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7

Ⅰ.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9

제2절 연구의 목적 11

Ⅱ. 이론적 논의 12

제1절 참여예술 12

1. 참여예술 정의 12

2. 참여예술 선행연구 고찰 17

제2절 노인우울 19

1. 노인우울 진단 및 증상 19

2. 노인우울 선행연구 고찰 21

제3절 참여예술과 노인 우울 연구의 중요성 23

제4절 체계적 문헌고찰 24

1. 체계적 문헌고찰의 개요 24

2.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동향 25

Ⅲ. 연구 방법 27

제1절 연구의 이론적 틀 27

제2절 연구 질문 28

1. 연구 질문 내용 28

제3절 문헌검색의 기준 및 방법 30

1. 포함기준 30

2. 배제기준 30

3. 문헌검색 방법 30

제4절 문헌의 배제 34

1. 중복 배제 34

2. 제목 및 초록을 이용한 1차 배제 34

3. 전체내용을 이용한 2차 및 3차 배제 34

제5절 문헌 비뚤림 위험평가 36

1. 문헌 비뚤림 위험평가 36

Ⅳ. 연구결과 42

제1절 최종 선정 문헌 특성 42

1. 분석대상 논문의 일반적 특성 42

제2절 참여예술 노인우울 효과 48

1. 미술 48

2. 무용 48

3. 연극 49

4. 음악 49

제3절 참여예술 종속변수 주요 측정영역 54

제4절 참여예술 질적 연구 주제별 범주화 57

Ⅴ. 결론 및 제언 61

제1절 연구결과 요약 61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제언 63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 제안 66

Ⅵ. 참고문헌 68

Ⅶ. 부록 82

ABSTRACT 85

표목차

〈표 2-1〉 참여예술(participatory art) 정의 13

〈표 2-2〉 예술형식과 그 예 14

〈표 2-3〉 참여수준에 따른 예술 활동 15

〈표 3-1〉 PICO-SD 28

〈표 3-2〉 국내 문헌 검색전략 31

〈표 3-3〉 해외 문헌 검색전략 32

〈표 3-4〉 비무작위 연구의 각 평가도구별 주요 비뚤림 영역 38

〈표 4-1〉 분석대상 논문 일반적 특성 44

〈표 4-2〉 참여예술 장르별 노인 우울 효과 51

〈표 4-3〉 참여예술 종속변수에 따른 영역 55

〈표 4-4〉 참여예술 질적 연구 주제별 범주화 60

그림목차

〈그림 2-1〉 예술기반 4차원 접근법 16

〈그림 3-1〉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흐름도 27

〈그림 3-2〉 PRISMA Flow chart 35

〈그림 3-3〉 RCT 6편 문헌에 대한 비뚤림 위험평가 결과 37

〈그림 3-4〉 RCT 6편 문헌에 대한 비뚤림 위험평가 결과 막대그래프 37

〈그림 3-5〉 ROBINS-I 비무작위 연구 12편 비뚤림 위험평가 결과 39

〈그림 3-6〉 ROBINS-I 비무작위 연구 12편 비뚤림 위험평가 결과 막대그래프 39

〈그림 3-7〉 MMAT 혼합연구 3편 포함 최종 선정 18편 비뚤림 위험평가표 41

초록보기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한 초고령화 사회의 진입을 앞둔 시점에서 개인적인 문제였던 노인성 질환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인의 우울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하여, 노년기 일반적 정신건강 중 하나인 노인 우울을 참여예술이라는 예술적 접근을 통해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증거기반 연구인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예술의 노인 우울 효과에 관한 최신 근거를 마련하고 종합하여, 참여예술의 노인 우울 중재방안의 기초자료와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참여예술(글쓰기, 미술, 무용, 연극, 음악)의 노인 우울 효과를 포함하는 국내외 논문에 대해 2014년에서 2021년 8월까지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에 대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의 절차를 따라, 연구 질문(PICO-SD)을 선정하고 참여예술과 노인 우울과 관련된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사이트인 EBSCOhost (Medline), Embase,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DBpia, KISS, RISS를 이용해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된 총 446편의 문헌 중에서 문헌배제 과정을 통해 428편을 배제하고 최종 18편의 논문을 선정한 후, 최종 선정된 논문 18편 대상으로 문헌 비뚤림 위험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예술과 노인 우울 관계를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참여예술의 노인 우울 효과가 있는 10편, 노인 우울 효과의 근거가 약한 3편과 노인 우울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4편, 노인 우울 효과를 참여요소와 인구학적 요인을 구분하여 연구된 1편의 연구에서는 가설에 따라 효과의 유무가 달랐다. 이를 통해 참여예술이 노인 우울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나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 외 연구 결과에서 총 18편 중 3편의 혼합방법에서 질적 연구를 분석한 결과, 참여예술은 삶에 대한 만족감과 활력을 얻었으며,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져다주었으며,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우정을 쌓을 수 있는 사회적 연결의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참여예술과 노인과 관련하여 인지 영역, 신체 영역, 정신건강 영역, 사회적 영역, 웰빙과 삶의 질 영역의 다양한 차원에서 노인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참여예술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개념화된 참여예술의 정의에 따라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 문헌고찰 함으로써 참여예술과 노인 우울 효과에 대한 최신 근거를 제공했으며, 국내 참여예술과 노인 우울의 연구 활성화의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노인 우울에 대한 참여예술의 장르별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연구가 시도될 수 있기를 바라며, 비약물적 접근으로써의 노인 우울에 대한 참여예술 프로그램 확대와 더불어 창의적 노화(Creative Aging)의 방안으로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