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7

1. 서론 20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0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3

1.3. 선행 연구 27

2. 조주 통화자기의 일반적 고찰 31

2.1. 통화자기의 개념 및 정의 31

2.2. 통화자기의 발생 및 시대적 배경 33

2.2.1. 지리적 위치와 자연 환경의 조건 33

2.2.2. 섬세한 특성 34

2.2.3. 역사적 배경 35

2.3. 통화자기의 시대적 변화 38

2.3.1. 투각기법의 발전단계 38

2.3.2. 시대적 변화 43

2.4. 통화자기의 유형 49

2.4.1. 조형 종류 49

2.4.2. 투각기법 종류 50

3. 도자기 투각기법의 이론적 배경 52

3.1. 도자기 투각기법의 개념 및 정의 52

3.2. 도자기 투각기법의 발생 배경 53

3.3. 도자기 투각기법의 시대적 변천 55

3.3.1. 도자기 투각기법의 시대 55

3.3.2. 시대적 변화 64

3.4. 도자기 투각기법의 유형 및 특징 65

3.4.1. 투각기법의 유형 66

3.4.2. 투각기법의 특성 70

3.5. 도자기 투각기법의 활용 78

3.5.1. 경덕진의 영롱자기(玲瓏瓷) 78

3.5.2. 흑도(黑陶) 83

4. 투각기법의 특성 및 활용 사례 91

4.1. 기술적 특성 91

4.1.1. 투각 문양의 디자인 91

4.1.2. 재료의 성분 94

4.1.3. 제작 과정 96

4.2. 조형적 특징 106

4.2.1. 투각 문양 106

4.2.2. 특징 111

4.3. 투각기법의 장식 표현 특징 117

4.3.1. 투각기법 117

4.3.2. 기타 장식 기법 118

4.3.3. 장식 표현 특징 125

5. 현대 투각기법의 현황 및 작품 사례 분석 128

5.1. 현대 투각기법의 작품 현황 128

5.1.1. 투각기법과 디지털 기술 128

5.1.2. 현대 심미적 수요에서의 투각기법 131

5.2. 디지털 기술과 결합함 133

5.2.1.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는 필요성 133

5.2.2. 디지털 기술에 의한 디자인 및 제작 134

5.3. 현대 투각 작품 사례 분석 141

5.3.1. 중국 작가 도예품의 투각기법 사례 141

5.3.2. 해외 작가 도예품의 투각기법 사례 145

6. 연구자 대표 창작 작품 제작 및 조형적 특성 분석 164

6.1. 『수묵의상지통화(水墨意象之通花)』 작품 분석 166

6.1.1. 디자인 의도 166

6.1.2. 작품 제작 168

6.1.3. 장식적 특성 172

6.1.4. 대비미 173

6.2. 『통조의상지원산(通彫意象之遠山)』 작품 분석 173

6.2.1. 디자인 의도 173

6.2.2. 작품 제작 175

6.2.3. 장식적 특성 180

6.2.4. 문화적 기호 182

6.3. 『동백화 I호』 작품 분석 183

6.3.1. 디자인 의도 183

6.3.2. 작품 제작 184

6.3.3. 장식적 특성 190

6.3.4. 착시 효과와 리듬 운율 191

6.4. 『빛과 그림자의 춤』 작품 분석 192

6.4.1. 디자인 의도 192

6.4.2. 작품 제작 194

6.4.3. 장식적 특성 198

6.4.4. 빛과 그림자의 아름다움 199

6.5. 『의상도시』 작품 분석 201

6.5.1. 디자인 의도 201

6.5.2. 작품 제작 203

6.5.3. 장식적 특성 207

6.5.4. 공간의 개방성 208

6.6. 『비뚤어진 건축』 작품 분석 209

6.6.1. 다자인 의도 209

6.6.2. 작품 제작 209

6.6.3. 장식 특성 213

6.6.4. 빛과 그림자의 아름다움 213

6.7. 『림중산』 작품 분석 214

6.7.1. 디자인 의도 214

6.7.2. 작품 제작 215

6.7.3. 장식정 특성 218

6.7.4. 공간의 개방성 218

7. 결론 222

참고문헌 229

ABSTRACT 234

표목차

〈표 1-1〉 연구 체계도 30

〈표 2-1〉 통화자 투각기법의 변화 48

〈표 2-2〉 투각기법 종류 51

〈표 3-1〉 투각 문양의 분류 69

〈표 3-2〉 장식적 기법에 따른 분류 69

〈표 3-3〉 투각 문양의 표현 형식 69

〈표 3-4〉 조형 기능에 따른 분류 69

〈표 3-5〉 투각기법의 특징 분석 77

〈표 3-6〉 영롱자기의 투각 장식 변화 현황 82

