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제1장 서론 15
제2장 반옥량(潘玉良)의 시대와 생애 18
제1절 상해미전 수학기(1895-1921) 18
제2절 프랑스와 이탈리아 유학기(1921-1928) 24
제3절 상해(上海) 활동기(1928-1937) 27
제4절 프랑스 정착기(1937-1977) 40
제3장 반옥량의 작품과 시기별 특징 48
제1절 유럽 유학기(1921-1928) 48
제2절 상해 활동기(1928-1937) 52
제3절 프랑스 정착기(1937-1977) 65
1) 모더니즘의 발현(1937-1950) 67
2) 중서융합의 실현(1950-1977) 80
제4장 결론 88
참고문헌 91
도판 96
Abstract 115
圖 1. 『부녀잡지(婦女雜誌)』에 실린 반옥량 사진 96
圖 2. '潘世秀'란 이름으로 등재된 1920년 상해미전 입학 등록부 96
圖 3. 반찬화(潘贊化, 1885-1959) 96
圖 4. 진독수(陳獨秀, 1879-1942) 96
圖 5. 陳獨秀가 창간한 『신청년(新靑年)』 표지 96
圖 6. 홍야(洪野, 1886-1932) 96
圖 7. 1928년 수여된 이탈리아 로마 왕립 미술학원 졸업 증서 97
圖 8. 「서양화 실습 교실 규칙 (西洋畵實習敎室規則)」, 1928년 9월 8일 상해미전 1학기 제 1차 교무회의 통과 안건 97
圖 9. 소설림 문집 『청조집(青鳥集)』, 1938 97
圖 10. 『婦女雜誌』 1929년 7월 제 15호 표지 97
圖 11. 『婦女雜志』에 수록된 반옥량의 「나의 파스텔화 학습과정(我習粉筆晝的經過談)」, 1929년 97
圖 12. 『潘玉良油畵集』, 上海中華書局, 1934년 97
圖 13. 장대천(張大千, 1899-1983) 97
圖 14. 潘玉良, 〈머리를 숙인 채 뒤돌아선 여인(俯首背女人體)〉 , 1937년, 종이에 수묵, 45x27cm, 安徵省博物館 98
圖 14-1. 潘玉良, 〈머리를 숙인 채 뒤돌아선 여인(俯首背女人體)〉 제발 세부 98
圖 15. 潘玉良, 〈옆으로 뒤돌아 누운 여인(側臥女人背體)〉, 1937년, 종이에 수묵, 26x46cm, 安徽省博物館 98
圖 15-1. 潘玉良, 〈옆으로 뒤돌아 누운 여인(側臥女人背體)〉 제발 세부 98
圖 16. 潘玉良, 〈옆으로 앉은 여인(側座女人體)〉, 1937년, 종이에 수묵, 24.5x32cm, 安徽省博物館 98
圖 16-1. 潘玉良, 〈옆으로 앉은 여인 (側座女人體)〉 제발 세부 98
圖 17. 1946년 파리 에콜 데 보자르에서 개최된 〈중국류법예술학회 회원작품전람회(中國留法藝術學會 會員作品展覽會)〉 정경 99
圖 18. 1959년 4월 26일 파리 시장으로부터 받은 프랑스 파리대학의 '도레(Dorre) 상' 수상 장면 99
圖 19. 〈장대천흉상(張大千胸像)〉, 1958, 46x39x22cm, Musée d'Art Moderne de Paris 99
圖 20. 〈르네 그루세 두상〉, 1954, 55.5x42x35cm, Musée Cernuschi 99
圖 21. 〈몬테소리 두상〉, 1958, 40x30cm, 프랑스 국립 교육원 99
圖 22. 1963년 뉴욕 화미협진회에서 진행된 반옥량 개인전 리플렛 99
圖 23. 1977년 파리 세누시 미술관에서 진행된 4인 화가 단체전 표지 99
圖 24. 張大千, 〈백감도(百感圖)〉, 1956년, 종이에 수묵담채, 52x38cm, 安徽省博物館 100
