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4
1. 연구 필요성과 의의 14
2. 연구 목적 16
3. 연구 범위 및 방법 16
4. 연구 기대 효과 19
II.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과 직물산업 20
1. 시대적 배경 20
1)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20
2) 임오군란(壬午軍亂) 23
3) 갑신정변(甲申政變) 25
2. 의제개혁의 내용과 특징 27
1) 군복(軍服) 27
2) 관복(官服) 32
3. 의제개혁과 직물산업 39
III. 갑오·을미의제개혁(甲午·乙未衣制改革)과 직물산업 50
1. 시대적 배경 50
1) 청일전쟁(淸日戰爭) 50
2) 갑오개혁(甲午改革) 52
3) 아관파천(俄館播遷) 55
2. 의제개혁의 내용과 특징 57
1) 군복(軍服) 57
2) 관복(官服) 70
3. 의제개혁과 직물산업 77
IV. 대한제국의제개혁(大韓帝國衣制改革)과 직물산업 85
1. 시대적 배경 85
1) 광무개혁(光武改革) 85
2) 러일전쟁(露日戰爭) 87
3) 을사늑약(乙巳勒約) 88
2. 의제개혁의 내용과 특징 89
1) 군복(軍服) 89
2) 관복(官服) 99
3. 의제개혁과 직물산업 108
V. 결론 및 제언 114
참고문헌 121
Abstract 128
〈그림 1〉 구군복(具軍服) 28
〈그림 2〉 별기군복(別技軍服) 29
〈그림 3〉 신건친군복(新建親軍服) 31
〈그림 4〉 문무관의 상복(常服) 32
〈그림 5〉 갑신의제개혁 이전과 이후의 사복(私服) 35
〈그림 6〉 참위의 정장과 상장(參尉正裝, 參尉常裝) 62
〈그림 7〉 포도대장(捕盜大將) 63
〈그림 8〉 포도군사(捕盜軍士) 63
〈그림 9〉 대한제국의제개혁의 군복 예복(禮服) 92
〈그림 10〉 대한제국의제개혁의 군복 상의(常衣)와 수장(袖章) 92
〈그림 11〉 대한제국의제개혁의 군복 바지(袴) 93
〈그림 12〉 대한제국의제개혁의 군복 외투(外套)와 수장(袖章) 93
〈그림 13〉 대한제국의제개혁의 경관복 바지(袴) 97
〈그림 14〉 대한제국의제개혁의 관복 대례복(大禮服) 조끼와 바지(袴) 105
〈그림 15〉 대한제국의제개혁의 관복 소례복(小禮服) 107
〈그림 16〉 대한제국의제개혁의 관복 상복(常服) 107
본 연구는 19세기 말 시행되었던 네 차례 의제개혁(衣制改革)과 각 시기별 국내 직물산업 변화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해당 시기 의제개혁과 직물산업의 변화는 국가의 근대화정책에 의해 나타난 공통적인 결과였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근대사를 다루었던 선행연구에서는 복식사, 직물사, 경제사 등 각 분야에서 분리되어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말 시행되었던 네 차례 의제개혁의 시대적 배경과 각 의제개혁의 내용과 특징, 해당 시기 직물산업의 현황과 변화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19세기 말 의제개혁에 따른 직물산업 변화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의제개혁에 관한 공식 기록이 수록된 문헌자료와 의제개혁과 연관된 직물산업 관련 기록 자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세기 말은 영국과 프랑스 등 유럽국가 중심의 산업혁명으로 직물산업이 발달하였던 시기로 산업혁명을 이루었던 자본주의 국가는 원료공급지와 판매시장 확대를 위해 아시아로 진출하였다. 조선은 국내외적으로 이러한 영향을 받으며 개항하게 되었다. 개항 이후 조선 내에서는 국제 정세의 변화, 각국의 이해관계 등의 영향 아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다양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격변의 시간을 겪었다. 그중 일찍이 근대문물을 접하였던 개화파에 의해 의제개혁을 골자(骨子)로 국가근대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에서는 임오군란으로 청의 영향이 확장됨에 따라 군복(軍服)이 청군화(淸軍化)되었고 청군의 의제를 모방한 군복 제도에서는 모직물을 군복의 주소재로 사용하여 모직물 수입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론된다. 관복(官服)은 흑단령(黑團領)으로 통일하되 흉배(胸背)로 문무관(文武官)을 구별하였고 소재도 유문흑사(有紋黑紗)와 무문흑주(無紋黑紬)로 통일하는 등 관복을 간소화하였으며 사복(私服)도 포류(袍類)를 간소화하여 주의(周衣)를 입도록 하였다. 관복의 주소재는 견직물이 사용되었고 사복의 주소재는 견직물과 면직물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관복과 사복의 간소화는 국내산 견직물 수요의 증가로 인해 견직물 수출이 감소하였고 수입 면직물과 견직물도 소재로 사용되어 면직물, 견직물 수입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당시 시행되었던 잠업진흥정책(蠶業振興政策)도 견직물 수출에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복과 사복의 간소화는 의복 소재에 대한 사치풍조를 발생시키면서 수입 견직물 사용의 증가로 견직물 수입 증가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유추된다.
