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9
Ⅰ. 머리말 11
Ⅱ. 근대 여성교육의 여명과 자수미술 17
A. 일본의 학교 자수교육 17
1. 일본 중등학교의 자수교육 19
2. 일본 전문미술학교의 자수교육 24
B. 국내 여학교 자수교육 29
1. 미션스쿨의 자수교육 30
2. 사립여학교의 자수교육 33
Ⅲ. 1920년대 전문 자수교육의 전개 36
A. 학교 자수교육의 정립 36
1. 여성전문 교육기관: 경성여자미술학교 36
2. 공교육의 자수교육 49
3. 성적품전람회 및 바자회 활동 57
B. 대중 자수교육의 보급 63
1. 자수전문학원의 자수교육 64
2. 상업시설 주최 자수강습 68
3. 여성단체 주도의 자수강습 73
4. 신문사 주최 자수강습 75
Ⅳ. 1930~1940년대 자수교육의 확대 78
A. 여학교 자수교육의 심화 78
1. 여학교 교사의 자수교육 활동 78
2. 학생전람회의 성행 96
B. 대중 자수교육의 확산 131
1. 전문학원의 자수교육 132
2. 상업시설 주최의 자수강습 137
3. 여성단체 주도의 자수강습 140
4. 지방관청 및 보통학교 주최 자수강습 144
5. 신문사 주최 자수강습 149
Ⅴ. 맺음말 175
참고문헌 178
도판 198
ABSTRACT 240
[그림 1] 파주자수강습회(1933) 105
[그림 2] 이영애 강사의 문화자수바늘 설명(1933년) 161
도 1. 동경여자미술학교 학생공동작품, 〈공작도〉 充立, 1914년경, 자수, 92.2.x67.4cm, 동경여자미술대학 198
도 2. 박을복, 〈국화와 원앙〉, 1938, 견본자수, 60x128cm 2폭, 박을복자수박물관 198
도 3. 전명자, 〈120종 자수본〉, 1931, 천에자수, 27.7x348.3cm, 숙명여대박물관 198
도 4. 경성여자미술학교 학생작품, 자수, 『조선일보』, 1926. 11. 21 198
도 5. 김의식 〈實用刺繡臨本(一)〉 경성활문사, 1924, 화봉문고 소장 198
도 5-1. 제1도 그림그리는 방법 198
도 5-2. 채색견본 198
도 5-3. 채색견본② 199
도 5-4. 제5도 난, 죽 (수저주머니용) 199
도 6. 김의식, 〈추산모일〉, 1922, 동양화, 제1회 조선미전도록 199
도 7. 김예식, 〈가을의 폭포〉, 1922, 동양화, 제1회 조선미전도록 199
도 8. 경성여자미술학교 윤금수, 〈금강산〉, 1927, 자수, 『동아일보』, 1927. 7. 6 199
도 9. 원산루씨여고 고우숙, 〈금강산〉, 1930, 자수, 『동아일보』, 1930. 10. 14 199
도 10. 금강산만물상 삼선암, 사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99
도 11. 도화겸용 실용자수임본, 신문광고, 『동아일보』, 1925. 4. 17 200
도 12. 배화여고 학생작품, 자수, 『조선일보』, 1926. 1. 17 200
도 13. 숙명여전 자수기법연습, 1940년대, 자수, 숙명여대박물관 200
도 14. 김예식, 『자수임본』 중 표지, 동아부인상회, 1929, 국립민속박물관 200
도 14-1. 김예식, 『자수임본』 중 자수견본사진, 국립민속박물관 소장본 200
도 14-2. 제1도 송학, 국립민속박물관 소장본 200
도 14-3. 제9도 수련, 화봉문고 소장본 200
도 14-4. 제11도 다리야, 국립민속박물관 소장본 200
도 15. 경성여자미술학교 허은택, 〈죽조(竹鳥)〉, 1927, 자수, 『매일신보』, 1927. 7. 18 201
도 16. 石橋吉郞, 〈이른봄(淺春)〉, 1935, 채색, 제14회 조선미전도록 201
도 17. 경성여자미술학교 김계복, 〈독수리(鷲)〉, 1927, 자수, 『동아일보』, 1927. 7. 6 201
도 18-1. 심사정, 〈호응박토도 (豪鷹博兎圖)〉, 1768, 지본담채, 115.1x53.6cm, 국립중앙박물관 201
도 18-2. 최북, 〈호응박토도(豪鷹博兎圖)〉, 지본담채, 41.7x35.4cm, (동원2343), 국립중앙박물관 201
도 18-3. 최북, 〈기응탐토도(飢鷹眈兎圖)〉, 견본채색, 16.0x31.4cm, 간송미술관 201
도 19. 경성여자미술학교 김유옥, 〈매화〉, 1927, 자수, 『동아일보』, 1927. 7. 4 202
도 20. 경성여자미술학교 김유옥, 〈수련〉, 1928, 자수, 『조선일보』, 1928. 3. 14 202
