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배경과 목적 13
2. 연구범위와 방법 14
II. 표현 확장 개념의 에르곤과 파레르곤 17
1. 예술작품의 경계 17
2. 칸트의 합목적성과 파레르곤 22
3. 데리다의 해체 철학으로 본 파레르곤 25
4. 파레르곤을 통한 현대 미술 사조 변화 29
4.1. 탈경계와 융합의 파레르곤 31
4.2. 상호작용으로서의 파레르곤 34
III. 표현 도구로서의 점·선·면 39
1. 에르곤 요소로 본 점·선·면 40
2. 점·선·면에서 나타나는 파레르곤 48
3. 점·선·면 구조를 상호작용으로 활용한 작가 연구 51
3.1. 루스 아사와(Ruth Asawa) 51
3.2. 토시코 호리우치 맥아담(Toshiko Horiuchi Macadam) 56
3.3. 에도아르도 트레솔디(Edoardo Tresoldi) 59
3.4. 자넷 에힐만(Janet Echelman) 61
IV. 《Space Full Of 'Between's》 작품 분석 65
1. 연구자의 선행 작품 분석 65
1.1. 비정형 와이어 구조의 장신구 연구 65
1.2. 빛과 그림자의 상호작용 연구 66
1.3. 환경과 배경의 융합 연구 70
2. 《Space Full Of 'Between's》의 구성과 의미 및 구조의 특징 73
2.1. 《Space Full Of 'Between's》의 조형 요소로서의 점·선·면 74
2.2. 점·선·면 구조의 상호작용 효과 84
2.3. 비정형 격자 구조로 나타나는 유기적 형태 87
3. 오브제 표현 확장의 상호작용 《Space Full Of 'Between's》 90
3.1. 작품 개념 및 전개 90
3.2. 상호작용 분류를 통한 의미 변화 91
V. 결론 110
참고문헌 114
ABSTRACT 118
〈그림1〉 해체주의 건축물 : 댄싱하우스 빌딩, 프라하, 1996. 19
〈그림2〉 해체주의 건축물 :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1997. 20
〈그림3〉 한스 벨머, 〈인형〉, 1935-1936. 22
〈그림4〉 호레이스 피핀, 전쟁의 종말(The End of the War: Starting Home), 1930. 28
〈그림5〉 사이토 다카코, 〈Smell Chess〉, Wood chessboard with thirty vial pieces (two missing),... 32
〈그림6〉 마가렛 디 파타, 〈Ring〉, Silver, 3x2x3cm, 1938. 33
〈그림7〉 마가렛 디 파타, 〈Pendant〉, Gold, Rutilated quartz, 82.6x28.5x19mm, 1948. 34
〈그림8〉 제프 쿤스, 〈Crouching Venus〉, plaster and glass, 155.9x61.3x41cm, 2013. 36
〈그림9〉 제프 쿤스, 〈Farnse Hercules〉, plaster and glass, 1,326.4x170.2x123.5cm, 2013. 36
〈그림10〉 안토니 곰리, 〈눈먼 빛(Blind Light)〉, 2007. 37
〈그림11〉 정적인 점 41
〈그림12〉 동적인 점 41
〈그림13〉 규칙적인 점 41
〈그림14〉 직선에서 나타나는 특징 43
〈그림15〉 절선 44
〈그림16〉 면의 운동성 47
〈그림17〉 상호침투 및 관입의 투명한 중첩 효과 49
〈그림18〉 프란시스 피카비아, 〈Privets〉, c.1929. 50
〈그림19〉 루스 아사와, 〈무제(untitled)(S.027)〉, iron, cpper... 52
〈그림20〉 루스 아사와, 〈무제(untitled)(S.238)〉, bronze wire with... 52
〈그림21〉 루스 아사와, 〈무제(Untitled)(S.049)〉, naturally oxidized copper wire 23x18x14 in., 1962. 53
〈그림22〉 루스 아사와, 〈Architecture of life〉의 전경, Berkeley Art Museum, brass and steel wire, 2016. 54
〈그림23〉 요제프 알버스,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 개인소장, 76x76cm, 1964. 55
〈그림24〉 토시코 호리우치 맥아담, 〈떠다니는 큐브의 대기 (Atmosphere of the... 56
〈그림25〉 토시코 호리우치 맥아담, 〈놀이 공간〉 58
〈그림26〉 에드아르도 트레솔디, 〈Etherea〉, 2018. 60
〈그림27〉 앙리 마티스, 〈The Snail〉, 1953. - 컷 아웃 (Cut-out) 기법의 작업물. 62
〈그림28〉 자넷 에힐만, 〈Bellbottoms Series〉, Cast... 63
〈그림29〉 자넷 에힐만, 〈She changes〉, Painted Galvanized Steel and Knotted, Braided Fiber... 63
〈그림30〉 김준협, 〈Body+Emotion〉, Eyelet, Copper wire, 2015.... 65
〈그림31〉 김준협, 〈사람과 사람사이 I〉(좌), 〈사람과 사람사이 II〉(우), Eyelet, Copper wire, 2017. 67
〈그림32〉 김준협, 〈사람과 사람사이 III〉, Eyelet, Copper wire, 2017. 68
〈그림33〉 김준협, 〈사람과 사람사이 IV〉, Eyelet, Copper wire, 2017. 70
〈그림34〉 김준협, 〈사람과 사람사이 V〉, Eyelet, Copper wire, 2017. 71
〈그림35〉 김준협, 〈사물과 사물사이 I〉, Eyelet, Copper wire, 2018. 72
〈그림36〉 아일릿과 제품 활용의 예 73
〈그림37〉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I〉, Eyelet, Copper wire, 2021-작품에서... 75
〈그림38〉 자연 현상에서 보이는 점의 군집 75
〈그림39〉 작품에 나타나는 점의 운동성 77
〈그림40〉 정적인 점 78
〈그림41〉 선으로 인한 점의 움직임 79
〈그림42〉 본 작품에서 나타나는 선 79
〈그림43〉 본 작품에서 나타나는 예각 80
〈그림44〉 본 작품에서 나타나는 둔각 80
〈그림45〉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I〉, Eyelet, Copper wire, 2021.... 81
〈그림46〉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II〉, Eyelet, Copper wire, 2021. 83
