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中文摘要 13

I. 緖論 16

1. 硏究的必要性和目的 16

2. 硏究的方法和範圍 19

II. 教材的介紹 20

1. 師範院校鋼琴教育以及教材的發展曆史 20

2. 《鋼琴基礎教程》 的介紹 22

3. 《鋼琴教程》 的介紹 24

4. 《鋼琴》 的介紹 26

III. 教材的比較硏究 29

1. 教材結構框架的比較分析 29

2. 教材曲目來源的比較分析 34

3. 技術訓練方面的比較分析 37

4. 鋼琴即興伴奏以及鋼琴彈唱這兩部分的內容比較分析 42

5. 教材的比較分析結果 50

IV. 教材的使用建議以及教材編定的新趨勢 52

1. 教材的使用建議 52

1) 練習曲的安排應該更具有針對性 53

2) 樂曲的來源應該更具有多元性 55

3) 添加曲式分析以及演奏提示內容 60

4) 教材中應該增設即興伴奏學習內容 65

2. 教材編定的新趨勢 76

1) 互聯網的普及促使鋼琴教學改革 76

2) 教師編定適合本校內部使用的教材 79

V. 結論 81

參考文獻 84

국문요약 87

표목차

〈表 1〉 《鋼琴基礎教程》 的內容槪況 24

〈表 2〉 《鋼琴教程》 的內容槪況 26

〈表 3〉 《鋼琴》 的內容槪況 28

〈表 4〉 調整後的結構框架 52

〈表 5〉 《六月-船歌》 的曲式結構圖 62

그림목차

[圖片 1] 鍵盤, 音符的圖片以及鍵盤的對照表 30

[圖片 2] 鋼琴教學法的內容 32

악보목차

[譜例 1] 《牧民歌唱毛主席》 片段 43

[譜例 2] 重歸蘇聯托 45

[譜例 3] 《共靑團員之歌》 片段 47

[譜例 4] 鈴兒響叮當 48

[譜例 5] 《娃哈哈》 的第二鋼琴和第一鋼琴部分片段 49

[譜例 6] C 大調音階 54

[譜例 7] C 大調對應的練習曲 54

[譜例 8] 回憶片段 56

[譜例 9] 賣報歌片段 58

[譜例 10] G 宮調式五聲音階 59

[譜例 11] 《六月-船歌》 片段 61

[譜例 12] 和弦與伴奏音型的基本形式 67

[譜例 13] 《故鄕的親人》 片段 67

[譜例 14] 簡單的柱式伴奏音型 68

[譜例 15] 簡單的半分解伴奏音型 69

[譜例 16] 簡單的全半分解伴奏音型 69

[譜例 17] 《藍精靈之歌》 片段 70

[譜例 18] 和弦式伴奏音型的變化形式 70

[譜例 19] 半分解和弦式伴奏音型的變化形式 71

[譜例 20] 分解和弦式伴奏音型的變化形式 71

[譜例 21] 《搖籃曲》 片段 71

[譜例 22] 《乘著歌聲的翅膀》 簡譜 73

[譜例 23] 《乘著歌聲的翅膀》 鋼琴譜 75

초록보기

중국 사범대학교 음악학 전공은 초중교 음악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학과로 피아노 전공자들이든 비전공자들이든 음악학 전공 학생들에게 피아노 수업은 필수과목으로 되어있다. 1983 년 중국에서 출판한 첫 번째 피아노 비전공자들을 위한 교재를 시작으로 사범 대학교 피아노 교재 편성은 지속적인 보완과 개혁을 진행해왔고 사범대학교 피아노 교육도 눈에 띄는 효과를 얻은 동시에 문제점도 존재하며 몇 년 사이 교육부에서는 대학교의 교육 및 교재 개혁을 지시한 배경에서 본 문은 음악학과 피아노 비전공자들이 사용하는 교재에 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여 매 종류 교재에는 각각 장점과 특징이 있는 것을 파악 한 반면 종합적인 인재양성에는 부족한 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하여 본 문은 세 가지 부동한 교재에 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견해와 제언을 제시하여 미래 교재 편성에 조금이나마 도움과 보충이 되고자 한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 연구 범위와 방법에 대해 요약하였다.

제 2 장에서는 〈피아노 기초 교과 과정〉, 〈피아노 교과 과정〉, 〈피아노〉 이 3 가지 사범 대학교 피아노 비전공 학과 교재에 대한 소개로 우선 중국 사범 대학교 피아노 비전공 학과 교재의 발전 역사를 소개하였고 다음으로 3 가지 피아노 교재의 출판 배경과 내용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주로 〈피아노 기초 교과 교정〉, 〈피아노 교과 과정〉, 〈피아노〉 이 3 가지 다른 버전의 교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요약한 후 구조 프레임, 기교 훈련, 곡목 출처, 기본기 훈련, 즉흥 반주 양성 등 5 가지 측면에서 심층 비교 연구를 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각 교재의 장단점을 정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교재의 부족한 점에 관해 교재 사용에서의 제언과 교재 편성의 새로운 추세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첫째는 더욱 뚜렷한 지향성을 지닌 연습곡의 배정인데 동일한 조성을 갖고 있는 음계 연습 및 해당 조서에 알맞은 연습곡을 통해 지향성을 나타내야 하며 둘째는 다원성을 갖춘 악곡의 출처로 중국 민족 오음 음계를 추가하는 동시에 민족 조성과 대응되는 중국 작품을 결합한 연습곡을 통해 다원성을 나타내야 하며 셋째는 곡식 등 작곡 이론 지식을 추가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연주 과정에서 작품의 구성과 음악 발전 방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작품 탐구 및 분석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넷째는 교재 내용에 즉흥반주 학습내용 추가이며 즉흥반주 중요성에 관한 서술을 통해 교재 내용에 즉흥반주 이론지식의 추가, 반주 음형 연습과 초중교 음악 교재 내용에 대한 추가를 제안하였고 다섯째는 교재 편성에 관한 새로운 추세에 대한 전망으로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피아노 교육 개혁과 교사로서 본 교 재학생에게 적합한 피아노 교재를 편성해야만 하는 추세를 논하였다.

제 5 장은 결론으로 3 가지 다른 피아노 비전공 학과 교재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교재마다 보유하고 있는 장단점을 분석하고 앞으로 피아노 비전공자들의 교재 편성을 위해 참고적 가치를 제공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