도 21. 경성기예원 김영숙, 1928, 자수, 『동아일보』, 1928. 1. 2 202
도 22. 경성여자미술강습원 학생작품, 자수, 『동아일보』, 1926. 2. 28 202
도 23. 경성여자미술학교 우현제, 〈금계조〉, 자수, 『동아일보』, 1927. 7. 6 202
도 24. 경기여고 윤옥순, 1928, 자수, 경운박물관 203
도 25. 경기여고 졸업생 자수작품, 유화풍의 풍경자수, 1928, 경운박물관 203
도 26. 시라이 치쿠도, 리본자수, 『조선신문』, 1924. 5. 20 203
도 27. 경기여고 4학년 18명 합작자수작품, 1929, 자수, 『조선일보』, 1929. 10. 26 203
도 28. 진명여고 교직원 학생 공동작품, 〈자수금병풍(刺繡金屛風)〉 자수, 『매일신보』, 1920. 3. 29 203
도 29. 진명여고 정관숙, 1928, 자수, 『조선일보』, 1928. 3. 6 203
도 30. 진명여고 기예과 김경자, 자수병풍, 『매일신보』, 1920. 4. 6 204
도 31. 진명여고 장계임, 자수, 『매일신보』, 1926. 12. 5 204
도 32. 傳 인헌왕후, 〈자수춘유방초도〉, 견본자수, 159.7x44.2cm, (덕수2504), 국립중앙박물관 204
도 33. 傳 인헌왕후, 〈자수산시청람도〉, 견본자수, 179.4x46.4cm, (덕수2903), 국립중앙박물관 204
도 34. 傳 인헌왕후, 〈신선도〉, 견본자수, 학148.5x44.5cm, (덕수5698), 국립중앙박물관 204
도 35. 숙종어찬 〈자수서왕모도〉 1699, 145.2x50.6cm, (덕수4732), 견본자수, 국립중앙박물관 205
도 36. 진명여고 학생작품, 자수족자, 『조선일보』, 1927. 1. 20 205
도 37. 경성여자미술학교 유순희, 자수, 『동아일보』, 1928. 1. 8. 205
도 38. 장선희, 〈용〉, 1938,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05
도 39. 이산옥, 〈운룡문수(雲龍紋繡)〉, 1944, 자수, 국립고궁박물관 205
도 40. 조선여자기예원 미술공예품, 사진, 「장선희여사의조선여자기예원」, 『신동아』, 1932. 7 205
도 41. 경기여고 조무용, 조담재 합작품, 〈자수족자〉, 1935~1941, 자수, 경운박물관(경운5181) 206
도 41-1. 〈자수족자〉 부분 206
도 41-2. 〈자수족자〉 부분 206
도 42. 이마이 케이주(今井景樹,1891-1965), 〈櫻花遊鳩〉, 견본채색, 123x36cm 206
도 43. 이운정, 〈비둘기(鳩)〉, 1934, 자수, 제13회 조선미전도록 206
도 44. 경기여고 강필화, 〈자수화조도액자〉, 1935, 경운박물관(경운1851) 207
도 45. 경기여고 최선옥, 〈풍경〉, 1936년경, 자수, 경기여고 207
도 46. 숙명여고 이유희, 〈설중면원(雪中眠鴛)〉, 1936, 동양화, 제15회 조선미전도록 207
도 47. 숙명여고 최정순, 〈설중백로(雪中白鷺)〉, 1936, 동양화, 제15회 조선미전도록 207
도 48. 숙명여고 김자선, 〈토끼〉, 1936, 자수, 제15회 조선미전도록 207
도 49. 코히야마에이, 〈자수충립〉, 1933, 자수, 제14회 제전도록 207
도 50. 숙명여고 조복애, 〈만추(晩秋)〉, 1937, 동양화,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07
도 51. 정찬영, 〈공작(孔雀)〉, 1937, 견본채색, 173.3x250cm, 유족소장 208
도 52. 숙명여고 학생공동작품, 〈등꽃아래의공작〉, 1935-1938, 견본자수, 360x213cm, 숙명여고역사관 소장 208
도 52-1. [제목없음] 209
도 52-2. [제목없음] 209
도 52-3. [제목없음] 209
도 53. 공작 수 병풍에 수 놓는 모습과 자수본 지도광경, 사진자료, 숙명여고 209
도 54. 마루야마 오쿄(円山応挙), 〈등화도병풍(藤花図屏風)〉 6폭 1쌍, 1766년경, 지본금니채색, 각 156x360cm,... 210
도 55. 정찬영, 〈여광(麗光)〉, 1931, 동양화, 제10회 조선미전, 유실 210
도 56. 이현숙, 〈자수공작〉, 1937,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10
