) 메타버스 68

5. 언택트 공연예술의 시사점 75

(1) 언택트 공연의 이점 75

(2) 언택트 공연의 한계점 80

(3) 언택트 공연의 전망 85

Ⅲ. 결론 87

1. 연구의 요약 및 제언 87

참고문헌 90

ABSTRACT 96

연구 윤리 서약서 98

Declaration of Ethical Conduct in Research 99

표목차

표 1. 공연예술의 분류 20

표 2. 뮤직 페스티벌 개최 장소 22

표 3. 뮤직 페스티벌 개최 시기 25

표 4. 2019년도 피아노 리사이틀 공연 29

표 5. 공적 마스크 5부제 구매 요일 38

표 6. 메타버스 네 가지 분류 68

표 7. 언택트 공연의 특성 다섯가지 76

그림목차

그림 1.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장소 지도 24

그림 2. 공연예술 카테고리 27

그림 3. 오케스트라 기본 편성 31

그림 4. 연극 공연장의 사진 33

그림 5.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점 35

그림 6.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 및 방역 조치 39

그림 7. '언택트' 관심도 변화 42

그림 8. 로드샵 이니스프리 언택트 마케팅 장바구니 43

그림 9. 영화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의 한 장면 캡쳐 45

그림 10. '서울시티교회' 드라이브 스루 예배현장 46

그림 11. 언택트의 진화 47

그림 12. 공연 예매수, 매출액 비교 2019년/2020년 49

그림 13. 네이버TV 채널 순위 53

그림 14. 조성진 피아노 리사이틀 - 앙코르 54

그림 15. 코리안 심포니오케스트라 내 손안의 클래식XII 55

그림 16. 2020 세종 체임버 시리즈 56

그림 17. 2020 SPAF 전체 일정 57

그림 18. 2020 DIMF 개·폐막 콘서트 58

그림 19. 유튜브 Live 로고 61

그림 20. 2020 JJF 타임테이블 63

그림 21. BTS 방방콘 포스터 65

그림 22.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69

그림 23. 포트나이트 BTS & 제페토 블랙핑크 70

그림 24. 트래비스 스캇 포트나이트 공연 장면 72

그림 25. 2020 BTS MAP OF THE SOUL ON:E 74

그림 26. 2020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82

초록보기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호흡기 전염병 코로나 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 COVID-19)로 인해 전 세계가 사상 초유에 사태를 맞이하게 되었다. 코로나19 이전 일상 속에서 누리던 것들이 더 이상 당연하지 않은 것들이 되었다. 비대면, 비접촉이 코로나19로부터 가장 확실한 예방책으로 정부는 '마스크 필수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5인이상 집합금지'등의 방역수칙을 내세웠다. 초기에 대중들은 이러한 불편함 들을 많이 힘들어했지만 백신도, 이렇다 할 예방법도 딱히 없으니 방역수칙을 지키는 수밖에 없었다. 금방 끝이 날 줄 알았던 코로나19 사태는 장기화로 넘어갔고, 비대면을 유지해야 하는 삶 속에서 우리는 살아 나아갈 방법들을 강구해 나가기 시작했다. 학교 수업이나 사내 회의들은 ZOOM을 통해 화상강의·회의로 진행하기 시작했고, 종교계들은 온라인 예배를 통해 신앙생활을 이어나갔고, 외식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는 더 이상 외식이 아닌 배달 음식문화로 탈바꿈하여 식당에서는 배달 서비스를 하지 않으면 살아남기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것은 식당뿐 아니라 모든 사업체들에게 배달 서비스는 필수가 되어버렸다. 이러한 비대면, 비접촉 시대를 우리는 언택트(Untact) 시대라고 부른다. 언택트 시대에 맞춰 변화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분야가 과연 존재할 것인가라는 의문이 든다. 이것은 현장성, 일회성 및 관객과의 소통이 중요시되는 공연예술도 예외가 아니었다. 공연예술도 비대면 공연으로 전환되리라 가히 상상이나 했겠는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SNS의 사용이 익숙해져 있던 터라 언택트 공연의 접근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현재는 언택트 공연을 관객들이 조금 더 생생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공연자와 관객들이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소통 창구를 위해 플랫폼들은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직격탄을 맞은 공연예술 분야가 언택트 시대에 맞게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나아가 어떻게 변화를 맞이하여 공연예술의 존립과 체계를 정립해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이다. 편리함, 시·공간의 단축, 경제적 절약이라는 이점을 갖는 언택트 공연은 반대로 공연 종사자들에게는 수익성과 저작권 문제라는 한계가 나타난다. 수익성의 한계점은 언택트 공연의 유료화 정착 및 공연 굿즈, 머천다이징 사업을 통해 인기 공연뿐 아니라 비인기 공연에서도 현재보다 조금 더 나은 수익성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저작권에 관한 이슈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 법학 교수진들이 현재 다각도로 논의 중이다. 2차적 저작물, 공연영상의 불법 무단 배포 등 정부 지원을 통해 제재할 수 있는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 현시대에 맞는 하나의 공연 형태로 언택트 공연이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시대와 문명, 문화가 흐르고 변화함으로써 우리가 현재의 삶을 살고 있듯이 언택트 공연 또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하나의 새로운 공연 패러다임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언택트 공연 개선방향에 일조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