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요지 9
제1장 서론 10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1.1.1. Nomad시대, 정착이 필요한 삶 10
1.1.2. 대규모 개발에 의한 소셜믹스 저하 11
1.2. 연구 범위 12
1.3. 연구의 방법과 과정 13
1.4. 연구의 구성 14
제2장 이론적 고찰 15
2.1. 수복형 정비 15
2.2. 소셜믹스(Social Mix) 17
2.3. 가변형 주거형태 18
2.4. 가변형 주거에 대한 사례 19
1) ERZ Herzberg, Austria 19
2) Quinta Monroy, Chile 20
제3장 커뮤니티를 위한 공동 공간에 대한 고찰 21
3.1. 커뮤니티의 필요성 21
3.2. 커뮤니티 시설의 개념 21
3.3. 지역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시설 23
3.4. 커뮤니티 계획 요소 24
제4장 연구 대상지 분석 25
4.1. 대상지 위치와 현황 25
4.2. 대상지 요소 분석 27
4.2.1. 지역 토지 용도와 이용계획 27
4.2.2. 대상지 주변 현황 27
4.2.3. 대상지 주변 인구 분포 30
제5장 계획의 방향 31
5.1. 설계 개요 31
5.2. 디자인 개념 31
5.2.1. Unit 형성 31
5.2.2. 대상지 재정비 32
5.2.3. 녹지 축 연결 32
제6장 설계 계획안 33
6.1. 배치 계획 33
6.2. 녹지 계획 35
6.3. Unit 계획 38
6.3.1. 거주 Unit 설계 38
6.3.2. 식재 Unit 설계 42
6.4. 프로그램 계획 45
제7장 설계 결과 48
7.1. 배치도 48
7.2. 평면도 49
7.3. 단면도 64
7.4. 입면도 66
7.5. 투시도, 조감도 67
7.6. 모형 사진 74
7.7. 결론 75
참고문헌 76
Abstract 77
〈그림 1-1〉 도심 대규모 개발부지 현황 11
〈그림 1-2〉 연구 범위와 연구 대상지 12
〈그림 2-1〉 정비수법 용어에 대한 해석 15
〈그림 2-2〉 수복형(소단위 정비수법) 정비사업의 개념도 16
〈그림 2-3〉 방배동 일대 골목 전경 17
〈그림 2-4〉 ERZ Herzberg 건물 사진과 도면 19
〈그림 2-5〉 ERZ Herzberg 단위평면 가변형 다이어그램 19
〈그림 2-6〉 Quinta Monroy 건물 사진 20
〈그림 2-7〉 Quinta Monroy 개념 다이어그램 20
〈그림 4-1〉 신설동과 대상지 위치 25
〈그림 4-2〉 신설동 대상지 발전 과정 26
〈그림 4-3〉 대상지 토지 이용 계획도 27
〈그림 4-4〉 대상지 주변 현황 Figure & Ground 28
〈그림 4-5〉 대상지 주변 지하철역과 녹지 축 Figure & Ground 28
〈그림 4-6〉 대상지 현황 사진 : 노후된 건물들과 좁은 골목 29
〈그림 4-7〉 대상지 현황 사진 : 대상지 동 측의 녹지환경 29
〈그림 5-1〉 청신호 주택 유형별 컨셉 평면 32
〈그림 6-1〉 대상지 건물 연도별 형성과정과 기존 보행로와 Open space 33
〈그림 6-2〉 기존 건물 노후도를 통해 선정한 구역과 기존 보행로와 새로운 축 부여 34
〈그림 6-3〉 정비를 실시할 구역 34
〈그림 6-4〉 새로운 축을 부여한 보행로와 녹지 연결 다이어그램 35
〈그림 6-5〉 대상지 내 광장 형성과 접근로 다이어그램 36
〈그림 6-6〉 그린 네트워크 수직 연결성 다이어그램 36
〈그림 6-7〉 차량과 보행 동선에 대한 다이어그램 37
〈그림 6-8〉 기존 청신호, 행복주택의 세대별 기준 유닛 다이어그램 38
〈그림 6-9〉 각 가구의 요구 공간과 그 중간 단계 39
〈그림 6-10〉 주거 Unit 형성 과정 다이어그램 39
〈그림 6-11〉 유닛 배열방식 40
〈그림 6-12〉 유닛의 확장성에 대한 다이어그램 41
〈그림 6-13〉 식재 관리를 위한 별도 통로와 출입구 42
〈그림 6-14〉 식재 Unit 활용과 설비 다이어그램 43
〈그림 6-15〉 복도 측 설치된 식재 Unit과 틀 렌더 이미지 44
〈그림 6-16〉 신설동역 반경 500m 주요 시설물 45
〈그림 6-17〉 연령별 필요 프로그램 도출 46