도 57. 정찬영, 〈공작〉, 1935, 견본채색, 144.2x49.7cm, 국립현대미술관 210
도 58. 이마오 케이넨(今尾景年: 1845 - 1924), 〈노송공작도(老松孔雀図)〉, 1916, 견본채색, 축, 170.2x86.0cm, 교토국립근대미술관 211
도 59. 박여옥, 〈비룡 하늘에있다(飛龍天に在り)〉, 1935, 자수, 제14회 조선미전도록 211
도 60. 박여옥, 〈해변의독수리 (海邊の鷲)〉, 1935, 자수, 제14회 조선미전도록 211
도 61. 박여옥, 〈쿠션〉, 1937,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11
도 62. 숙명여전 이순희, 〈자수화조화〉, 1940년대, 자수, 숙명여대박물관 212
도 63. 숙명여전 신태성, 〈자수석류도〉, 1943, 자수, 숙명여대박물관 212
도 64. 숙명여전 김이지(1942년 기예과졸업), 푼사실, 사진,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12
도 65. 장동순, 〈남방화(南方花)〉, 1943, 자수,『매일신보』, 1943. 5. 27 212
도 66. 경북여고 한옥희·정복향 합작, 〈불국사석굴암11면관음〉, 1929, 자수, 『동아일보』, 1929. 10. 5 213
도 67. 〈십일면관음보살〉, 8세기 중반, 사진, 경주:석굴암 213
도 68. 이도영, 〈석굴암 관음상〉, 1929, 동양화, 제9회 서화협회전, 『조선일보』, 1929. 11. 1 213
도 69. 경북여고 조녹주·정복득·김순희·서용진 합작, 〈해금강〉, 1931,자수, 31.3x178cm, 경북여고 동창회관전시실 213
도 69-1. 〈해금강〉 부분 213
도 69-2. 〈해금강〉 부분 213
도 69-3. 〈해금강〉 부분 213
도 70. 해금강자수와 지도교사 윤정식선생, 사진자료, 『경북여고칠십년사』, 1999 214
도 71. 동경 여자미술학교, 정광길, 〈풍경〉, 1931, 견본자수, 22.1x25.6cm, 동경 여자미술대학 공예연구실 214
도 72. 윤정식, 〈후쿠사(富久紗)〉, 1936,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14
도 73. 경북여고 최옥희, 이잠조, 이영자, 이성남 합작, 〈고려꿩(高麗雉)〉, 1932, 자수, 115x65.3cm, 경북여고 동창회관전시실 214
도 73-1. 〈고려꿩〉 부분 214
도 73-2. 〈고려꿩〉 부분 214
도 73-3. 〈고려꿩〉 부분 214
도 73-4. 〈고려꿩〉 부분 214
도 74. 이마오 케이넨(今尾景年,1845-1924), 〈철쭉 고비 꿩(躑躅 紫萁 雉)〉, 1891~1892, 『케이넨화조화보(景年花鳥晝譜)』 (西村總左衛門, 1892) 215
도 75. 경북여고 김옥자·권정수·최계경·최복수·이순 연·양금순 합작, 〈백봉(白鳳)〉, 1932, 자수, 140x67cm, 경북여고 동창회관전시실 215
도 76. 이토 자쿠추(伊藤若冲), 〈노송백봉도(老松白鳳圖)〉, 1766년경, 견본채색, 141.8x79.7cm, 일본궁내청 산노마루쇼조칸 215
도 75-1. 〈백봉〉 부분 215
도 75-2. 〈백봉〉 부분 215
도 75-3. 〈백봉〉 부분 215
도 75-4. 〈백봉〉 부분 215
도 77. 가토 오토라오(加藤登良雄), 〈서상(瑞祥)〉, 1932, 자수, 제11회 조선미전도록 216
도 78. 야츠나미 키요코, 〈서봉(瑞鳳)〉, 1936, 자수, 제15회 조선미전도록 216
도 79. 윤봉숙, 〈육곡의병풍(桐鳳)〉, 1938,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16
도 80. 나사균, 〈봉황(鳳凰)〉, 1938,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16
도 81. 경성여자상업 안금자, 〈봉황〉, 1940, 자수, 『동아일보』, 1940. 6. 21 216
도 82. 경북여고 최송자·박봉련·이복선·이말주 합작, 〈자모관음(慈母觀音)〉, 1934, 자수, 85x34cm, 경북여고 동창회관전시실 217
도 82-1. 〈자모관음〉 부분 217
도 82-2. 〈자모관음〉 부분 217
도 82-3. 〈자모관음〉 부분 217
도 83. 가노 호카이(狩野芳崖,1828-1888), 〈비모관음(悲母觀音)〉, 1888, 채색, 195.8x86.1cm, 동경예술대학 217
