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제2장 대상 및 방법 10
제3장 결과 12
제4장 고찰 14
제5장 결론 18
참고문헌 26
국문초록 29
영문초록 31
그림 1. Patients' demographics 25
배경: 최소 침습 수술은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직장암에서 괄약근 보존 수술의 가능성을 확장시킨다. 그러나, 하부 직장암에서는 복회음절제술(APR)이 여전히 환상절제연(CRM)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골반강의 복잡한 해부 구조는 치료 선택지에 따라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하부 직장암에서 로봇 수술과 복강경 수술의 단기 수술 결과를 비교하고 합병증 및 괄약근 보존의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14 년부터 2020 년까지 항문연 5cm 미만의 하부 직장암으로 수술받은 148 명의 환자에 대해 전향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임상적으로 연관된 혈액검사, 유전자형 검사 및 임상자료를 조사하였다. 최소 침습 수술(복강경 수술(LS) 및 로봇 수술(RS)로 치료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군 간의 단기적 수술 후 결과, 개복 전환율 및 APR 전환율을 비교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 및 문합부 실패에 대해 위험인자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중 스테이플링 방법 수술에서 CAA 또는 APR 로 전환하거나 항문 보존 술기 이후 문합부 합병증이 발생된 경우 문합부 실패로 정의하였다.
결과: LS 환자군 (n = 100)과 RS (n = 48)은 약물력, 수술 전 CEA 수치, 수술전항암방사선(nCRT), cTNM 병기 등 기타 특성이 잘 매칭되었다. 두 그룹 간의 합병증의 Clavien-Dindo 분류, 확보 림프절 개수, 근위절제연(PRM), CRM 침범 여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LS 그룹에서는 APR 수술 비율이 더 높았고, (54% vs. 14.7%, p = 0.01) 원위절제연(DRM)은 더 많이 확보하였다 (3.59cm vs. 2.43cm, p = 0.01). 개복 전환율에 있어서는 두 군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APR 전환율은 LS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9.3% vs. 0%, p = 0.04). 다변량 분석에 따르면 APR은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OR: 3.86, 95% CI, 1.70-8.72, p =.001). 문합부 실패는 총 11 건 있었으며, 이는 항문 보존 술식 중 12.5%에서 발생하였다. 스테이플링 수술에서 문합부 실패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는 NCRT, cT4N+ 및 항문연 3cm 미만의 종양이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복강경 수술과 로봇 수술은 모두 항문연에서 5cm 미만의 직장암 수술에 있어 안정적인 수술로 여겨진다. 두 그룹 사이에 수술후 결과에는 차이가 없다. 최소침습 수술에서도 APR 에서 감염 합병증이 나타나는 비율이 높았다. 하부 직장암에서 문합부 합병증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nCRT 또는 nT4N+ 환자에서 CAA 수술이 고려될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