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5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5

1.2. 선행 연구 6

1.3. 연구 대상 및 방법 9

2. 인지의미론 및 다의어 11

2.1. 인지의미론 11

2.1.1. 원형 이론 12

2.1.2. 개념적 은유 13

2.1.3. 범주화 14

2.2. 다의어 15

2.2.1. 다의어의 개념 15

2.2.2. 다의어의 의미망 18

3. 한국어 동사 '받다'의 의미 20

3.1. 한국어 동사 '받다'의 사전 뜻풀이 20

3.2. 한국어 동사 '받다'의 원형 의미 27

3.3. 한국어 동사 '받다'의 주변 의미 34

3.3.1. 구체적 대상 35

3.3.2. 추상적 대상 42

4. 한국어 동사 '받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 51

4.1. '받다'의 중국어 직접 대응 표현 51

4.1.1. '받다'의 원형 의미의 중국어 대응 표현 55

4.1.2. '받다'의 주변 의미의 중국어 대응 표현 58

4.2. 한국어 동사 '받다'의 중국어 간접 대응 표현 87

4.2.1. 의역 88

4.2.2. 생략 98

5. 결론 102

참고문헌 104

中文摘要 108

표목차

〈표 1〉 한국어 사전 목록 20

〈표 2〉 '받다'의 한국어 사전 뜻풀이 21

〈표 3〉 서상규(2015:255)에서 제시한 한국어 동사 '받다'의 의미 빈도 29

〈표 4〉 동사 '받다'의 유의어 사전 뜻풀이 33

〈표 5〉 한·중 사전 목록 51

〈표 6〉 한국어 동사 '받다'의 한·중 사전의 뜻풀이 정리 52

〈표 7〉 한국 소설 목록 55

〈표 8〉 한국어 동사 '받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 99

그림목차

〈그림 1〉 다의어의 의미 연쇄 16

〈그림 2〉 '받다'의 대상물이 구체적 대상일 경우의 의미망 42

〈그림 3〉 '받다'의 대상물이 추상적 대상일 경우의 의미망 49

〈그림 4〉 한국어 동사 '받다'의 의미망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