도 84. 가와시마 진베이 2세, 〈비모관음(悲母觀音)〉, 1895, 태피스트리, 246x102cm, 동경국립박물관 217
도 85. 경북여고 곽옥조·임삼오·최복주·임분령 합작, 〈신라고대모양(新羅古代模樣)〉, 1935, 자수, 154x85cm, 경북여고 동창회관전시실 218
도 85-1. 〈신라고대모양〉 부분 218
도 85-2. 〈신라고대모양〉 부분 218
도 85-3. 〈신라고대모양〉 부분 218
도 85-4. 〈신라고대모양〉 부분 218
도 86. 경북여고 곽윤덕·서정자·이경환·이재옥 4인합작, 〈고려모양①〉, 1936, 자수, 『조선일보』, 1937. 1. 3 218
도 87. 〈나전국화넝쿨무늬합〉, 고려, 나전칠기, 국립중앙박물관 218
도 88. 경북여고 오금홍·나경안·서경희·이두리 합작, 〈고려모양(高麗模樣) ②〉, 1936, 자수, 105x61cm, 경북여고 동창회관전시실 219
도 88-1. 〈고려모양②〉 부분 219
도 88-2. 〈고려모양②〉 부분 219
도 89.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 92호), 고려, 국립중앙박물관 219
도 90.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국보 68호), 고려, 간송미술관 219
도 91. 경북여고 오순연·최미선·나순자·안수남·김명순·배귀봉 6인합작, 〈이조시대 모양(李朝時代模樣)〉, 1938, 자수, 『동아일보』, 1938. 6. 4 219
도 92. 〈분청사기 조화어문편병〉, 조선초기, 분청사기, 국립중앙박물관 219
도 93. 〈분청사기 철화 물고기무늬장군〉(동원523), 조선, 분청사기, 국립중앙박물관 219
도 94. 경북여고 최옥자·김순경·김금숙·강창연·정판순·지용지 합작, 〈금강산보덕굴(金剛山普德窟)〉, 1938, 자수, 144x47.5cm, 경북여고 동창회관전시실 220
도 94-1. 〈금강산보덕굴〉 부분 220
도 94-2. 〈금강산보덕굴〉 부분 220
도 94-3. 〈금강산보덕굴〉 부분 220
도 94-4. 〈금강산보덕굴〉 부분 220
도 95. 야츠나미 키요코(八波淸子), 〈낙랑유수〉, 1937년,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20
도 96. 〈금착수렵문동통(金錯狩獵文銅筒)〉, 도쿄예술대학미술관, 『공예의 세기』 도록 220
도 97. 다츠무라 헤이조(龍村平藏), 〈나지금벽괘(羅地錦壁掛)〉, 1927, 태피스트리, 제8회 제국미술전람회도록 220
도 98. 야츠나미 키요코, 〈서봉(瑞鳳)〉, 1936, 자수, 제15회 조선미전도록 221
도 99. 야츠나미 키요코, 〈단선면모양충립(團扇面模樣衝立)〉, 1939, 자수, 제18회 조선미전도록 221
도 99-1. [제목없음] 221
도 100. 진주여고 최혜경, 〈촉석루(矗石樓)〉, 1934, 자수, 『동아일보』, 1934. 9. 23 221
도 101. 室田武隣, 〈직물경회루도액(織物慶會樓圖額)〉, 1933, 직조, 제12회 조선미전도록 221
도 102. 진명여고 4인합작, 〈연못(池)〉, 1933, 자수, 『동아일보』, 1933. 9. 22 221
도 103. 진명여고 4인합작, 〈고례(古隷)〉, 1934, 자수, 『동아일보』, 1934. 9. 23 221
도 104. 진명여고 문경숙, 〈추작(秋雀)〉, 1935, 자수, 『동아일보』, 1935. 9. 29 222
도 105. 이영일, 〈참새〉, 1935, 수묵, 『매일신보』, 1935.1.13 222
도 106. 진명여고 이영수, 〈가을(秋)〉, 1939, 자수, 『동아일보』, 1939. 6. 24 222
도 107. 진명여고 황필순, 〈추색(秋色)〉, 1938, 자수, 『조선일보』, 1938. 10. 8 222
도 108. 김은호, 〈화미조(畵眉鳥)〉, 1926-7년, 견본채색, 130x43cm, 개인소장 222
도 109. 진명여고 산화련, 〈올빼미(梟)〉, 1939년, 『조선일보』, 1939. 10. 20 223
도 110. 진명여고 신용현, 〈양귀비(罌粟)〉, 동양화, 『조선일보』, 1936. 10. 10 223
도 111. 진명여고 학생합작품, 〈봉황자수(鳳凰刺繡)〉, 1935년, 자수,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 (1935.9월호) 223