〈그림47〉 작품에서 나타나는 가상의 면 84
〈그림48〉 작품에서 나타나는 투명성과 중첩성 84
〈그림49〉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III〉, Eyelet, Copper wire, 2021... 86
〈그림50〉 작품에 나타나는 비정형 격자 구조 89
〈그림51〉 액자가 없는 오브제 93
〈그림52〉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IV〉, Eyelet, Copper wire, 2021... 93
〈그림53〉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V〉, Eyelet, Copper wire, 2021.... 94
〈그림54〉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VI〉, Eyelet, Copper wire, 2021.... 96
〈그림55〉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VII〉, Eyelet, Copper wire, 2021.... 97
〈그림56〉 배경에 따른 점과 선의 느낌 변화 99
〈그림57〉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VIII〉, Eyelet, Copper wire, 2021.... 100
〈그림58〉 그림의 테두리가 작품에 미치는 영향 101
〈그림59〉 여러 광원의 중첩 효과 104
〈그림60〉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IX〉, Eyelet, Copper wire, 2021.... 106
〈그림61〉 김준협, 〈Space Full of 'Between's X〉, Eyelet, Copper wire, 2021.... 108
본 연구는 에르곤과 파레르곤의 확장을 통한 오브제 표현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주요하게 다루어온 사유의 다양한 표현 추구의 일환인 와이어 구조의 작품과 주위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현대 미술은 탈경계와 장르 간 융합의 장이다. 이러한 탈경계와 융합은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의 해체주의가 마련한 토대 위에서 이루어졌다. 데리다에 앞서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는 작품의 본질과 내재적 의미를 에르곤(ergon)으로 보았으며, 작품의 부수적 존재로서의 외재적 의미를 파레르곤(parergon)으로 구분하였다. 반면 데리다는 전통미학의 이원론적 사유를 비판하며 그의 저서 『The Truth in Painting』에서 작품 안과 바깥 사이의 상호작용을 생성하는 구성적 조건으로서의 파레르곤을 논한다. 칸트와 데리다가 파레르곤을 본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논함은 동일하지만, 칸트와 달리 데리다는 작품의 본질과 부수적인 것을 가름하는 경계 설정의 모호성을 지적하며 에르곤과 파레르곤을 대리보충하는 관계로 설명한다.
데리다를 위시한 1960년대 해체주의는 현대 미술에서 전개되는 탈경계와 융합 그리고 상호작용의 양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대 미술에서 관람자를 포함한 작품 주위의 환경은 데리다적 의미의 파레르곤으로서 작품에 개입한다. 이로써 작품과 주변 요소 사이에 경계가 허물어지고 상호작용이 일어나 작품 감상에 다채로움이 부여된다. 나아가 파레르곤은 작품 구성에서 예술, 과학기술, 건축 등 장르 융합을 견인하는 요소로 확장된다.
본 연구에서 형태의 주요 요소로 활용되는 점·선·면은 작품의 주체인 형태를 구성하는 에르곤이라 할 수 있다. 간결한 형태의 정적인 점은 선을 통해 연결되어 움직임, 시간, 감정을 표현하며 이 점과 선들의 연결은 존재하지 않지만, 인지 가능한 유기형의 면을 생성한다. 이 점·선·면 형태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투명성과 중첩성은 본 연구작 《Space Full Of 'Between's》의 주변 요소, 즉 파레르곤으로 읽을 수 있는 액자, 색상, 그림자, 관람자의 시선 각도와 상호작용한다. 연구작이 추구하는 파레르곤의 적극적 활용은 현대 미술 다방면에서 발견되는데, 대표적으로 루스 아사와(Ruth Asawa)와 에드아르도 트레솔디(Edoardo Tresoldi)의 비정형 와이어 구조 작품에서 그 특징이 잘 드러난다.
《Space Full Of 'Between's》는 연구자의 선행 연구 성과인 와이어 구조를 통한 신체 확장 장신구, 빛과 그림자 그리고 배경과 환경의 융합 확장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다. 여기에 점·선·면의 비정형 와이어 구조에 담지된 에르곤과 파레르곤의 특징을 상호작용 요소로 활용해 오브제의 표현 확장을 추구한다. 기법 면에서는 점을 상징하는 아일릿 소재와 와이어의 두 줄 엮음 기법을 취해 비정형 격자 구조를 띤 가상면의 유기적 형태로 제작된다. 이로써 작품과 주위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형태를 조성하고 관람객의 주관적인 인지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상호작용을 불러일으킨다.
작품 주위의 파레르곤은 작품의 밖에 위치하지만 작품 안팎 경계를 넘나들며 작품에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조형적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작품 표현 확장 도구로서의 주변 요소는 금속조형 작품 구상에서 그 범위를 폭넓게 고려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더불어 체계화된 표현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두어 지속적인 시도를 이어나갈 계기가 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