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ABSTRACT
목차
I. 서론 13
1. 연구배경 및 목적 13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6
1. 상사의 코칭 행동 16
2. 상사의 코칭행동과 가상업무 적응성의 관계 18
가. 가상업무 적응성(Virtual work adjustment) 18
나. 상사의 코칭행동과 가상업무 적응성의 관계 19
3.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 22
가. 실재감의 개념 22
나.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 22
다. 사회적 실재감의 구성요인 23
라. 사회적 실재감과 가상업무 적응의 관계 24
마.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 26
4. 교육 몰입(Learning Flow) 29
가. 몰입(Flow) 29
나. 교육 몰입(Learning Flow) 30
다. 교육 몰입과 가상업무 적응성의 관계 31
라. 교육 몰입의 매개효과 32
마. 사회적 실재감과 교육몰입의 매개효과 33
III. 연구 방법 36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6
2. 측정 도구 36
가. 상사의 코칭행동 36
나. 사회적 실재감 37
다. 교육 몰입 37
라. 가상업무 적응성 37
3. 분석 방법 38
IV. 연구결과 39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9
2.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39
가. 상사의 코칭행동의 요인분석 결과 40
나. 사회적 실재감의 요인분석 결과 41
다. 교육몰입의 요인분석 결과 42
라. 가상업무 적응성 요인분석 결과 43
2.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44
3. 연구가설 검증 46
가. 연구모형 검증 46
나.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한 매개모형 검증 48
V. 논의 52
1. 연구 결과 요약 52
2. 연구의 시사점 54
3.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56
VI. 참고 문헌 58
VII. 부록 70
표 1. 가설 요약 35
표 2. 인구통계학적 특성 39
표 3. 상사의 코칭행동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1
표 4. 사회적 실재감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2
표 5. 교육몰입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3
표 6. 가상업무 적응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3
표 7. 기술통계 및 상호상관 45
표 8. 다중매개모형 검증결과 47
표 9. 측정모형 적합도 48
표 10. 구조모형 적합도 49
표 11. 다중매개 구조모형 분석 결과 50
표 12. 다중매개 효과 검증 결과 50
표 13. 가설검증 결과 요약 51
그림 1. 연구모형 35
그림 2. 연구모형의 표준화 회귀계수 47
COVID-19 상황으로 인해 재택근무, 비대면 교육 등 이전에는 주저하던 기술을 이용한 업무 환경이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들로 인해 이전의 대면 상호작용이 제한되는 가운데, 신입사원이 적응하는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조직 내부 상사의 행동이 가상업무 환경에서도 적응의 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았으며, 이 과정에서 교육의 역할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업무와 비대면 교육 경험이 있는 재직기간 만 3년 이내의 신입사원 26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와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코칭행동은 신입사원의 가상업무 적응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사회적 실재감 및 교육 몰입을 매개하여 가상업무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즉, 상사가 신입사원에게 코칭행동을 할수록 신입사원이 교육 과정에서 느끼는 타인의 존재에 대한 지각인 사회적 실재감이 향상되며, 이는 교육 상황에서의 내재적 동기를 높여 교육 과정에 더욱 몰입하도록 한다. 또한 교육에 몰입할수록 교육 과정을 더 잘 학습하게 되며 이는 가상업무 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이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