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16
1.1. 연구배경 및 문제 16
1.2. 연구목적 및 연구질문 22
1.3. 연구절차 25
1.4. 논문의 구성 27
II. 학문적 배경 30
2.1. 멀티모달리티 연구 30
2.1.1. 멀티모달리티와 주요개념: 모드(mode), 모드 앙상블(mode ensemble), 멀티모달 텍스트(multimodal text) 30
2.1.2. 번역학에서의 멀티모달리티 연구 36
2.1.3. 영상번역에서의 멀티모달리티 연구 41
2.2. 뮤지컬 번역 46
2.2.1. 뮤지컬 제작과 번역 방식 47
2.2.2. 번역학에서의 뮤지컬 연구 53
2.2.3. 뮤지컬 번역의 특수성 62
2.3. 뮤지컬과 멀티모달리티 70
2.3.1. 뮤지컬의 멀티모달 요소 70
2.3.2. 뮤지컬의 모드 앙상블 83
2.3.3. 멀티모달 텍스트로서 뮤지컬 번역시 고려사항 90
2.4. 소결 95
III. 연구방법 98
3.1. 텍스트 분석 98
3.1.1. 분석텍스트 99
3.1.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12
3.2. 인터뷰 설계 118
3.2.1. 인터뷰 구성 118
3.2.2. 인터뷰 실행 126
3.2.3. 인터뷰 결과 분석 방법 128
IV. 텍스트 분석 결과 131
4.1. 가사모드만의 고려사항 132
4.1.1. 의미 132
4.1.2. 프레이징 145
4.1.3. 율격 152
4.1.4. 강세 160
4.1.5. 라임과 리듬 173
4.2. 가사모드와 음악·사운드모드 앙상블 188
4.2.1. 악보(곡)에 가사 입히기 189
4.2.2. 프레이징, 율격과 멜로디의 앙상블 202
4.2.3. 강세와 멜로디의 앙상블 214
4.2.4. 라임, 리듬과 멜로디의 앙상블 223
4.2.5. 가사와 오케스트라 악기음의 앙상블 234
4.3. 가사모드와 안무모드 앙상블 238
4.3.1. 가사와 손동작, 몸짓의 앙상블 239
4.3.2. 가사와 춤동작, 군무의 앙상블 254
4.4. 세 개 이상의 핵심모드 앙상블 267
4.4.1. 가사, 음악, 안무모드의 앙상블 268
4.4.2. 가사, 음악, 무대장치모드의 앙상블 275
4.4.3. 가사, 안무, 무대장치모드의 앙상블 282
4.4.4. 가사, 음악, 안무, 무대장치모드의 앙상블 291
4.4.5. 가사모드 제외 앙상블 298
4.5. 소결: 텍스트 분석 결과 요약 및 번역가 인터뷰 문항 추출 303
V. 번역가 인터뷰 결과 309
5.1. 가사모드만의 고려사항 구체화 309
5.1.1. 의미 309
5.1.2. 프레이징과 율격 312
5.1.3. 강세 314
5.1.4. 라임과 언어유희 315
5.2. 대사모드의 중심의 앙상블 구체화 317
5.2.1. 문화적 요소, 시대적 배경, 등장인물간의 관계 317
5.2.2. 배우의 목소리 톤과 어조 319
5.3. 음악·사운드모드 중심의 앙상블 구체화 320
5.3.1. 멜로디에 가사입히기 321
5.3.2. 가창가능성 323
5.3.3. 오케스트라 또는 배경효과음과의 화합 324
5.4. 안무, 무대장치 중심의 앙상블 구체화 325
5.4.1. 배우의 동선, 동작, 손짓, 시선처리 326
5.4.2. 무대장치와 큐(Cue) 328
5.5. 소결: 인터뷰 분석 결과 요약 및 멀티모달 텍스트로서 뮤지컬 번역시 고려사항 구체화 333
VI. 라이선스 뮤지컬 번역을 위한 가이드라인 337
VII. 결론 및 제언 362
7.1. 연구결과 종합 362
7.2. 모드 앙상블을 고려한 라이선스 뮤지컬 번역 과정 367
7.3. 뮤지컬 번역가의 역할과 나아가야 할 방향 371
7.4.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375
7.5. 연구의의 381
참고문헌 385
ABSTRACT 404
〈표 1〉 뮤지컬 제작방식에 따른 번역 방식 51
〈표 2〉 국내외 주요 뮤지컬 번역 연구 56
〈표 3〉 델라바스티타(1989: 199)가 제시한 영화를 구성하는 기호의 4가지 범주 72
〈표 4〉 스토클(2004: 13)이 제시한 영상매체에서의 핵심모드와 하위모드 네트워크 74
〈표 5〉 뮤지컬의 멀티모달 요소 79
〈표 6〉 뮤지컬의 멀티모달 요소에 기반하여 정리한 뮤지컬 번역시 고려사항 90
〈표 7〉 분석 텍스트 99
〈표 8〉 인터뷰 참여자 정보 121
〈표 9〉 인터뷰 문항 122
〈표 10〉 라이선스 뮤지컬 번역 가이드라인 338
그림 1. 2020년 12월 1일 - 2021년 2월 28일까지의 뮤지컬 전년동기 예매수 비교 16
그림 2. 국내 뮤지컬 번역 연구 흐름 20
그림 3. 연구절차 흐름도 25
그림 4. 창작뮤지컬 『지하철 1호선』의 일본어 자막 48
그림 5. 창작뮤지컬 『김종욱 찾기』의 자막제공방식 49
그림 6. 사례 1 뮤지컬 『드라큘라』 84
그림 7. 뮤지컬의 핵심모드간의 관계 86
그림 8. 뮤지컬의 핵심모드 앙상블(기본형) 87
그림 9. 가사모드 중심의 앙상블 88
그림 10. 뮤지컬의 모드 앙상블(확장형) 89
그림 11. 〈핵심 연구질문 1〉에 대한 개괄 95
그림 12. 뮤지컬 『시카고』 대본화 작업 일부 113
그림 13. 텍스트 분석 과정 115
그림 14. 인터뷰 결과 분석 과정 128
그림 15. 인터뷰 전사 및 정보 추출 방법 129
그림 16. 가사모드-음악·사운드모드 앙상블 188
그림 17. 가사모드-안무모드 앙상블 239
그림 18. 가사-음악·사운드-안무모드 앙상블 268
그림 19. 가사-음악·사운드-무대장치모드 앙상블 275
그림 20. 가사-안무-무대장치모드 앙상블 283
그림 21. 가사-음악·사운드-안무-무대장치모드 앙상블 291
그림 22. 가사모드 제외 앙상블 299
그림 23. 〈핵심 연구질문 2〉에 대한 개괄 303
그림 24. 전체 연구과정 및 흐름 종합 363
그림 25. 〈핵심 연구질문 3〉에 대한 개괄 366