도 112. 진명여고 학생합작품, 〈운룡자수(雲龍刺繡) 방석〉, 1935, 자수,『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 (1935.9월호) 223
도 113. 황해도 재령 명신고녀 조순래, 〈풍경〉, 1932, 자수, 『동아일보』, 1932. 9. 27 223
도 114. 동경 여자미술학교 윤금수, 〈겟세마네동산에서 기도하는 그리스도〉, 1930, 자수, 『조선일보』 ,1930.5.10 223
도 115. 향상여자기예학교 이운정, 〈초화자수병풍(草花刺繡屛風)〉, 1935, 자수, 제14회 조선미전도록 224
도 116. 향상여자기예학교 임의순, 〈병풍〉, 1938년,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24
도 117. 향상여자기예학교 졸업생 합작, 자수병풍, 1939, 자수, 『동아일보』, 1939. 3. 6 224
도 118. 루씨여고보 윤봉숙, 〈윤문숙공(尹文肅公)초상〉, 1933, 자수, 『동아일보』, 1933. 10. 3 224
도 119. 〈윤관(尹文肅)초상영정〉,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0호, 1910년경, 개인소장 224
도 120. 최우석, 〈포은공(圃隱公)〉, 1927, 동양화, 제6회 조선미전도록 224
도 121. 모리 요시코(森芳子), 〈봄망아지(春駒)〉, 1936, 자수, 제15회 조선미전도록 225
도 122. 요시다 키요코(吉田淸子), 〈무희의 아리랑〉, 1937,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25
도 123. 원산루씨여고보 김복순, 〈하경(夏景)〉, 1933, 자수, 『동아일보』, 1933. 9. 30 225
도 124. 원산루씨여고보 변은숙, 〈하경(夏景)〉, 1933, 자수, 『동아일보』, 1933. 9. 26 225
도 125. 개성 호수돈여고보 최문희, 〈풍경〉, 1930, 자수, 『동아일보』, 1930. 10. 10 225
도 126. 동경 여자미술학교 정희로, 〈식물장미〉, 1923, 자수, 견, 19.4x25.2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226
도 127. 동경 여자미술학교 김선낭, 〈인물〉, 1929, 자수, 견, 24.1x24.6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226
도 128. 동경 여자미술학교 장선희, 〈메추라기〉, 1924, 자수, 견, 19.2x24.9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226
도 129. 동경 여자미술학교 박흥순, 〈새〉, 1926, 자수, 견, 21.6x25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226
도 130. 동경 여자미술학교 김연임, 〈풍경〉, 1929, 자수, 견, 24.4x22.8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226
도 131. 동경 여자미술학교 김춘원, 〈풍경〉, 1929, 자수, 견, 24.4x24.7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226
도 132. 동경 여자미술학교 심재순, 〈풍경〉, 1929, 자수, 견, 24.5x24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소장 227
도 133. 동경 여자미술학교 윤정식, 〈풍경〉, 1929, 자수, 견, 17.5x22.7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소장 227
도 134. 동경 여자미술학교 장전문, 〈풍경〉, 1930, 자수, 견, 23.3x25.3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소장 227
도 135. 동경 여자미술학교 박계심, 〈이노카시라(井の頭)풍경〉, 1930, 자수, 견, 22.4x24.5cm, 조시비미술대학 공예연구소 소장 227
도 136. 배화여고 김수호, 문순복, 〈수병(繡屛)〉, 1934, 자수, 『동아일보』, 1934. 9. 27 227
