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I. 서론 13
II. 작품의 형성 배경과 사상적 토대 16
1.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정의 17
2.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요인과 양상 25
1) 주체적 남성과 타자적 여성의 관계 25
2) 현대 사회 29
3) 가정 환경 35
3. 도가도론(道可道論)과 제재의 상징성 37
III.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회화표현 40
1. 프리다 칼로 (Frida Kahlo;1907.07.06.~1954.07.13) 40
2. 천경자(千鏡子, 1924.11.11.~2015.08.06) 50
1) 뱀 52
2) 여성 56
IV. 본인 작품 분석 63
1. 주제 분석 63
1) 여성적 나르시시즘과 법치주의의 대립 67
2) 자아의 충돌과 부작용 80
3) 미적 갈등의 방황과 승화 95
4) 실존적 낭만주의 99
2. 색채의 상징의미와 재료기법 107
V. 결론 112
참고문헌 115
Abstract 124
표1] 나르시시즘과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비교표 21
표2] 동양화의 제재의 상징성 예시 39
표3] 경찰청, 경찰청 범죄통계 71
표4] 성별화된 섹슈얼리티 : 동의와 거부의 틈새(변혜정) 72
표5] 여성적 나르시시즘 성향 75
표6] 자기애적 인격장애의 하위 증후군 구분표 82
[도판 1] 프리다칼로, 〈드로잉1, 2, 3, 4〉, 1951, 종이에 혼합재료 43
[도판 2] 프리다칼로, 〈디에고와 프리다 1 (Diego and I)〉, 1929~1944. 45
[도판 3] 프리다칼로, 〈사랑의 포옹〉, 1949, 캔퍼스에 유채, 70x60.5㎝ 47
[도판 4] 프리다칼로, 〈디에고와 나(Diego and D〉, 1949 48
[도판 5] 프리다칼로, 〈전차 사고 이후 10대 후반 가족사진〉, 1926 49
[도판 6] 프리다칼로, 〈나의 조부모, 부모, 그리고 나〉, 1932, 메탈페널에템페라, 유채 49
[도판 7] 천경자, 〈서정주 시집(화사)〉의 내지 그림, 1941 52
[도판 8] 천경자, 〈드로잉 No. 806〉, 년도미상, 종이에 연필, 채색, 32x63㎝ 54
[도판 9] 천경자, 〈생태(生態)〉, 1951, 종이에 채색, 51.5x87㎝ 55
[도판10] 천경자, 〈고(孤)〉, 1974, 종이에 채색, 40x26㎝ 57
[도판11] 천경자, 〈내슬픈전설의22페이지〉, 1977년, 종이에 채색 58
[도판12] 천경자, 〈수녀 테레사〉, 1977, 종이에 채색 58
[도판13] 천경자, 〈황금의 비〉, 1982, 종이에 채색, 34x46㎝ 61
[도판14] 최경민/영모, 웹툰〈성경의 역사〉26화, 성경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장면 77
[도판15] 최경민/영모, 웹툰〈성경의 역사〉29화, 성경이 처음으로... 78
[도판16] 투루판 아스타나 무덤 출토〈복희, 여와도〉 79
[도판17]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나카시마 테츠야 감독,2006, 일본.... 83
[도판18]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인생의 불행을 누구의 탓도 하지 않고 자책하는 장면 86
[도판19]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마츠코의 정서가 잘 보여지는 영화 포스터 87
[도판20] 여성적,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시각(視角) 대비의 예 91
[도판21] 좌측]웹툰〈성경의 역사〉19화, 전파되는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미학,... 102
[도판22] 타카하타 이사오감독, 영화〈가구야공주 (Story of Princess Kaguya)〉, 2013 105
[작품 1] 김하나,〈신이 잠든시간〉, 2018, 장지에 채색, 금박,191x132㎝ 69
[작품 2] 김하나,〈잠든시간〉, 장지에 채색, 2020,91x60㎝ 70
[작품 3] 김하나, 〈어쩌면, 美(다른파장)〉, 2021, 장지에 채색,80x100㎝ 74
[작품 4] 김하나, 〈그어떤 증후군에 대하여(Syndrome Series)〉, 2018, 장지에 채색, 53x73㎝ 85
[작품 5] 김하나,〈기쁨의 눈물(messiah syndrome)〉, 2019, 장지에 채색, 73x61㎝ 88
[작품 6] 김하나, 〈의문을 품은 소녀〉, 2020, 장지에 분채, 91x60㎝ 90
[작품 7] 김하나, 〈selfish gene(이기적 유전자)〉,2021,비단에 채색,53x40㎝ 94
[작품 8] 김하나, 〈무죄(無罪)〉, 2020, 장지에 채색, 260x160㎝ 96
[작품 9] 김하나, 〈이타(利他),타자를 위한 기도〉,2021,장지에 채색,65x90㎝ 98
[작품10] 김하나, 〈꽃의 전쟁(입장의 차이)〉,2020,장지에 채색, 130x160㎝ 100
[작품11] 김하나,〈生存傳播(생존전파)〉,비단에 채색, 2021,40x27㎝ 101
[작품12] Navertheless,, I want to live a life.390x162,장지에 분채,금분,2021 104
본 논문은 고통을 이겨내는 방식과 대처방식이 기존의 '자기애' 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여성적 나르시시즘' 에 관심을 가지고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충돌과 승화' 를 주제로 창작한 본인 작품 분석을 내용으로 한다.