갑오의제개혁(甲午衣制改革)에서는 청일전쟁 이후 승리한 일본의 영향으로 갑오개혁이 시행되면서 갑신정변으로 중단되었던 관복과 사복의 간소화가 다시 시행되었다. 이 시기에는 예복제도가 도입되어 대례복(大禮服)으로 흑단령이 규정되었고 통상예복(通常禮服)으로 주의와 답호(褡穫)를 국내산 견직물로 제작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의제개혁으로 국내산 견직물의 국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견직물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어진 을미의제개혁(乙未衣制改革)에서는 군복과 경무청(警務廳) 창설에 따른 경관복(警官服)에서 모자(帽), 상의(上衣), 바지(袴), 외투(外套) 등으로 구성된 서구식 의제가 도입되었다. 군복에 서구식 의제가 도입되면서 군복의 주소재는 흑융(黑絨), 흑나사(黑羅紗) 등이 사용되었고 경관복에는 농감융(濃紺絨) 등이 주소재로 사용되었다. 관복은 흑단령, 사모(紗帽), 대(帶), 화(靴)로 구성된 대례복과 흑반령(黑盤領) 착수포(窄袖袍)와 사모, 대, 화로 구성된 소례복(小禮服), 주의, 답호, 사대(絲帶)로 구성된 통상복색(通常服色)이 규정되었고 주의가 관원과 일반 백성의 구분 없이 흑색류(黑色類)로 통일되어 간소화되었다. 또한 일반 백성들에게 단발령(斷髮令)이 공포되었고 서구식 의복제도가 허용되었다. 근대적인 예복체제를 도입하였던 관복과 군복, 경관복의 서구화, 단발령 및 서구식 의제 허용은 면직물, 견직물, 모직물 수입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유추된다.
대한제국의제개혁(大韓帝國衣制改革)에서는 고종의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이 선포되면서 군제가 재정비되었으며 이전에는 단일 군복이었던 군복이 예복과 상복(常服)으로 구분되어 규정되었고 상장(常奬)과 하사(下士)의 군복 규정, 하사 이하 계급의 군복 규정이 추가되어 개정(改正)되었다. 군복의 주소재는 흑융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이전에는 예복 규정이 없었던 경관복에 예복 규정이 새롭게 제정되었다. 이후 경무청이 경부(警部)로 독립되면서 예복과 상복(常服)에 대한 규정이 개정되었고 경부의 계급이 경무청의 계급보다 세분화되면서 의제의 규정도 세분화되었다. 경관복의 주소재로는 농감융이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는 관복, 즉문관복(文官服)에 대례모(大禮帽), 대례의(大禮衣), 조끼, 대례바지(大禮袴)로 구성된 대례복과 진사고모(眞絲高帽)와 구제연미복(敺制燕尾服), 조끼, 바지로 구성된 소례복, 통상모(通常帽, 중산모자[中山帽子]), 통상의(通常衣, 색코트[sack coat]), 조끼, 바지로 구성된 상복(常服)으로 나누어진 서구식 의제가 도입되었다. 대례복의 주소재는 심흑감나사(深黑紺羅紗)와 연청색나사(軟靑色羅紗) 등이 사용되었고 소례복과 상복의 주소재는 면직물, 견직물, 모직물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군복, 경관복 규정의 개정과 문관복의 서구화는 면직물, 견직물, 모직물 수입 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의제개혁이 진행되는 동안 잠업진흥정책이 계속해서 시행되면서 견직물 수출 증가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19세기 말 의제개혁은 단순한 서구식 의제의 도입을 넘어 국내외 상황, 각국과의 외교와 이해관계 등 정치, 경제적 상호관계가 반영되어 나타났던 개혁이었다. 일련의 의제개혁이 시행되면서 관복, 사복, 군복, 경관복은 간소화 과정을 거쳐 서구화되었고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직물들이 소재로 규정되어 사용되었다. 의제개혁으로 의복의 서구화가 진행되기 이전, 즉 갑신의제개혁과 갑오의제개혁 시기에는 의복의 주소재로 면직물과 견직물이 사용되면서 의제개혁이 면직물, 견직물의 수출입 변화에 영향을 주었고 의복의 서구화 이후, 즉 을미의제개혁과 대한제국의제개혁 시기에는 의제개혁이 서구식 의복과 관련된 면직물, 견직물, 모직물 등의 수입 증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당시 국내 직물산업의 수출입 데이터를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의제개혁이 국내 직물산업 변화에 한 요인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발간된 19세기 말 직물산업 변화와 국내외 시대적 상황에 관한 자료를 참고한 연구, 의제개혁과 관련된 계급별 의복 유형 변화에 관한 연구, 조선해관(朝鮮海關)의 통계 자료와 일본에서 발간된 조선 산업 자료 등을 참고하는 연구, 의복 이외에도 부속품과 잡화 등에 대한 연구 등 의제개혁과 직물산업에 대한 복합적인 연구를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하여 19세기 말 의제개혁과 직물산업 그리고 의생활 문화 등의 관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