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6

Ⅰ. 서론 7

Ⅱ. 본론 8

A. J. Brahms 「Sonata No.2 in E♭ major Op.120」 8

1. J. Brahms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 8

2. 작품분석 11

B. E. Chausson 「Andante et Allegro for Clarinet and Piano」 35

1. E. Chausson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 35

2. 작품분석 37

C. C. Debussy 「Première Rhapsody for Clarinet and Piano」 54

1. C. Debussy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 54

2. 작품분석 57

Ⅲ. 결론 72

참고문헌 73

ABSTRACT 75

표목차

〈표 1〉 J. Brahms Clarinet Sonata No.2 in E♭ major, Op.120의 상세 분석 11

〈표 2〉 제 1악장의 구조 12

〈표 3〉 제 2악장의 구조 20

〈표 4〉 제 3악장의 구조 26

〈표 5〉 E. Chausson Andante et Allegro의 상세 분석 37

〈표 6〉 Andante의 구조 38

〈표 7〉 Allegro의 구조 46

〈표 8〉 C. Debussy Première Rhapsodie의 상세 분석 57

초록보기

 본 논문은 연구자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 프로그램인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Sonata No.2 in E♭major for Clarinet and Piano Op.120」, 에르네스트 쇼송(Ernest Chausson, 1855~1899)의 「Andante and Allegro for clarinet and piano」,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의「Première Rhapsody」에 관한 연구이다.

요하네스 브람스(J. Brahms 1833-1897)는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고전주의 음악의 요소들을 융합하여 고전주의의 맥을 이은 작곡가이다. 그의 24개의 실내악 작품들 중, 클라리넷을 위한 총 4개 (Op.114, Op.115, Op.120 No,1 및 No.2)의 실내악곡이 있다. 브람스 작품 중 마지막 실내악곡인 이 곡은 그의 창작시기 3기인 1894년에 작곡되었으며, 그의 최만년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성숙함보다 쉽고 간단한 성격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Sonata No.2 in E♭major for Clarinet and Piano Op.120」의 작곡 배경과 악보 분석을 바탕으로 낭만주의와 고전주의를 내포 하고 있는 브람스의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에르네스트 쇼송(E. Chausson, 1855-1899)은 프랑스 작곡가로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남긴 인물이다. 1878년부터 1899년에 걸친 쇼송의 작곡 활동을 총 3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 다룰 작품은 창작 시기 제 1기인 1881년에 작곡된 「Andante and Allegro」이다. 스승인 쥘 마스네(Jules Massenet, 1842-1912)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클라리넷이 지닌 다양한 음역의 화려한 테크닉과 풍부한 음색을 통한 서정적인 표현을 작품에 담아냈다. 본 논문에서는 작곡 당시 배경과 그가 추구한 음악의 방향을 이해하고 연주하기 위해 「Andante and Allegro」를 분석하고자 한다.

클로드 드뷔시(C. Debussy, 1862-1918)는 인상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프랑스 출신의 작곡가이다. 인상주의 음악은 독일의 낭만주의 음악에서 벗어나 새로운 음악적 요소를 첨가한 유연한 작곡기법과 형식을 시도한 장르이다. 「Première Rhapsody」는 1910년에 작곡되었으며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통해 인상주의적인 선율과 화성적인 묘사가 그의 작품활동 후기의 특징 느껴진다. 본 논문에서는 드뷔시가 보여주는 인상주의 음악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연주하기 위해 「Première Rhapsody」의 구조와 음악적 요소들을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