〈표 3-7〉 흑도 투각의 장식적 변화 89

〈표 4-1〉 투각 문양 디자인 특징 92

〈표 4-2〉 통화자기의 제작 과정 95

〈표 4-3〉 고령토 원재료 96

〈표 4-4〉 통화자기의 제작 과정 97

〈표 4-5〉 투각 디자인 및 제작 과정 98

〈표 4-6〉 전통 통화자기의 제작 절차 (물레성형) 99

〈표 4-7〉 소성 곡선(산화 상태) 105

〈표 4-8〉 소성 곡선(환원 상태) 105

〈표 4-9〉 투각 문양의 특징 108

〈표 4-10〉 투각 문양의 구도 110

〈표 4-11〉 투각 무양의 착시 효과 및 리듬의 율동감 113

〈표 4-12〉 입체적 장식의 특징 118

〈표 4-13〉 평면적 장식의 구도 122

〈표 4-14〉 입체적 장식과 평면적 장식의 구도 123

〈표 4-15〉 장식 기법 표현 126

〈표 5-1〉 3D 프린팅 모형 제작 과정 139

〈표 5-2〉 작품 투각의 장식적 특성 및 예술적 특성 161

〈표 6-1〉 점토 성분 분석 168

〈표 6-2〉 소성 곡선 170

〈표 6-3〉 점토 성분 분석 176

〈표 6-4〉 소성 곡선 180

〈표 6-5〉 점토 성분 분석 185

〈표 6-6〉 소성 곡선 190

〈표 6-7〉 점토 성분 분석 195

〈표 6-8〉 소성 곡선 198

〈표 6-9〉 점토 성분 분석 203

〈표 6-10〉 소성 곡선 206

〈표 6-11〉 점토 성분 분석 210

〈표 6-12〉 소성 곡선 212

〈표 6-13〉 점토 성분 분석 215

〈표 6-14〉 소성 곡선 217

〈표 6-15〉 작품의 장식 및 조형적 특성 219

그림목차

〈그림 2-1〉 드로은워크 통화 공예 31

〈그림 2-2〉 옥패통화병 31

〈그림 2-3〉 통화자기 기법 32

〈그림 2-4〉 조주시 지도 34

〈그림 2-5〉 풍계 지도 34

〈그림 2-6〉 속완(粟碗) 37

〈그림 2-7〉 백유국화병 37

〈그림 2-8〉 백유대나무매화병 37

〈그림 2-9〉 통화자기의 투각 문양 39

〈그림 2-10〉 백유통화통병 39

〈그림 2-11〉 매화죽엽통화 항아리 39

〈그림 2-12〉 죽엽동전문통화 항아리 39

〈그림 3-1〉 흑도 투조 이층 항아리 56

〈그림 3-2〉 대문구 문화 도두 56

〈그림 3-3〉 전국 원시 청자 향로 57

〈그림 3-4〉 전국 원시 긴 목 투각자기 57

〈그림 3-5〉 서한 색채화 도자기 훈로 58

〈그림 3-6〉 박산 향로 58

〈그림 3-7〉 당나라 월요 갈채 운문 투각 향로 59

〈그림 3-8〉 요주요 청유 향로 60

〈그림 3-9〉 청유 당초문 투각 훈로 61

〈그림 3-10〉 북송 백유 투각 훈로 61

〈그림 3-11〉 명청화 영롱 산수 그릇 63

〈그림 3-12〉 오채 투각 운봉 문병 63

〈그림 3-13〉 명나라 투각 문양 오채정 63

〈그림 3-14〉 청옹정청화 투각 모자홍 64

〈그림 3-15〉 건륭형 분채 투각 관가 64

〈그림 3-16〉 송석녹유 투각 꽃바구니 64

〈그림 3-17〉 청강희 청화 투각 그릇 64

〈그림 3-18〉 영롱자기의 연꽃 그릇 71

〈그림 3-19〉 보물병 71

〈그림 3-20〉 영롱자기 73

〈그림 3-21〉 다층 통화 기물 74

〈그림 3-22〉 청화영롱자기 79

〈그림 3-23〉 영롱자기 제작 과정 81

〈그림 3-24〉 흑도 투각 문양 85

〈그림 3-25〉 흑도단각배 85

〈그림 3-26〉 흑도 작품 제작 과정 87

〈그림 3-27〉 다층 투각 1 88

〈그림 3-28〉 다층 투각 2 88

〈그림 3-29〉 흑도 장식의 일부 89

〈그림 4-1〉 비천연산(飛天燕山) 95

〈그림 4-2〉 크기가 다른 조각칼 101

〈그림 4-3〉 일반 조각칼의 사이즈 101

〈그림 4-4〉 1차 투각 작업 102

〈그림 4-5〉 2차 투각 작업 102

〈그림 4-6〉 투각 문양 103

〈그림 4-7〉 기물 수선 103

〈그림 4-8〉 꽃 빚기 103

〈그림 4-9〉 묘금 장식 103

〈그림 4-10〉 소성 완료 103

〈그림 4-11〉 전통적 용요 구조 104

〈그림 4-12〉 경낭 오층통화병 111

〈그림 4-13〉 옥입(玉立)통화자기 114

〈그림 4-14〉 옥패 통화병 115

〈그림 4-15〉 송학 통화병 115

〈그림 4-16〉 부조 1 120

〈그림 4-17〉 부조 2 120

〈그림 4-18〉 채색화 2 120

〈그림 4-19〉 화장토 120

〈그림 5-1〉 2D 효과도 136

〈그림 5-2〉 3D 효과도 136

〈그림 5-3〉 CNC로 투각 제품 제작 과정 138

