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6
Ⅰ. 서론 8
1.1. 연구의 목적 8
1.2. 연구의 필요성 8
Ⅱ. 영어와 국어의 음운체계와 외래어 10
2.1. 영어 외래어 10
2.1.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표기법 규정 10
2.1.2. 외래어 사용실태 13
2.1.3. 외래어 표기와 실제 음성과의 문제 15
2.2. 영어의 음성학적 특징 17
2.2.1. 영어의 모음 17
2.2.2. 영어의 자음 19
2.3. 국어의 음성학적 특징 22
2.3.1. 국어의 모음 22
2.3.2. 국어의 자음 24
2.4. 영어와 국어의 음절 차이 25
2.5. 외래어 실험연구 26
Ⅲ. 실험방법 및 절차 27
3.1. 실험대상 27
3.2. 실험도구 28
3.2.1. 실험 단어 선정 28
3.2.2. 영어 원어민 음성녹음 28
3.2.3. 실험용 시험지 29
3.3. 실험설계와 절차 29
Ⅳ. 실험결과 32
4.1. 영어 외래어의 음성에 따른 분석 32
4.1.1. 두음에 관한 분석 32
4.1.2. 두음에 관한 결과 42
4.1.3. 말음에 관한 분석 43
4.1.4. 말음에 관한 결과 48
4.2. 영어 외래어의 음절에 관한 분석 50
4.2.1. 이음절 단어(two-syllable words) 50
4.2.2. 삼음절 이상인 단어(three-syllable words) 51
4.2.3. 음절에 관한 결과 52
Ⅴ. 결론 56
참고문헌 60
Abstract 62
부록 5
〈부록 1〉 실험용 영어 외래어 단어 64
〈부록 2〉 두음이 유성음인 영어 외래어 65
〈부록 3〉 두음이 무성음인 영어 외래어 66
〈부록 4〉 두음이 모음인 영어 외래어 67
〈부록 5〉 말음이 유성음인 영어 외래어 68
〈부록 6〉 말음이 무성음인 영어 외래어 69
〈부록 7〉 말음이 모음인 영어 외래어 70
〈부록 8〉 이음절 단어 71
〈부록 9〉 삼음절 이상의 단어 72
〈부록 10〉 실험용 시험지 73
〈부록 11〉 정답표 74
〈그림 1〉 두음에 관한 결과 42
〈그림 2〉 말음에 관한 결과 49
〈그림 3〉 음절에 관한 결과 분석 53
〈그림 4〉 음성과 음절의 최종 결과 비교 54
본 연구는 우리가 사용하는 영어 외래어의 국어 규범 표기와 실제 음성과의 차이를 슈와(schwa)를 통해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의 내용은 슈와를 가진 영어 외래어 단어를 가지고 영어 원어민의 실제 음성을 통한 듣기실험을 진행하였다. 100명의 초등, 중등, 고등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미리 녹음된 영어 원어민의 음성을 듣고 들리는 영어 외래어를 한글로 적는 실험이었다. 실험은 총 30개의 영어 외래어로 구성되었고 소요시간은 약 7분 50초였다.
첫 번째로 두음이 비음, 유성 마찰음, 유성 파열음인 외래어 대한 분석에서는 실제 음성의 변화와 슈와 그리고 국어의 단모음 규범 표기가 영어의 실제 음성에서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이 더해져 듣기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두음이 무성 마찰음과 무성 파열음, 모음인 영어 외래어에 대한 분석에서는 슈와와 더불어 국어 표기의 단모음 소리가 실제 영어 음성에서는 장모음 소리로 바뀐 것과 음절의 변화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음이 자음인 영어 외래어보다 두음이 모음인 영어 외래어의 정답률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 말음이 비음, 유성 마찰음, 유성 파열음, 무성 파열음, 모음인 영어 외래어에 대한 부분에서는 어두운-ℓ의 인식과 불파음으로 인한 말음의 변화와 모음의 위치별 슈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음과 마찬가지로 말음에 모음 소리를 가진 영어 외래어의 정답률이 말음이 자음인 영어 외래어보다 더 높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네 번째는 영어 음절을 기준으로 분석한 부분에서는 이음절 단어와 삼음절 이상의 단어에서의 슈와와 음절의 구성에 대하여 비교해보았다. 이 부분에서는 슈와+단모음, 슈와+장모음, 슈와+이중모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음절 구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삼음절 단어보다 이음절 단어의 정답률이 더 높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 영어 외래어 규범 표기와 실제 영어 음성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규범 표기와 실용 표기의 혼용과 교과서 내에 영어 발음기호 명시를 제안하였고 또한, 국어문장을 읽을 때,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하였다. 한편, 문제점에 대한 보완으로 영어 발음기호를 각주나 미주에 명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특정 지역, 100명이라는 특정 인원수에 의한 30개의 제한된 단어만을 사용한 실험연구였음을 밝힌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