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및 주제어 8
제1장 서론 9
A. 연구 동기 및 문제 제기 9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2
제2장 현대의 인간이해: 포스트휴머니즘 14
A. 르네상스 휴머니즘에서 푸코까지 15
1. 르네상스부터 근대까지의 휴머니즘 이해 15
2. 니체부터 푸코까지의 휴머니즘 이해 18
B. 포스트휴머니즘: 근대 자유주의 휴머니즘에 대한 두 반응 23
1. 포스트휴먼-이즘: 인간 종(species)에 대한 기능적(機能的) 기술-진화 운동 23
2.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 근대 휴머니즘에 대한 철학적(哲學的) 비판 운동 28
C. 포스트휴머니즘 비판 31
제3장 대안적 인간 규범: 마커스 보그(Marcus J. Borg)의 역사적 예수상(像) 35
A. 역사적 예수 연구사(史) 36
B. 마커스 보그의 역사적 예수상(像) 46
1. 보그의 연구 방법 46
2. 마커스 보그의 예수상 51
C. 보그의 역사적 예수상에 드러나는 인간이해 58
제4장 통전적 인간 형성을 위한 기독교영성교육 64
A. 현대 교육에서의 영성 64
B. 영성의 특성과 영성적 인식 68
C. 기도를 통한 기독교 영성교육 74
제5장 결론 80
A. 요약 80
B. 제언 84
참고문헌 86
Abstract 91
본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으로 대변되는 현대의 인간 이해를 분석하고, 그것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준거 및 기독교교육학의 인간이해와 인간화(人間化)를 위한 인간 규범으로써 마커스 보그(Marcus J. Borg)의 역사적 예수상을 논리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현대의 인간이해의 한 측면으로써, 세분화되는 내용에 따라 인간의 초월을 향한 의지, 인간중심주의를 탈피하는 관계적 존재론, 그리고 그러한 포스트휴먼적 주체성 구성을 위한 방법론이자 인간의 가능성으로써의 정치학 등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적 인간이해에 있어서 포스트휴머니즘의 이러한 기술발전과 그것에 대한 주권적 존재자로써의 인간의 정치에 대한 낙관론적 경향은 비판을 받는다. 다만 현대적 맥락에서 논의되는 현대의 인간이해와 여전히 한국 개신교회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근대 신학의 산물인 '과거의 패러다임'은 인간이해에 대한 소통을 이룰만한 접점을 찾기가 어려우므로, 본고는 성서와 기독교 전통에 확고한 근거를 두고 있으면서, 그것을 역사적(historical), 은유적(metaphorical), 성례전적(sacramental)으로 새롭게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제시된 보그의 역사적 예수상(像)을 기독교의 새로운 인간 규범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보그의 역사적 예수상에 나타난 '참 인간(vere homo)'의 핵심인 '영의 사람'과 현대 교육이 지난날의 인간이해를 반성하면서 '총체적 인간'을 위해 관심하고 있는 인간의 '영성'을 논의의 공통분모로 삼아, 기독교와 현대 사회가 통전적인 인간이해와 인간화를 위하여 '기도를 통한 영성교육'을 실천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