도 137. 정신여학교 김인수, 〈홍엽(紅葉)〉, 1938, 자수, 『동아일보』, 1938. 6. 14 228
도 138. 평양정의고녀 노신정, 〈포구〉, 1938, 자수, 『동아일보』, 1938. 6. 8 228
도 139. 경성여자상업학교 권정국, 〈쿠션〉, 1939, 자수 『동아일보』, 1939. 6. 17 228
도 140. 함흥영생고녀 이신순, 〈풍경자수〉, 1939, 자수, 『동아일보』, 1939. 7. 8 228
도 141. 박을복, 〈풍경〉, 1938, 자수, 『동아일보』, 1938. 5. 17 228
도 142. 키타지마요(北島與), 〈풍경〉, 1935, 문화자수, 제14회 조선미전도록 229
도 143. 키타지마요(北島與), 〈고요한샘물(靜かなる泉)〉, 1936, 문화자수, 제15회 조선미전도록 229
도 144. 노서아자수견본, 〈산수화수〉, 1931, 자수, 『동아일보』, 1931. 5. 1 229
도 145. 키타지마요(北島與), 〈뗏목으로 강을 내려감(筏流し)〉, 1937, 문화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29
도 146. 정신여학교 침이순, 〈도안자수〉, 1939, 자수, 『동아일보』, 1939. 7. 6 229
도 147. 개성호수돈고녀 김정숙, 〈갈대와제비(蘆燕)〉, 1940, 자수, 『동아일보』, 1940. 6. 25 230
도 148. 향상여자기예학교 이운정, 〈초화자수병풍〉, 2폭, 1935, 자수, 제14회 조선미전도록 230
도 149. 개성 호수돈고녀 김복순, 〈월계(月桂)〉, 1940, 자수, 『동아일보』, 1940. 6. 25 230
도 150. 평양서문여고 승원주, 〈정물〉, 1938, 자수, 『동아일보』, 1938. 6. 7 230
도 151. 평양서문고녀 주순목, 〈장미〉, 1940, 자수, 『동아일보』, 1940. 6. 26 230
도 152. 키타지마요, 〈장미〉, 1935, 문화자수, 제14회 조선미전도록 230
도 153. 김기정, 〈장미〉, 1937,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30
도 154. 이현숙, 〈장미〉, 1937,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31
도 155. 마사키 사다코(正木貞子), 〈장미〉, 1937,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31
도 156. 카네시게 하루에(金重春枝), 〈장미〉, 1938,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31
도 157. 모토야마 야에(本山八重), 〈백장미〉, 1938,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31
도 158. 카네시게 하루에(金重春枝), 〈다알리아〉, 1937,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31
도 159. 카네시게 하루에(金重春枝), 〈정물〉, 1939, 자수, 제18회 조선미전도록 231
도 160. 경성여자상업학교 5인합작, 〈매조(梅鳥)〉, 1940, 자수, 『동아일보』, 1940. 6. 21 232
도 161. 배화여고보 박신열, 〈방석〉, 1938, 자수, 『조선일보』, 1938. 2. 9 232
도 162. 정찬영, 〈설중백로(雪中白鷺)〉, 1930, 동양화, 제9회 조선미전도록 232
도 163. 김경순, 〈설매(雪梅)〉, 1938, 자수, 『조선일보』, 1938. 5. 11 233
도 164. 진주일신여고보 5인합작, 〈매조(梅鳥)〉, 1935, 자수, 『동아일보』, 1935. 9. 29 233
도 165. 정신여학교 김산호, 〈관조(冠鳥)〉, 1939, 자수, 『동아일보』, 1939. 2. 23 233
도 166. 아사카와 마키에(淺川牧榮), 〈납힐염색테이블 덮개(臘纈テ-ブル掛)〉, 1933, 염색, 제12회 조선미전도록 233
도 167. 아사카와 마키에(淺川牧榮), 〈자수(刺繡)〉, 1935, 제14회 조선미전도록 233
도 168. 아사카와 마키에(淺川牧榮), 〈소나무와 학(松とつる)〉, 1936, 자수, 제15회 조선미전도록 233
도 169. 아사카와 마키에(淺川牧榮), 〈납힐염색신라기와문탁자덮개(蠟纈新羅瓦文卓子掛)〉, 1937,... 234