圖 25. 潘玉良, 〈반려묘(豢貓)〉, 1956년, 종이에 수묵채색, 122.5x50cm, 安徽省博物館 100
圖 26. 潘玉良, 〈홍작약(紅芍藥)〉, 1960년, 종이에 수묵채색, 132x65cm, 安徽省博物館 100
圖 27. 潘玉良, 〈붓을 든 자화상(執筆自畵像)〉, 1924년, 캔버스에 유화, 56x41cm, 개인소장 100
圖 28. 蔡威廉, 〈자화상(自畵像)〉, 캔버스에 유화, 『婦女雜志』 1929년 제 15권 7호 100
圖 29. 孫多慈, 〈자화상(自畵像)〉, 1935년, 캔버스에 유화 100
圖 30. 潘玉良, 〈프랑스 소녀(法國少女)〉, 1926년, 캔버스에 유화, 『潘玉良油畫集』, 1934년 101
圖 31. 潘玉良, 〈호주가(酒徒)〉, 1927년, 캔버스에 유화, 50x33cm, 이탈리아 국가미술관 101
圖 32. 1929년 발간된 『진미선(真美善』 잡지에 실린 반옥량이 〈호주가〉 모델과 함께 찍은 사진 101
圖 33. 潘玉良, 〈흑인 여자(黑女)〉, 1927년, 캔버스에 유화, 33x24cm 101
圖 34. 潘玉良, 〈자화상(自畵像)〉, 1928년, 캔버스에 유화, 『潘玉良油晝集』, 1934년 101
圖 35. 潘玉良, 〈나의 가정(我的家庭)〉, 1931년, 캔버스에 유화, 60x50cm, 중국 국가예술관 101
圖 35-1. 〈나의 가정〉의 구도 101
圖 36. Diego Rodriguez Velasquez, 〈시녀들(Las Meninas)〉, 1656년, 캔버스에 유화, 316x276cm, 프라도 미술관 102
圖 37. 潘玉良, 〈고영(顧影)〉, 1929년, 파스텔화, 『婦女雜志』 1929년 第 15卷 7號 102
圖 38. 1929년 발간된 『婦女雜志』 첫머리 채색도판으로 인쇄된 〈고영(顧影)〉 102
圖 39. 潘玉良, 〈봄(榮)〉, 1930년, 캔버스에 유화, 65x81cm, 『文華』 제 3호, 1930년 102
圖 40. Henri Matisse, 〈춤 II(Dance II)〉, 1910년, 캔버스에 유화, 260x391cm, 에르미타주 미술관 102
圖 41. Paul Cézanne, 〈Still Life with Apples and Oranges(사과... 102
圖 42. 潘玉良, 〈사찰(寺廟)〉, 1934년, 캔버스에 유화, 44x53cm, 安徽省博物館 103
圖 43. 潘玉良, 〈구룡교의 풍경(九龍橋之風景)〉, 1935년, 캔버스에 유화, 46cmx54cm, 安徽省博物館 103
圖 44. 潘玉良, 〈남경 부자묘(南京夫子廟)〉, 1937년, 캔버스에 유화, 55x72cm, 安徽省博物館 103
圖 45. 潘玉良, 〈누워있는 여인(臥姿女人體)〉, 연대 불명, 종이에 연필, 28x45cm, 安徽省博物館 104
圖 46. 潘玉良, 〈서있는 여인(站姿女人體)〉, 연대 불명, 종이에 연필, 46x28.5cm, 安徽省博物館 104
圖 47. 潘玉良, 〈서있는 여인(站姿女人體)〉, 연대 불명, 종이에 연필, 45x28cm, 安徽省博物館 104
圖 48. 潘玉良, 〈반찬화의 초상(潘贊化像)〉, 1937년, 종이에 수묵, 50x33cm, 가족 소장 104
圖 48-1. 潘玉良, 〈반찬화의 초상(潘贊化像)〉 제발 세부 104
圖 49. 潘玉良, 〈학살(屠殺)〉, 1940년, 캔버스에 유화, 37x46cm, 安徽省博物館 105
