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8
Ⅰ. 서론 9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9
1.2. 선행 연구 10
1.3. 연구 대상 및 방법 13
Ⅱ. 한국어 피동 표현 16
2.1. 피동문의 특성 16
2.1.1. 형태적 특성 16
2.1.2. 통사적 특성 17
2.1.3. 담화·의미적 특성 24
2.2. 피동문의 유형 28
2.2.1. 피동사 피동문 28
2.2.2. '-아/어지다' 피동문 32
2.2.3. 어휘적 피동문 39
2.2.4. 비전형적인 피동문 43
Ⅲ. 스페인어 수동 표현 48
3.1. 스페인어 수동문의 특성 48
3.1.1. 형태적 특성 48
3.1.2. 통사적 특성 53
3.1.3. 담화·의미적 특성 55
3.2. 수동문의 유형 56
3.2.1. 과거분사에 의한 피동문 56
3.2.2. se 수동문 62
3.2.3. 중간태(voz media) 66
Ⅳ. 한국어 피동문과 스페인어 수동문 대조 72
4.1. 한국어 피동문과 스페인어 수동문의 공통점 72
4.2. 한국어 피동 표현과 스페인어 수동 표현의 차이점 76
Ⅴ.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문 교육 방안 78
5.1. 피동문의 교수·학습 내용 78
5.1.1. 피동사 피동문 78
5.1.2. '-아/어지다' 피동문 80
5.1.3. 어휘적 피동문 81
5.2. 피동문의 교수·학습 방법 82
5.2.1. 피동문의 교수·학습 모형 82
5.2.2. 피동사 피동문 수업의 실제 86
Ⅵ. 결론 90
참고문헌 92
부록 7
[부록 1] 각 교재에서 제시하는 피동사의 목록 98
[부록 2] 빈도순으로 정리한 피동사의 목록 99
[부록 3] 피동문 종류별로 쓸 수 있는 피동사 분류 100
Abstract 102
[그림 1] 스페인어 수동문의 유형 71
본 연구는 스페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피동문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어 피동문은 피동을 나타내는 형태적인 표지와 대응되는 능동문을 가진다. 능동문에서 피동문으로 바뀔 때는 문장 성분과 서술어의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행위주가 아닌 피행위주 또는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탈행동성을 드러낸다. 한국어 피동문은 피동사 피동문, 타동사에 결합하는 '-아/어지다' 피동문, 어휘 자체가 피동의 의미를 가진 어휘적 피동문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피동의 의미를 가진 전형적인 피동문과 피동 이외의 부가적인 의미를 가진 비전형적인 피동문으로도 나눌 수 있다.
스페인어 수동문은 수동의 표지로 과거분사와 접어 se를 가지며 대응되는 능동문이 존재한다. 능동문에서 피동문으로 바뀔 때 문장 성분과 서술어의 변화가 일어나며 주어와 동사의 성과 수가 일치해야 한다. 스페인어 수동문은 행위자의 성격에 따라 특정한 행위주가 드러나는 ser 수동문, 수동의 행위가 완료된 시점의 상태를 나타내는 estar 수동문, 행위주를 표시하지 않는 se 수동문으로 나뉜다. 또한 se 수동문 중 피동 이외의 부가적인 의미를 가진 문장을 중간태로 분류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한국어 피동문과 스페인어 수동문의 특징을 바탕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5장에서는 피동문의 교수·학습 내용을 살펴본 후, 피동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스페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피동문 교육 방안을 피동사 피동문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