도 170. 아사카와 마키에(淺川牧榮), 〈새(ことり)〉, 1937, 자수, 제16회 조선미전도록 234
도 171. 아사카와 마키에(淺川牧榮), 〈동박새(めじろ)〉, 1938,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34
도 172. 아사카와 마키에(淺川牧榮), 〈조선자수베갯머리병풍(朝鮮刺繡枕屛風)〉, 1938,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34
도 173. 스즈키 마키에(鈴木牧榮), 〈까치(かちがらす)〉, 1939, 자수, 제18회 조선미전도록 234
도 174. 안병길, 『자수임본』 (대길상점, 1931), 국립중앙도서관 235
도 174-1. 차례 235
도 174-2. 제1도 송학 235
도 175. 손영자, 〈카르멘〉, 1938, 자수, 제17회 조선미전도록 235
도 176. 대구 호랑이자수강습회, 1934, 사진, 『동아일보』, 1934. 8. 9 235
도 177. 원산루씨여고보 홍순암·서귀인, 〈기린〉, 1929, 자수, 『동아일보』, 1929. 10. 12 235
도 178. 이영애 문화자수 견본, 『조선일보』, 1933. 10. 15 235
도 179. 김문규 기모식미화자수 견본, 〈사슴〉, 자수, 『동아일보』, 1935. 5. 11 235
도 180. 김문규 미화자수강습, 1936, 자수, 『조선일보』, 1936. 2. 21 236
도 181. 장선희 모사자수, 털실자수 강습, 〈사자〉, 1935, 자수, 『동아일보』, 1935. 10 .3 236
도 182. 러시아자수 견본, 〈산수화수〉, 1931, 자수, 『동아일보』, 1931. 5. 1 236
도 183. 러시아자수 견본, 〈동물수〉, 1931, 자수, 『동아일보』, 1931. 4. 26 236
도 184. 러시아자수 견본, 〈동물수〉, 1931, 자수, 『동아일보』, 1931. 4. 29 236
도 185. 경성수예연구소 문화자수견본, 〈매화지도(梅花之圖)〉, 1937, 자수, 『매일신보』, 1937.5.5 236
도 186. 경성수예연구소 문화자수견본, 〈공작〉, 1937, 자수, 『매일신보』, 1937. 4. 29 236
도 187. 문화자수강습회, 강사: 김광지, 〈공작, 조양명봉, 신록일쌍, 송령학수, 송학도, 암상의대호 등〉, 1936, 문화자수,... 237
도 188. 권복해·천수연 종합기예강습회, 1938, 문화자수, 『동아일보』, 1938.1.29 237
도 189. 경성수예연구소 문화자수견본, 〈송학지도(松鶴之圖)〉, 1937, 문화자수, 『매일신보』, 1937. 5. 6 237
도 190. 경성수예연구소 문화자수견본, 〈암상대호도(巖上大虎圖)〉, 1936, 문화자수, 『조선일보』, 1936. 5. 12 237
도 191. 경성수예연구소 문화자수견본, 〈암상대호지도(巖上大虎之圖)〉, 1937, 문화자수, 『매일신보』, 1937. 5. 1 237
도 192. 고원 구풍자수강습, 1934, 『동아일보』, 1934. 8. 21 238
도 193. 무산 문화자수강습, 1936, 『동아일보』, 1936. 5. 5 238
도 194. 동경여자미술학교 장선희, 〈밤호랑이(夜虎)〉, 1924, 자수, 『조선일보』, 1925. 4. 3 238
도 195. 동경여자미술학교 박봉이, 〈호랑이〉, 1930, 자수, 『조선일보』, 1930. 5. 10 238
도 195-1. 〈호랑이〉부분 238
도 196. 경성여자미술학교 허영자, 『매일신보』, 1930. 3. 26. 239
도 197. 마루야마 오쿄(圓山應擧), 〈홍엽백록도(紅葉白鹿圖)〉, 견본채색, 110.0x49.7cm, 18세기, 쓰루가시립박물관(敦賀市立博物館) 239
도 198. 〈동물·화조도 8폭병풍〉 중 6폭, 지본채색, 65x26cm, 가회민화박물관 239
도 199. 〈동물·화조도〉 중 2폭, 지본채색, 78x32cm, 조선민화박물관 239
도 200. 〈동물·화조도〉 중 8폭, 지본수묵, 99x32cm, 가회민속박물관 239