〈그림 5-4〉 원결(袁潔), 『비뚤어진 건축 I』 140

〈그림 5-5〉 원결(袁潔), 『비뚤어진 건축 II』 140

〈그림 5-6〉 진단홍(陳丹虹), 『별 하늘』 (星空) 144

〈그림 5-7〉 진단홍(陳丹虹), 『희기양양』 (喜氣洋洋) 144

〈그림 5-8〉 원결(袁潔), 『투화창의 I』 145

〈그림 5-9〉 원결(袁潔), 『투화창의 II』 145

〈그림 5-10〉 고딕 건물의 문 147

〈그림 5-11〉 랭스 상당 147

〈그림 5-12〉 투각 문양 148

〈그림 5-13〉 이토 츠요시 『고딕 I』 도예 148

〈그림 5-14〉 이토 츠요시 『고딕 II』 149

〈그림 5-15〉 이토 츠요시 『고딕 I』 항아리 149

〈그림 5-16〉 이토 츠요시 『고딕 I』 접시 1 149

〈그림 5-17〉 이토 츠요시 『고딕 I』 커피 컵접시 149

〈그림 5-18〉 이토 츠요시 『고딕 I』 접시 2 149

〈그림 5-19〉 이토 츠요시 『고딕 I』 주전자 149

〈그림 5-20〉 이토 츠요시 『고딕 I』 접시 3 150

〈그림 5-21〉 이토 츠요시 『고딕 I』 접시 4 150

〈그림 5-22〉 허민자, 『파도문 도등』 151

〈그림 5-23〉 허민자, 『나무문 도등』 151

〈그림 5-24〉 부부 152

〈그림 5-25〉 허민자, 『제주도 묘소 앞에 서 있는 어린이 조각상』 153

〈그림 5-26〉 Jennifer McCuidy 『BUTTERFLY MAGRITTE"S VESSEL』 154

〈그림 5-27〉 Jennifer McCuidy 『SUNRISE VESSEL』 154

〈그림 5-28〉 Jennifer McCuidy 『CORAL NEST』 156

〈그림 5-29〉 Jennifer McCuidy 『GISDED BUTTERFLY VESSEL』 156

〈그림 5-30〉 유진영, 『역사의 장』 157

〈그림 5-31〉 은소영, 『합 - 꿈을 꾸다』 158

〈그림 5-32〉 은소영, 『나의 내부 공간 1』 159

〈그림 5-33〉 은소영, 『나의 내부 공간 2』 159

〈그림 5-34〉 은소영, 『나의 내부 공간 3』 160

〈그림 6-1〉 원결(袁潔), 『수묵의상지통화』 168

〈그림 6-2〉 『수묵의상지통화』 제작 과정 170

〈그림 6-3〉 원결(袁潔), 『수묵의상지통화』 일부 171

〈그림 6-4〉 명창(明窓) 175

〈그림 6-5〉 십자해당장방식화창 176

〈그림 6-6〉 투각 문양 176

〈그림 6-7〉 디지털 기술 조형 디자인 과정 178

〈그림 6-8〉 『통조의상지원산』 제작 과정 179

〈그림 6-9〉 원결(袁潔), 『통조의상지원산』 182

〈그림 6-10〉 원결(袁潔), 『통조의상지원산』 부분 182

〈그림 6-11〉 디지털 기술 디자인 과정 187

〈그림 6-12〉 CNC로 모형 조각 과정 188

〈그림 6-13〉 초벌 188

〈그림 6-14〉 투각된 초벌 188

〈그림 6-15〉 소성된 초벌 189

〈그림 6-16〉 장식된 작품 189

〈그림 6-17〉 디지털 기술 디자인 과정 196

〈그림 6-18〉 3D 프린팅 기술에 의한 작품의 제작 과정 197

〈그림 6-19〉 원결(袁潔), 『빛과 그림자의 춤』 201

〈그림 6-20〉 디지털 기술 디자인 과정 204

〈그림 6-21〉 모형 205

〈그림 6-22〉 초벌 205

〈그림 6-23〉 투각된 초벌 205

〈그림 6-24〉 소성한 작품 206

〈그림 6-25〉 원결(袁潔), 『비뚤어진 건축』 209

〈그림 6-26〉 3D 모델(STL 파일)도입 과정 211

〈그림 6-27〉 3D 프린팅 기술 성형 과정 212

〈그림 6-28〉 『림중산』 제작 과정 217

〈그림 6-29〉 원결(袁潔), 『림중산』 217

초록보기

조주 통화자기는 광둥성 조주에서 생산된 것으로, 조주의 풍계(楓溪) 도자기 소제 기법 중 하나이며 중국 무형문화유산 중 하나다. 조주 통화자기는 투각을 주요 장식으로 하여 꽃 빚기, 부조 등의 입체적인 장식을 종합하고 유약 채색화, 묘금, 화장토 등의 평면적 장식을 결합해 만든 도자기 공예품이다.

중국은 도자기 투각의 역사가 오래되었는데, '용산문화(龍山文化)'에 등장하는 흑도단각(蛋殼)잔부터 수 천 년 동안 장식기법으로 전해지고 있다. 투각으로 장식된 도자기는 중국의 도자기 생산지뿐만 아니라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대표적인 자기가 있다. 예를 들어 경덕진의 영롱자기, 산동성의 흑도, 조주 통화자기 등이 모두 이에 속한다. 이 중에 조주의 퉁화자기는 공예부터 장식적 특성, 예술적 특성까지 모두 뛰어나고 지역적 특색이 강해 『중국 무형 문화재(中國非物質文化遺産)』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주의 통화자기를 연구대상으로 하면서 투각기법의 장식적 표현을 분석하고 실제 창작을 하여 통화자기 투각기법의 현대적 표현을 탐색한다.

