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제2장 대상 및 방법 10

제3장 결과 12

제4장 고찰 14

제5장 결론 18

참고문헌 26

국문초록 29

영문초록 31

표목차

Table 1. The patients' characterics 19

Table 2.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ccording to surgical method 20

Table 3. The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 21

Table 4. The risk factor of APR operation 22

Table 5. The anastomosis disaster in Sphincter-preservation 22

Table 6. The details of anastomosis disaster 23

Table 7. The sub-analysis for anastomosis disaster in stapled method 24

그림목차

그림 1. Patients' demographics 25

초록보기

배경: 최소 침습 수술은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직장암에서 괄약근 보존 수술의 가능성을 확장시킨다. 그러나, 하부 직장암에서는 복회음절제술(APR)이 여전히 환상절제연(CRM)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골반강의 복잡한 해부 구조는 치료 선택지에 따라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하부 직장암에서 로봇 수술과 복강경 수술의 단기 수술 결과를 비교하고 합병증 및 괄약근 보존의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14 년부터 2020 년까지 항문연 5cm 미만의 하부 직장암으로 수술받은 148 명의 환자에 대해 전향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임상적으로 연관된 혈액검사, 유전자형 검사 및 임상자료를 조사하였다. 최소 침습 수술(복강경 수술(LS) 및 로봇 수술(RS)로 치료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군 간의 단기적 수술 후 결과, 개복 전환율 및 APR 전환율을 비교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 및 문합부 실패에 대해 위험인자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중 스테이플링 방법 수술에서 CAA 또는 APR 로 전환하거나 항문 보존 술기 이후 문합부 합병증이 발생된 경우 문합부 실패로 정의하였다.

결과: LS 환자군 (n = 100)과 RS (n = 48)은 약물력, 수술 전 CEA 수치, 수술전항암방사선(nCRT), cTNM 병기 등 기타 특성이 잘 매칭되었다. 두 그룹 간의 합병증의 Clavien-Dindo 분류, 확보 림프절 개수, 근위절제연(PRM), CRM 침범 여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LS 그룹에서는 APR 수술 비율이 더 높았고, (54% vs. 14.7%, p = 0.01) 원위절제연(DRM)은 더 많이 확보하였다 (3.59cm vs. 2.43cm, p = 0.01). 개복 전환율에 있어서는 두 군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APR 전환율은 LS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9.3% vs. 0%, p = 0.04). 다변량 분석에 따르면 APR은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OR: 3.86, 95% CI, 1.70-8.72, p =.001). 문합부 실패는 총 11 건 있었으며, 이는 항문 보존 술식 중 12.5%에서 발생하였다. 스테이플링 수술에서 문합부 실패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는 NCRT, cT4N+ 및 항문연 3cm 미만의 종양이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복강경 수술과 로봇 수술은 모두 항문연에서 5cm 미만의 직장암 수술에 있어 안정적인 수술로 여겨진다. 두 그룹 사이에 수술후 결과에는 차이가 없다. 최소침습 수술에서도 APR 에서 감염 합병증이 나타나는 비율이 높았다. 하부 직장암에서 문합부 합병증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nCRT 또는 nT4N+ 환자에서 CAA 수술이 고려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