도 201. 〈단풍과 사슴그림〉, 多色印刷, 84x27.5cm, 개인 소장 239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을 맞아, 조선 시대 자수와는 완연히 구별되고 있는 근대기 한국 자수교육의 전반적인 양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고에서는 근대기 한국의 자수교육 내용과 자수작품 분석을 위해, 먼저 그 배경으로써 일본 학교 자수 교육 및 자수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에도(江戶) 후기부터 시작해 메이지(明治)기에 황금기를 누린 일본 수출 자수의 영향 아래, 일본자수는 외국인들의 기호에 맞춰 사생적인 도상의 마루야마 시조파(四條派)의 작법을 그대로 화면에 옮기거나, 서양 풍경화를 극사실적으로 자수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동경 여자미술학교의 자수 역시 이를 지향하게 되었고, 이후 100여명이 넘는 한국인 유학생들에게 그대로 이식되어 다시 한국에 수입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한국의 초기 학교 자수교육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정신, 배화 등의 기독교계 미션스쿨에서 비롯되었다. 1908년 고등여학교령, 1909년 고등여학교령 시행규칙 제정으로 관립 한성여학교를 위시하여 다수의 사립 여학교들에 기예과가 설치되었으며, 이후 졸업생들은 초기 재봉, 수예 교원으로 활동하며 국내 초기 자수교육을 이끌어간다. 1925년에 이르면 국내 최초의 미술학교인 경성여자미술학교의 개교로, 보다 전문적인 자수교육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경성여자미술학교는 산업의 기반이자 여성자활의 수단으로써의 자수 중심 교육기관임을 강조한 바, 다양한 작품판매 활동을 통해 설립목적을 증명해 나갔음이 관찰된다.
더불어 여자중등학교 자수교육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1920년대 학생바자회 기사 내용을 참고하여 당시 재봉, 수예 교사들의 이력을 면밀히 분석했다. 또한, 1930년대에는 신문사 주최 학생공모전 입상작을 중심으로 시기별, 학교별 자수작품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조선미전 입상작 및 동경여자미술학교 졸업생 자수소품들과 비교해 보면서, 일본 자수의 영향, 그중에서도 동경 여자미술학교에서 주로 교수되었던 사실적 작화의 방식이 한국 자수계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음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여학교 소장의 학생 작품들의 실견을 통해 심화된 분석을 제시하고자 의도한 가운데, 경북여고의 전람회 입상 자수작품 6점을 발굴하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와 함께 근대기 자수의 다른 한 축을 이루고 있는 대중 대상의 자수강습에도 주목해 보았다. 1920년대에는 장선희의 조선여자기예원을 비롯한 자수강습 학원의 등장으로 다양한 자수교육의 주체들이 탄생한다. 자수를 배우고자 했던 여성들은 주로 가정경제를 돕기 위한 부업이나 경제적 독립을 위한 목적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1930년대의 대중강습은 그 외연이 더욱 확장되어, 문화자수와 재봉자수가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특히 문화자수의 경우 그 간소한 제작방식으로 인하여 이른바 문화생활을 누리고자 하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급격히 확산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목적에 따라 다양한 주최, 주관기관이 존재하였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자수교육에 대한 신자료를 발굴·분석하여 근대기 자수 및 자수교육의 경향성을 분석했다. 이에 신문자료를 통해 비교적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1920년대부터 1945년 해방 전까지의 자수교육과 자수작품을 연구의 주요 범주로 삼아, 근대 학교 및 대중 자수의 교육양상 및 주요한 특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