〈그림 6-18〉 연령별 지역 연계형 프로그램 배치 47
〈그림 6-19〉 각 프로그램 연결성과 건물 내부 커뮤니티 공간 기획 47
〈그림 7-1〉 배치도 48
〈그림 7-2〉 지하 2층 평면도 49
〈그림 7-3〉 지하 1층 평면도 50
〈그림 7-4〉 지상 1층 평면도 51
〈그림 7-5〉 지상 1층 부분확대 평면도 (1) 52
〈그림 7-6〉 지상 1층 부분확대 평면도 (2) 52
〈그림 7-7〉 지상 1층 부분확대 평면도 (3) 53
〈그림 7-8〉 지상 2층 평면도 54
〈그림 7-9〉 지상 2층 부분확대 평면도 (1) 55
〈그림 7-10〉 지상 2층 부분확대 평면도 (2) 56
〈그림 7-11〉 지상 2층 부분확대 평면도 (3) 57
〈그림 7-12〉 지상 3층 평면도 58
〈그림 7-13〉 지상 4층 평면도 59
〈그림 7-14〉 지상 4층 부분확대 평면도 60
〈그림 7-15〉 지상 5층 평면도 61
〈그림 7-16〉 지상 6층 평면도 62
〈그림 7-17〉 지상 7층 평면도 63
〈그림 7-18〉 횡단면도 64
〈그림 7-19〉 단면 투시도 65
〈그림 7-20〉 단면 부분확대 투시도 65
〈그림 7-21〉 동 측 입면도 66
〈그림 7-22〉 서 측 입면도 66
〈그림 7-23〉 지하층에서 이어지는 광장 67
〈그림 7-24〉 정비 후 가로 67
〈그림 7-25〉 2층 복도에서 바라본 광장 전경 68
〈그림 7-26〉 3층~4층을 잇는 Hall 68
〈그림 7-27〉 5층의 공유주방 69
〈그림 7-28〉 옥상 텃밭 69
〈그림 7-29〉 복도 주간 70
〈그림 7-30〉 복도 야간 70
〈그림 7-31〉 발코니 주간 71
〈그림 7-32〉 발코니 야간 71
〈그림 7-33〉 주거공간 내부 72
〈그림 7-34〉 하천 측에서 접근하는 경로 72
〈그림 7-35〉 주간 조감도 73
〈그림 7-36〉 야간 조감도 73
〈그림 7-37〉 모형 사진 74
본 연구는 해가 거듭될수록 문제로 거론되는 상승하는 집값 속에서 이 시대의 사람들이 돈을 모으고 일을 하는 목표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한다. 사회적 독립을 위해 집을 구하고, 결혼을 위해 집을 구하고, 가족 구성원을 늘리기 위해 또 집을 구하는 사회 속에서 가장 큰 문제는 높아져 만 가는 집값과 한정된 공간이라고 판단했다. 이들에게 필요한 건 때마다 옮겨갈 새로운 집이 아닌 정착할 수 있는, 거주자가 성장함에 따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근래의 재개발 양상을 살펴보면 대규모의 개발에 더해 외부인의 출입은 차단한 채 우리 사회의 큰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는 도시적 차원의 소셜믹스(사회혼합)를 더욱 힘겹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중앙정부 위주의 사업추진과 대규모 계획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지자체가 주도하는 소규모 사업 중심의 개발이 실시되어 기존주민과 새로운 주민이 정착하며 지역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형태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의 진행은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존 노후된 주거지를 정비하고 부분적으로 수복형 정비를 하여 도시재생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거주자 본인의 의지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주거유닛을 보급하여, 그들에게 또다시 옮겨가기 위한 삶이 아닌 기존의 공간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가변형 유닛을 계획하고, 상업적 요소에서 벗어나 지역적 요소에 기반한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지역 공동체를 회복함을 목표로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