전통적인 통화자기는 고전미학을 심미적 기준으로 기법의 공예미를 중시하고 조형 장식의 형식이 조화롭게 되어 있다. 현대사회에 디지털 기술이 많이 활용되면서 통화자기의 손작업 특성은 큰 타격을 받고 있다. 또한 세계화의 영향과 사람들의 심미적인 변화로 인해 통화자기의 발전이 쇠락하고 투각기법에 대한 혁신이 어려워지면서 통화자기의 투각기법의 표현 형태에 대한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통화자기의 발전이 더디기 때문에 투각기법의 작업 가치를 신기술로 어떻게 구현하고 혁신적인 형식을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점에 목적을 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 현장 조사, 실험 분석, 사례 분석 등의 연구 방법을 통해 조주(潮州)통화자기에 활용된 투각기법의 장식 형태를 탐색한다. 이를 통해 투각기법의 장식 표현에 관한 학술적 연구범위를 확장시켜 후속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를 바탕으로 투각기법의 현대적 아름다움을 찾아낼 수 있도록 기본적인 창작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향후 조주 통화자기의 이론적 연구와 창작을 풍부하게 하는 데에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통화자기의 발전과 혁신을 도모한다. 현대사회에 투각으로 표현된 수작업 가치와 문화적 함의에 대해 현대적인 표현으로 투각 연구에 대해 새롭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조주 통화자기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투각기법의 기원, 각 생산 지역에 투각기법의 활용 현황과 장식적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투각기법의 장식적 특성, 투각 문양의 디자인적 특징과 방법, 기타 장식적 기법의 특징을 분석하여 통화자기의 수작업 제작 공정을 보여준다. 오늘날 통화자기의 발전이 더딘 현실을 바탕으로 투각기법을 새로운 기술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 현대 예술 형식의 영역을 확장한다.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디자인과 제작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설명하고 현대의 도예품을 분석하여 디자인 의도와 예술적 특성에서 시작하여 현대에서의 투각기법의 발전과 혁신의 근본적인 방법을 찾아낸다. 이론적 연구와 작품 분석 결과,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는 통화자기를 제작한다. 작품의 디자인 의도, 창작 과정, 투각기법의 장식적 특성,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 배경에서 작품이 투각기법의 장식적 예술적 특성을 부각시키고 현대 예술적 창작 경험과 관념을 표현하다.

디지털 기술은 지능화 사회 발전의 필수적인 조건이 되며, 반드시 수작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관점은 미래의 창작물은 공예성과 패러다임을 타파하고 정교함을 미의 기준으로 삼지 않으며 디지털 기술의 장점을 이용하여 도자기 예술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 도자기 언어의 표현과 예술에 대한 예술가의 관념 구현, 그리고 문화기호의 가치와 수작업의 가치를 부각시키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화자기의 현대적 표현을 작업을 통해 구현하여 투각기법의 조형적 특징인 빛과 그림자 효과, 착시 효과와 운율(韻律)표현, 공간의 이중적 특성, 대비미, 문화적 기호 등을 부각시켜 디자인 의도를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