圖 50. Pablo Ruiz Picasso, 〈게르니카(Guernica)〉, 1937년, 캔버스에 유화, 349.3x776.6cm, 레이나 소피아 국립 미술관 105
圖 51. 潘玉良, 〈카드게임을 하는 남자들(玩牌圖)〉, 1940년, 캔버스에 유화, 46x55cm, 安徽省博物館 105
圖 52. 〈교외의 목장(郊外牧牛)〉, 1940년, 캔버스에 유화, 46x54cm, 安徽省博物館 105
圖 53. 潘玉良, 〈돼지 떼(猪群)〉, 1940년, 캔버스에 유화, 45x55cm, 安徽省博物館 105
圖 54. 潘玉良, 〈잠자는 여인(舒坦)〉, 1941년, 캔버스에 유화, 59x90cm, 安徽省博物館 106
圖 54-1. 潘玉良, 〈잠자는 여인(舒坦)〉 캔버스에 난 칼자국 세부 106
圖 54-2. 2004년 캔버스 뒤판에 발견된 글귀 106
圖 55. Amedeo Modigliani, 〈베개에 기댄 나부(Nude Female on the Bed)〉 1917년, 캔버스에 유화, 66x96cm 106
圖 56. 潘玉良, 〈검은 치파오를 입은 자화상(黑衣自畫像)〉, 1940년, 캔버스에 유화, 90x64cm, 安徵省博物館 106
圖 57. 반옥량과 왕수의, 사진 오른쪽이 왕수의 106
圖 58. 潘玉良, 〈빨간 치파오를 입은 자화상(紅衣自畵像)〉, 1940년, 캔버스에 유화, 90x64cm, 安徽省博物館 107
圖 58-1. 〈빨간 치파오를 입은 자화상〉의 세부 107
圖 59. 반옥량 사진 107
圖 60. 潘玉良, 〈창가에 앉은 자화상(自畵像)〉, 1945년, 캔버스에 유화, 73x59cm, 安徽省博物館 107
圖 61. 潘玉良, 〈자화상(自畵 像)〉, 1947년, 캔버스에 유화, 45x37cm, 安徽省博物館 107
圖 62. 潘玉良, 〈취한 자화상(醉酒的自画像)〉, 1949년, 캔버스에 유... 107
圖 63. 潘玉良, 〈두 여인(黑白雙女人體)〉, 1939년, 캔버스에 유화, 73x53cm, 安徽省博物館 108
圖 64. Edouard Manet, 〈올랭피아(Olympia)〉, 1863년, 캔버스에 유화, 130х190cm, 파리 오르세 미술관 108
圖 65. 潘玉良, 〈부채를 쥔 여인 (犱扇女人體)〉, 1940년, 캔버스에 유화, 90x59cm, 安徵省博物館 108
圖 66. 潘玉良, 〈국화와 여인(菊花與女人體)〉, 1940년, 캔버스에 유화, 91x72.2cm, 安徵省博物館 108
圖 67. 潘玉良, 〈창문 앞의 여인(窗前女人體)〉, 1946년, 캔버스에 유화, 24x33cm, 安徽省博物館 108
圖 68. 潘玉良, 〈거울 앞의 여인(鏡前坐人體)〉, 1946년, 캔버스에 유화, 120cmx78cm, 1946, 안휘성박물관 108
圖 69. 潘玉良, 〈버티며 앉은 여인 (撐坐女人體)〉, 1938년, 종이에 담채, 23.5x43cm, 安徽省博物館 109
圖 69-1. 潘玉良, 〈버티며 앉은 여인(撐坐女人體)〉 제발 세부 109
圖 70. 潘玉良, 〈기대앉은 여인(靠坐女人體)〉, 1938년, 종이에 수묵, 25x42cm, 安徵省博物館 109
圖 70-1. 潘玉良, 〈기대앉은 여인(靠坐女人體)〉 제발 세부 109
圖 71. 潘玉良, 〈뒤돌아 엎드린 여인(背坐趴伏女人體)〉, 1938년, 종이에 담채, 32x24cm, 安徵省博物館 110
圖 71-1. 潘玉良, 〈뒤돌아 엎드린 여인(背坐趴伏女人體)〉 제발 세부 110
圖 72. 潘玉良, 〈비스듬히 누워있는 여인(半躺女人體)〉, 1938년, 종이에 담채, 26.5x42.5cm, 安徵省博物館 110