그림 26. 모드 앙상블을 고려한 라이선스 뮤지컬 번역 과정 3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licensed musical as a multimodal text.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present guidelines for translating musical texts into Korean. Specific cor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as a multimodal text? 2) How does musical create meaning as a multimodal text? 3) What guidelines for musical translation are proposed?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nd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proceeds in three stages. The first is literature review. In this stage, musical modes are classified, and considerations for musical translation are presented based on the multimodality approach. Musical modes include song, dialogue, music, choreography, and stage setting, and these modes form a 'mode ensembl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stage is text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how the musical modes specifically interact and create meaning, the script, music, sheet music, and video of the original musical (ST) and the licensed musical (TT) are compared. As a result, the song mode, dialogue mode, music mode, choreography mode, and stage setting mode form an ensemble with various combinations to create a musical message (meaning). Through this text analysis, the considerations for musical translation presented in the first stage are further specified.
In the final stage, interviews with musical translators are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ranslation practitioners, information is obtained in more detail that were not available in the text analysis process. The interview analysis shows that translators recognize that musical has various modes, and as such, translate the musical text in relation to the mode ensemble. Based on the results, the guidelines for the translation of licensed musicals as a multimodal text is completed.
This study has three significances as follows. First, the perspective on the 'text' has been expanded by studying the non-verbal mode, which has been insufficiently studied in Translation Studies. Figures and the guidelines showing the interaction of mode ensemble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an investigation instrument for non-verbal mode analysis.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ranslation Studies in Multimodality Studie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 translational approach to multimodality research by developing an instrument that can analyze multimodal texts by applying theories of Translation Studies. Third, this study shows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e field of Performance & Art and Translation Studies is meaningful. The guidelines derived through text analysis applying the concept of multimodality and translation theory, and interviews with musical translation practitioners are meaningful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Translation Studies, but can also be used academically or practically in the field of Performance & Art.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