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2. 연구문제 17

3. 연구의 제한점 17

II. 이론적 배경 19

1.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내용요소 19

가. 다문화교육의 개념 19

나. 초등 교육과정 연계 다문화교육 내용요소 20

2. 사회과 교육과정과 다문화교육 29

가. 사회과의 목표 및 내용 29

나. 사회과의 성취기준과 다문화교육의 연계 30

3. 선행연구 분석 32

III. 연구 방법 34

1. 연구대상 34

2. 분석 방법 및 분석 준거 35

가. 내용 분석 기준 35

IV. 연구 결과 39

1. 3학년 1학기 성취기준 및 교과서 다문화 내용요소 분석 및 특징 40

2. 3학년 2학기 성취기준 및 교과서 다문화 내용요소 분석 및 특징 56

3. 4학년 1학기 성취기준 및 교과서 다문화 내용요소 분석 및 특징 77

4. 4학년 2학기 성취기준 및 교과서 다문화 내용요소 분석 및 특징 93

V. 논의 111

VI. 결론 및 제언 116

1. 결론 116

2. 제언 118

참고문헌 120

Abstract 126

표목차

〈표 I-1〉 학교급별 다문화학생 수의 변화 14

〈표 II-1〉 다문화교육을 위한 접근법 22

〈표 II-2〉 채정란(1999)이 추출한 다문화교육 내용요소 24

〈표 II-3〉 조영달의 연구(2009)에 제시된 다문화적 내용요소 25

〈표 II-4〉 김영옥(2002)의 다문화교육 목표 및 내용 26

〈표 II-5〉 이현랑(2008)이 정리한 다문화교육 내용 27

〈표 II-6〉 국가평생교육진흥원(2020)이 제시한 다문화교육 요소 28

〈표 II-7〉 3-4학년군 사회과 내용 체계 30

〈표 III-1〉 2022적용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 출판사 및 저자 목록 34

〈표 III-2〉 3, 4학년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 분석을 위한 다문화 내용요소 36

〈표 IV-1〉 3학년 1학기 성취기준별 다문화 내용요소 40

〈표 IV-2〉 3학년 1학기 사회과 성취기준별 다문화 내용요소의 빈도 41

〈표 IV-3〉 3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43

〈표 IV-4〉 3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반편견' 내용요소 44

〈표 IV-5〉 3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정체성' 내용요소 46

〈표 IV-6〉 3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49

〈표 IV-7〉 3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53

〈표 IV-8〉 3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상호 문화 이해' 분석 자료 54

〈표 IV-9〉 3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55

〈표 IV-10〉 3학년 2학기 성취기준별 다문화 내용요소 57

〈표 IV-11〉 3학년 2학기 사회과 성취기준별 다문화 내용요소의 빈도 58

〈표 IV-12〉 3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59

〈표 IV-13〉 3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반편견' 내용요소 61

〈표 IV-14〉 3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정체성' 내용요소 64

〈표 IV-15〉 3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66

〈표 IV-16〉 3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71

〈표 IV-17〉 3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75

〈표 IV-18〉 4학년 1학기 성취기준별 다문화 내용요소 78

〈표 IV-19〉 4학년 1학기 사회과 성취기준별 다문화 내용요소의 빈도 79

〈표 IV-20〉 4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80

〈표 IV-21〉 4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반편견' 내용요소 81

〈표 IV-22〉 4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정체성' 내용요소 83

〈표 IV-23〉 4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86

〈표 IV-24〉 4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88

〈표 IV-25〉 4학년 1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91

〈표 IV-26〉 4학년 2학기 성취기준별 다문화 내용요소 93

〈표 IV-27〉 4학년 2학기 사회과 성취기준별 다문화 내용요소의 빈도 95

〈표 IV-28〉 4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평등성 및 인권 존중' 내용요소 96

〈표 IV-29〉 4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반편견' 내용요소 98

〈표 IV-30〉 4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정체성' 내용요소 101

〈표 IV-31〉 4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102

〈표 IV-32〉 4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106

〈표 IV-33〉 4학년 2학기 사회 검정 교과용 도서의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108