圖 72-1. 潘玉良, 〈비스듬히 누워있는 여인(半躺女人體)〉, 1938년, 종이에 담채, 26.5x42.5cm, 安徽省博物館 110
圖 73. 潘玉良, 〈비스듬히 누워있는 여인(半躺女人體)〉, 1938년, 종이에 담채, 26.5x42.5cm, 安徵省博物館 110
圖 73-1. 潘玉良, 〈뒤돌아 비스듬히 누운 여인(半躺女人背體)〉 제발 세부 110
圖 74. 潘玉良, 〈귓속말(別 說了)〉, 1952년, 종이에 수묵채색, 92cmx69cm, 安徽省博物館 111
圖 75. 潘玉良, 〈빗질하는 여인(梳發女人體)〉, 1963년, 종이에 수묵채색, 90cmx64cm, 安徽省博物館 111
圖 76. Edgar De Gas, 〈머리를 빗는 여인(Woman Combing Her Hair)〉, 1885년, 캔버스에 유화, 개인소장 111
圖 77. 潘玉良, 〈거울을 보는 여자(照鏡的女人)〉, 1954년, 종이에 수묵채색, 90x64cm, 安徵省博物館 111
圖 78. 潘玉良, 〈화장하는 여자(梳妝女)〉, 1961년, 종이에 수묵채색, 91x65cm, 安徵省博物館 111
圖 79. 潘玉良, 〈모자의 정(母子情)〉, 1958, 종이에 수묵채색, 79cmx64cm, 安徵省博物館 111
圖 80. 潘玉良, 〈모성애(母愛)〉 1958, 종이에 수묵채색, 80cmx107cm, 安徽省博物館 111
圖 81. 潘玉良, 〈해수욕(海濱樂)〉, 1959년, 종이에 수묵채색, 94x177cm, 安徽省博物館 112
圖 81-1. 潘玉良, 〈다섯명의 여인(五女人體)〉, 연대 불명, 종이에 연필, 70x99cm, 安徽省博物館 112
圖 81-2. 潘玉良, 〈서있는 여인(站姿女人體)〉, 연대불명, 종이에 수묵, 40x24.5cm, 安徵省博物館 112
圖 81-3. 潘玉良, 〈여섯명의 여인(六個女人體〉, 연대불명, 종이에 수묵채색, 33x40cm, 安徽省博物館 112
圖 81-4. 潘玉良, 〈가면을 든 여인들(拿面具女人體)〉, 연대불명, 종이에 수묵채색, 34x47cm, 安徽省博物館 112
圖 82. Henri Matisse, 〈푸른 누드 혹은 비스크라의 추억(Blue Nude Souvenir de Biskra)〉, 1907년, 캔버스에 유화, 92.1x140.4cm, 볼티모어 미술관 112
圖 83. 潘玉良, 〈연날리기(放風箏)〉, 1956년, 종이에 수묵채색, 64x80cm, 安徽省博物館 113
圖 84. 潘玉良, 〈여자아이와 바구니(女童與提籃)〉, 1957년, 종이에 수묵채색, 51x63cm, 安徽省博物館 113
圖 85. 潘玉良, 〈카드놀이 하는 여인(玩撲克的女人)〉, 1957년, 종이에 수묵채색, 68x52cm, 安徽省博物館 113
圖 86. 潘玉良, 〈고운 목소리로 노래하고 춤추다(歌舞豔聲)〉, 1956년, 종이에 수묵채색, 66x134cm, 安徽省博物館 113
圖 87. 潘玉良, 〈고운 목소리로 노래하고 춤추다(歌舞豔聲)〉, 1966년, 종이에 수묵채색, 15x77cm, 安徽省博物館 113
圖 87-1. 〈고운 목소리로 노래하고 춤추다(歌舞豔聲)〉 제발 세부 113
圖 88. 潘玉良, 〈수유하다(哺乳)〉, 1961년, 캔버스에 유화, 80x99cm, 安徽省博物館 114
圖 89. 潘玉良, 〈꽃을 쥔 소녀(採花女)〉, 1953년, 캔버스에 유화, 54x38cm, 安徽省博物館 114
圖 90. 潘玉良, 〈희망과 평화(希望和平)〉, 1952년, 종이에 수묵채색, 103cmx49cm, 安徽省博物館 114
