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문제 12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4. 용어의 정의 13
5. 연구의 제한점 15
II. 이론적 배경 16
1. 자아탄력성의 이해 16
가. 자아탄력성의 개념 16
나. 유아와 자아탄력성 17
다.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소 19
2. 놀이와 미술 23
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이해 23
나. 놀이의 이해 23
다. 미술놀이의 이해 23
3. 놀이중심미술과 자아탄력성 24
III. 연구방법 및 절차 26
1. 연구대상 26
2. 연구도구 26
3. 연구절차 27
가. 실험설계 27
나. 예비 연구 28
다. 사전 검사 29
라. 실험 처치 29
4. 자료 분석 방법 34
IV. 결과 및 해석 35
1. 미술놀이 프로그램 적용 결과 및 질적 분석 35
가. 1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35
나. 2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36
다. 3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38
라. 4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42
마. 5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44
바. 6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46
사. 7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48
아. 8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51
자. 9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53
2. 양적 분석 및 해석 56
V. 결론 및 제언 60
1. 요약 60
2. 논의 및 결론 61
참고 문헌 64
영문초록 67
부록 69
〈부록 1〉 유아 자아탄력성 검사 도구 69
〈부록 2〉 주간교육계획안 71
〈표 III-1〉 연구 대상 유아의 성별과 평균 연령 26
〈표 III-2〉 자아탄력성 검사 도구의 문항 구성과 내적 일치도 27
〈표 III-3〉 실험설계 28
〈표 III-4〉 미술놀이 프로그램 32
〈표 IV-1〉 1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35
〈표 IV-2〉 2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36
〈표 IV-3〉 3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38
〈표 IV-4〉 4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42
〈표 IV-5〉 5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44
〈표 IV-6〉 6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46
〈표 IV-7〉 7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48
〈표 IV-8〉 8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51
〈표 IV-9〉 9회차 미술놀이 적용 및 분석 53
〈표 IV-10〉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사전·사후 점수 대응표본 t검정 결과 56
〈그림 III-1〉 미술놀이 프로그램 수업 모형 31
〈그림 III-2〉 자아존중감의 사전 사후 점수의 box plot 57
〈그림 III-3〉 주도성의 사전 사후 점수의 box plot 58
〈그림 III-4〉 자기조절능력의 사전 사후 점수의 box plot 59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미술놀이 프로그램 중재 사전과 사후에 유아들의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소인 자아존중감, 주도성,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여, 사전과 사후의 평균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적용 대상은 연구자가 담임으로 근무하고 있는 경기도 안산시 D구 소재의 공립 E유치원 1개 반 만 4세 17명의 유아(남아 7명, 여아 10명)로 한정하였다. 미술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사전인 2021년 4월 실험대상 유아들의 자아탄력성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미술놀이 프로그램 진행 기간은 2021년 4월~5월 6주이며, 총 9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적용하였고, 6월 초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해 Lebuffe와 Naglieri(1999)가 2~5세 유아를 대상으로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DECA)를 전은희(2008)가 번안하고 오수현(2010)에 의해 수정 보완된 것을 사용하였다. 미술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여 중재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6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 주도성, 자기조절능력 모두에서 미술 프로그램 사후의 점수가 사전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2019년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미술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보여진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