작품의 형성 배경에서는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정의, 요인과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는 특정 성별에 귀속되지 않고 남, 여 모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며, 기존의 나르시시즘과 다른 방식의 행태로 자신을 사랑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나르시시즘의 공통적인 특징은 기본적으로 '자기애' 가 다른 사람들보다 강하지만 본질은 자존감이나 자기애에 있어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다.
여성적 나르시시즘이 심각한 심리학적 증후군으로까지 인식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본인 작품과의 개연성을 찾기 위해 주체적 남성과 타자적 여성의 관계를 설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여성적 나르시시즘은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보완적 나르시시즘이다. 이러한 관계는 주체와 타자적 관계의 형태라고도 할 수 있으며 여성적 나르시시즘이 '자기애' 로서 이해받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는데 이는 일부의 원인이 불평등한 타자로서의 '살아내기' 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이러한 '살아내기' 가 어떻게 여성적 나르시시즘을 유도하는지 사회와 가정으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현대사회는 외모로 평가되는 경향이 점점 심화 되고 있다. 이런 경우 외부적 자극을 자기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여성적 나르시시즘은 외모에 강박을 가지는 경우가 생긴다. 사회에서 도모하는 성교육과 성인지도 여성적 나르시시즘과 연관이 있다. 신경계 질환을 겪는 사람보다는 심각한 인격장애를 겪는 사람 가운데 성폭력 피해자의 비율이 높다는 이론도 제시된다.
가정환경에서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원인은 부모에 의한 투사에 있어서 두 가지가 효력을 발휘한다. 하나는 성공과 완벽주의를 강조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충동과 감정을 억누르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성공 혹은 완벽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감수(感受)하는 일들이 생겨 심리적으로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다.
작품의 사상적 배경으로는 노자의 도(道)와 묘(妙) 사상을 배경으로 '판단중지' 를 시도하여 중립적으로 이미지를 구성하고 여성적 나르시시즘이 가지는 양가적인 이미지 소재들을 사용하였으며 작품에 그려진 소재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 즉, '동양화 제재의 상징성' 을 설명하였다.
본인 작품의 연관 작가로 여성의 심리를 회화로 표현한 화가 '프리다 칼로' 와 '천경자' 의 작품과 생애를 살펴보고 두 인물의 스트레스를 대응하는 자세와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징후(徵候)를 살펴보고 본인 작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Ⅳ.본인 작품 분석에서는 앞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작품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작품의 주제 분석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여성적 나르시시즘이 법치주의와 대립 되는 감정을 표현' 한 작품이다. 작품의 이해를 위해 관련 통계표와 심리학적 근거를 설명하고 작품의 창작 배경을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심리적 배경으로 인한 충돌과 부작용을 표현' 한 것이다. 작품의 창작 의도와 이해를 위해 영감을 받은 영화와 웹툰(webtoon),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의 소재를 활용하여 본인 작품을 설명했다. 셋째,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시각으로 사회와 문화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과정을 표현' 한 작품이다. 본 논문의 작품들은 내면과 외부세계의 미미(微微)한 소통의 돌파구(突破口)가 되길 염원(念願)한 것으로 환상적인 낭만과 고통스러운 실존을 공존시키는 '실존적 낭만주의' 로서 작품을 해석하였다.
작품의 형식은 자주 등장하는 색채의 상징의미에 대해서 분석하고 재료기법을 서술하였다. 보라색은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다양한 감정을 내포하고 상징하는 색채이다. 특히 인물의 머리카락을 보라색으로 표현한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인물의 외적 부분보다 내면의 감정을 강조하려는 시도이다. 물감은 주로 분채와 아크릴 물감을 사용하고 대상의 윤곽을 먼저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메우는 방법으로 표현하고 잉크 펜과 먹 등으로 점묘법을 병행하여 강조와 세부묘사를 했다.
본인의 창작품은 '자신' 과 '환경' 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치유의 계기가 되는 역할을 하였다. 본인의 창작품이 감상자들에게 명상과 소통의 창구가 되길 바라며, 본 논문의 분석내용이 본인의 심리 회화창작에 지속적인 발전과 확장 가능성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