圖 91. 潘玉良, 〈2인 부채춤(雙人舞扇)〉, 1955년, 캔버스에 유화, 53x64cm, 安徽省博物館 114
圖 92. 潘玉良, 〈2인 소매춤(雙人袖舞)〉, 1955년, 캔버스에 유화, 54x73cm, 安徽省博物館 114
본 연구는 20세기 중국 근현대 여성화가 반옥량(潘玉良, 1895-1977)의 시대와 생애를 정리하고 여성인물화 위주로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반옥량의 여성 인물화는 그녀의 작품세계 전 기간의 주요 뼈대를 구성한다. 반옥량은 시기별로 상황과 내면이 반영된 자화상을 그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찰하였고, 당시 중국 사회에서 터부시되었던 여성 누드화를 전 인생에 거쳐 주요 주제로 삼아 제작하였다.
반옥량은 사회 취약계층인 기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상해미전에 최초로 입학한 여학생 중 한명으로 근대 미술교육과 서양화를 이수하였다. 이후 프랑스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리옹 국립 미술전문학교, 에콜 데 보자르, 로마 왕립 미술학원에서 수료하며 20세기 유럽에 등장한 다양한 화파를 접하며 정식 화가로 발돋움했다. 귀국 후 상해미전, 국립중앙대학에서 예술과 교수로 부임하여 후학을 양성했으며, 여성화가 최초로 개인전을 개최하거나 단체 전시회에서 활약하며 상해 화단에서 화가로 인정받았다. 1937년 이후부터 프랑스에 정착해 봄 살롱, 가을 살롱, 독립예술가 살롱에서 활약하며 작품을 출품하였다. 프랑스 정부와 예술 협회에 상을 받고 파리에서 활약하는 예술가를 소개하는 다큐멘터리 〈몽파르나스의 사람들〉에도 유일한 동양인 화가로 등장하는 등 프랑스 예술계에 안착했다.
반옥량의 회화는 유화와 수묵화, 채묵화로 분류할 수 있다. 초기 상해미전과 유학기간동안 학습한 아카데미즘 사실주의와 인상주의의 영향이 반영된 유화를 회화 인생에 전반(全般)적으로 구사하였다. 중국에 돌아온 직후에는 파리 화단에서 유행하던 표현주의가 가미된 화풍을 구사하였으며, 후반기에는 중국화의 요소인 선묘를 유화에 반영하였다.
상해에서 활동할 당시 중국 화단의 화두로 떠올랐던 중국화개량론을 수용하여 수묵을 활용한 백묘법으로 다양한 여성의 누드화를 제작하였고, 신백묘화라 명명되었다. 1950년대 이후에는 서양화의 채색기법과 중국의 선묘를 결합한 채묵화를 구사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개척하였다. 주로 중국의 의복을 입고 전통 풍습이 반영된 생활상이나 전통 무용을 추는 여인의 모습을 그려 고향에 대한 향수를 표현하였다.
이 연구는 반옥량의 활동과 화풍을 시기별로 정리하고 특징을 고찰하였다. 국내에서 아직 면밀히 다뤄지지 않은 반옥량의 생애와 작품을 분석하여 교류관계는 물론 반옥량의 심리와 회화 주제의 유래 및 변화의 원인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20세기 중국 여성화가로서의 반옥량의 다양한 활동을 조명하여 그동안 조명되지 않았던 여성 화가 연구의 발판이 되고자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