그림목차

〈그림 I-1〉 전체 학생 수 대비 다문화학생 수 14

〈그림 IV-1〉 교과서 B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43

〈그림 IV-2〉 교과서 I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44

〈그림 IV-3〉 교과서 A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44

〈그림 IV-4〉 교과서 A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45

〈그림 IV-5〉 교과서 C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45

〈그림 IV-6〉 교과서 C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46

〈그림 IV-7〉 교과서 A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48

〈그림 IV-8〉 교과서 C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48

〈그림 IV-9〉 교과서 E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49

〈그림 IV-10〉 교과서 C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52

〈그림 IV-11〉 교과서 I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52

〈그림 IV-12〉 교과서 E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53

〈그림 IV-13〉 교과서 A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54

〈그림 IV-14〉 교과서 A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55

〈그림 IV-15〉 교과서 B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반영 예시 56

〈그림 IV-16〉 교과서 E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반영 예시 56

〈그림 IV-17〉 교과서 A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60

〈그림 IV-18〉 교과서 D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60

〈그림 IV-19〉 교과서 E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61

〈그림 IV-20〉 교과서 A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62

〈그림 IV-21〉 교과서 A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62

〈그림 IV-22〉 교과서 B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63

〈그림 IV-23〉 교과서 E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63

〈그림 IV-24〉 교과서 C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65

〈그림 IV-25〉 교과서 E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65

〈그림 IV-26〉 교과서 A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66

〈그림 IV-27〉 교과서 B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70

〈그림 IV-28〉 교과서 F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70

〈그림 IV-29〉 교과서 C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71

〈그림 IV-30〉 교과서 D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71

〈그림 IV-31〉 교과서 C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73

〈그림 IV-32〉 교과서 A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73

〈그림 IV-33〉 교과서 F, I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74

〈그림 IV-34〉 교과서 E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74

〈그림 IV-35〉 교과서 A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반영 예시 77

〈그림 IV-36〉 교과서 C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반영 예시 77

〈그림 IV-37〉 교과서 B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80

〈그림 IV-38〉 교과서 D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81

〈그림 IV-39〉 교과서 A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82

〈그림 IV-40〉 교과서 D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82

〈그림 IV-41〉 교과서 C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85

〈그림 IV-42〉 교과서 E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85

〈그림 IV-43〉 교과서 D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88

〈그림 IV-44〉 교과서 A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90

〈그림 IV-45〉 교과서 C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90

〈그림 IV-46〉 교과서 C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반영 예시 92

〈그림 IV-47〉 교과서 D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반영 예시 92

〈그림 IV-48〉 교과서 J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반영 예시 93

〈그림 IV-49〉 교과서 C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97

〈그림 IV-50〉 교과서 D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97

〈그림 IV-51〉 교과서 D '평등성 및 인권존중' 내용요소 반영 예시 98

〈그림 IV-52〉 교과서 A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100

〈그림 IV-53〉 교과서 B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100

〈그림 IV-54〉 교과서 F '반편견' 내용요소 반영 예시 101

〈그림 IV-55〉 교과서 C '정체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102

〈그림 IV-56〉 교과서 A, B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105

〈그림 IV-57〉 교과서 I '다양성·다원성' 내용요소 반영 예시 106

〈그림 IV-58〉 교과서 C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107

〈그림 IV-59〉 교과서 D '상호 문화 이해' 내용요소 반영 예시 108

〈그림 IV-60〉 교과서 B '협력적 상호작용' 내용요소 반영 예시 110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2022년부터 적용되는 3, 4학년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의 다문화 내용요소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검정 교과용 도서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선정한 후, 분석준거를 토대로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의 다문화 내용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3학년 1학기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의 성취기준과 내용에는 어떠한 다문화 내용요소가 반영되었는가?

연구문제 2. 3학년 2학기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의 성취기준과 내용에는 어떠한 다문화 내용요소가 반영되었는가?

연구문제 3. 4학년 1학기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의 성취기준과 내용에는 어떠한 다문화 내용요소가 반영되었는가?

연구문제 4. 4학년 2학기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의 성취기준과 내용에는 어떠한 다문화 내용요소가 반영되었는가?

이 연구를 위하여 2022년도 적용 초등 3, 4학년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 3학년 1학기 11권, 3학년 2학기 11권, 4학년 1학기 11권, 4학년 2학기 11권, 총 44권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학년 1학기 교과서에는 다문화 내용요소가 고루 반영되지 않았다. 특히, '평등성 및 인권존중', '반편견', '상호 문화 이해' 요소가 가장 적게 반영되었다.

둘째, 3학년 2학기 교과서에는 다문화 내용요소가 1학기에 비해서 고루 반영되었으나 전 영역을 반영한 교과서는 A, E, J 세 종류에 불과하였다.

셋째, 4학년 1학기 교과서에는 3학년에 비해 더 많은 영역에서 다문화 내용요소가 반영되었으나 '다양성․다원성' 요소에 치중된 경향을 보였다.

넷째, 4학년 2학기 교과서에는 '편견과 차별', '세계화' 같은 다문화교육 내용이 적시된 내용을 배우므로, 다양한 영역의 다문화 내용요소가 반영되었다.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과 검정 교과용 도서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내용요소가 특정 영역에 치우쳐 있음을 파악하였다. 교과서는 다양한 영역의 다문화 내용요소를 균형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모든 교과서가 다문화 내용요소의 영역을 고루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